魯 노나라/노둔할 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魚,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ロ
|
||||||
일본어 훈독
|
おろ-か
|
||||||
鲁
|
|||||||
표준 중국어
|
l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魯는 '노나라/노둔할 로'라는 한자로, ' 노(魯)나라', '노둔(魯鈍)하다'를 뜻한다.2. 상세
魯자는 魚(물고기 어)와 曰(가로 왈)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원래는 '맛있다'는 뜻이었다. 고대에 중국인들이 물고기(魚)를 먹고 나서 맛있다고 말했는데(曰), 그게 전하여 맛있다는 뜻으로 자리잡았기 때문.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본 뜻으로 쓰이지 않게 되었고, 노둔하다는 뜻으로 바뀌었다.또한 춘추전국시대에 산둥성 일대에 자리한 노나라의 국명이기도 하며 현재의 중국에서 산둥성의 이명으로 쓰이기도 한다.
19세기 일본에서는 러시아의 줄임말로 쓰기도 했다. 당시에는 러시아의 한자 표기로 魯西亞와 露西亞가 쓰였는데 현재는 후자에 밀려 거의 사라졌다.
유니코드에는 9B6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弓田火日(NWFA)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58,698명, 전체 66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함평(咸平), 광주(廣州), 강화(江華)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노(성씨) 문서 참조.
항렬자는 서촉 명씨, 전의 이씨에서 사용한다.
- 권노갑( 權魯 甲)
- 김병로( 金 炳魯)
- 노국대장공주(魯 國 大 長 公 主)
- 노은공(魯 隱 公)
- 두로( 杜魯)
- 명로진( 明魯 鎭)
- 박노수( 朴魯 壽)
- 박노욱( 朴魯 旭)
- 박노준( 朴魯 俊)
- 보로( 孛魯): 무칼리의 아들
- 소적로( 蕭 敵魯)
- 손노반( 孫魯 班)
- 손노육( 孫魯 育)
- 야율갈로( 耶 律 曷魯)
- 야율실로( 耶 律 室魯)
- 야율적로( 耶 律 敵魯)
- 야율직로고( 耶 律 直鲁 古)
- 왕노련( 王魯 連)
- 유혁로( 柳 赫魯)
- 이명노( 李 明魯)
- 이응노( 李 應魯)
- 이형로( 李 瀅魯)
- 정노식( 鄭魯 湜)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노암동(魯 巖 洞)
- 경상남도 사천시 노룡동(魯 龍 洞)
- 노곡동(魯 谷 洞)
- 노원동(魯 院 洞)
- 우루무치난역( 乌鲁 木 齐 南 站)
- 우루무치시( 乌鲁 木 齐 市)
- 우루무치역( 乌鲁 木 齐 站)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魯 城 面)
- 투루판베이역( 吐鲁 番 北 站)
- 프로이센( 普魯 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