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6:59:21

김포시/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포시
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GoldLine_icon.svg 양촌, 구래, 마산, 장기, 운양, 걸포북변, 사우, 풍무, 고촌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00.svg 수도권제1순환선 · 파일:Expressway_kor_400.svg 수도권제2순환선 · 계양강화선예타통과
국도 39, 48( 김포대로
지방도 355 · 356 · 356 · 358·
버스 김포시외버스터미널
김포시의 버스 목록 · 김포시의 마을버스
}}}}}}}}} ||
경기도의 교통

1. 개요2. 철도3. 도로4. 버스
4.1. 시내버스4.2. 시외버스
4.2.1. 관련 문서
5. 어항6. 기타

1. 개요

경기도 김포시의 교통 환경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인구 50만 명을 돌파하며 중형 도시로 성장한 김포시지만, 인구에 걸맞지 않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사정이 좋지 않다.

2. 철도

철도 KTX 없음
일반열차 없음
김포 골드라인 양촌 · 구래 · 마산 · 장기 · 운양 · 걸포북변 · 사우 · 풍무 · 고촌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감정 · 걸포북변 · 시네폴리스

김포 골드라인이 2019년 9월 28일에 개통되었다. 원래 고가 경전철을 세우려다가 백지화되었다.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 시장이 유영록으로 바뀌면서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을 새롭게 시도했지만 재정 부족으로 좌절되었다. 이후 지하 경전철 계획을 세워서 2014년 3월 26일 착공한 후, 2차례 연기 끝에 개통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김포 골드라인 문서 참조.

2024년 현재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일산 연장 사업[1] 한창 예타 중에 있다. 이 밖에도 수도권 전철 5호선 연장인 김포한강선, 김포와 하남을 잇는 GTX-D[2], 서울 2호선 신정지선 연장[3]도 추진 중이다.

3. 도로

3.1. 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고촌읍을 경유하며, 일산대교 개통 이전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김포대교 고양시와의 유일한 연결 통로였다. 이후 개통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인천 방면으로 갈 수 있으며 추후 파주 방면으로 터널을 통해 이어질 예정이다. 계양강화고속도로가 예타통과로 착공예정이다. 완공되면 시 전체를 동서로 관통해 서울로 이어지고[4] 김포시의 고질적인 교통 체증이 완화됨과 동시에 H형 고속도로망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1순환 (인천광역시 계양구) 김포IC - 영사정IC (경기도 고양시)
2순환 (인천광역시 서구) 대곶IC - 서김포통진IC - 하성IC (경기도 파주시)

3.2. 일반국도

국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넘어와 서울특별시 강서구로 이어지는 48번 국도가 유일하며, 가장 중요한 간선도로이기도 하다. 과거에는 서울에서 강화도에 가는 유일한 길이었고, 김포시의 시가지는 이 도로의 김포시내 구간에 밀집되어 있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헬게이트가 열리곤 했다. 2006년 김포 우회도로가, 2011년 김포한강로가 개통되면서 이러한 정체는 조금 완화되었다가, 2014년부터 2017년 하반기까지 도시철도 공사로 정체가 극심했었으나 현재는 공사 완료 후 개통되어 숨통이 트였다.
김포한강로 한강신도시의 교통 대책으로 건설된 김포시의 두 번째 간선도로이다. 김포한강로는 48번 국도( 김포대로)의 교통량을 분담하며 교통체증 완화에 큰 기여를 했으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큰 단점을 갖고 있다. 시에서는 영사정IC를 만들어 제1순환고속도로와 한강로를 직접 연결할 계획이다.

3.3. 지방도

의외로 교통량이 많은 도로가 356번 지방도이다. 강화도를 잇는 초지대교와 연결되어 있고, 김포한강로와 연결되다보니 주말이 되면 강화도로 들어가는 차량으로 미어터진다. 더구나 도로 주변에 중소기업 공장들이 잔뜩 있고 신호 연동 상태가 좋지 않아 더욱 골치아파진다.

기타 도로는 주로 인천광역시로 연결된다. 서구 불로동으로 이어지는 검단로, 서구 원당동으로 이어지는 원당대로, 계양구로 이어지는 장제로 등이 있다.

그외로 56번 지방도 78번 지방도, 84번 지방도, 건설중인 98번 지방도, 355번 지방도가 있다.

3.4. 기타도로

주로 인천광역시로 연결된다. 서구 불로동으로 이어지는 검단로, 서구 원당동으로 이어지는 원당대로, 계양구로 이어지는 장제로 등이 있다.

4. 버스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9e803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심야
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9000번: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4.1. 시내버스

김포시는 2량 짜리 김포공항행 경전철 노선만 존재하고 혼잡 문제가 있으며, 자가용을 이용하기에는 서울 중심부와 다소 거리가 있고, 유류비 부담과 교통체증이 만만치 않아서 그 어떤 수도권 도시보다 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도시이다. 그래서인지 타 지역(경기도 내의 타 지역)에선 잘 안 쓰는 노선 등급도 김포시는 적극적이다. 현대와 대우를 제외한 해외 제조 차량의 적극적인 도입도 덤.

김포시 시내버스를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선진그룹의 텃밭이다. 2000년대 초만 해도 강화운수가 시내 및 시외버스를 독점하다시피 했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선진네트웍스 계열의 김포운수 선진버스가 강화운수의 몇몇 노선들을 인수하며 성장하기 시작하더니,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버스 노선 신설에 김포운수·선진버스만 참여하는 등 전세가 완전히 역전되었다. 2013년에는 강화운수가 선진네트웍스에 인수, 김포 면허 시내버스를 모두 선진네트웍스가 독점하게 되었다. 김포시에 진입하는 관외 업체의 노선들도 상당수가 선진네트웍스 계열사의 노선으로, 선진 계열사가 아닌 업체에서 운영하는 노선은 극소수이다.[5]

김포시의 버스 환승거점은 다음과 같다.
김포시 시내버스는 다른 지역과 달리, 노선 경로가 겹치는 구간이 많다. 특히 서울 구간의 대부분 직행좌석버스들이 당산역을 거의 경유해서 간다. 또한 개화역 ~ 영등포역 구간의 경로도 겹치는 노선이 많은데, 60, 60-3, 88번이 똑같은 경로로 다니고 있다.

또한, 노들로 양화대교남단-염창JC 구간(김포 방향)은 웬만한 김포 버스가 거의 다 다닌다. 공항대로-당산역을 잇는 노선(60, 60-3, 88, G6002), 당산역에서 올림픽대로로 가는 노선(G6001, G6003, G6005, 8600, 8601), 합정역에서 오는 노선(1004, 3000, G6000, M6117), 강남에서 오는 M6427번, 여의도에서 오는 1002번까지 거의 대부분의 노선이 이 구간을 경유한다.

4.2. 시외버스

시외버스는 거의 없다. 사실 서울/인천에서 출발하여 강화도를 들어가는 노선 상당수[7]는 시외버스 출신이긴 하나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된 상황.

주로 강화가는 시외버스들이 중간 정차하던 터미널이었는데 2002년에 터미널 운영주체인 김포개발과 강화운수 간 사용료 협상이 결렬되면서 폐쇄되어버렸다. 시에서 2006년부터 대체 터미널을 짓겠다고 했지만 현재는 그냥 감감무소식이다. 관련 기사 그 외에 양촌읍에도 양촌터미널이 있었으며 여기서 김포공항, 영등포 방면으로 가던 버스가 시외버스로 운행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 시외버스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아 시내버스만 정차하고 있다. 과거 터미널 자리는 택시 대기장소로 사용되고 있고 과거에 매표소로 사용되던 가건물이 아직도 남아있다.
김포시민들이 지방으로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를 이용하려면 어쩔 수 없이 서울, 부천, 고양 등지로 나가야 한다. 대부분은 고양종합터미널로 간다. 고양 터미널만 해도 전라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노선을 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김포국제공항에 정차하는 공항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면 김포 골드라인를 이용하여 김포공항역에 하차하면 된다.

4.2.1. 관련 문서

5. 어항

남북분단, 잦은 행정구역개편과 간척등으로 인한 지형변화로 어항.포구의 수도 줄어들고 빈번한 항구가 없는 곳이지만 대명항과 조강포구로 유명한 지역이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동해안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서해안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남해안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제주도 제주항 · 서귀포항
연안항
동해안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서해안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남해안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제주도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김포에서 가장 관광 차원에서 유명한 항구이다 보니 김포항으로 명칭을 바꾸는 방안을 김포시 차원에서 실제로 추진했으나, 과거의 대표 항구인 조강포구와의 대표성 경쟁이나, 얼마든지 더 크고 좋은 신항구를 만들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작은 고기잡이 항구에 대표성을 부여해야 하느냐는 논란 때문에 현재는 새로운 연안항을 만드는 작업에 착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기타

김포국제공항이라는 공항이 있으나 이 공항은 김포시가 아닌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존재한다. '김포'국제공항인 이유는 1942년 김포비행장으로 개장하여 1958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할 때까지는 행정구역이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이었기 때문이다. 김포공항 일대가 서울특별시에 편입된 것은 그 이후인 1963년이다. 이 때문에 2004년과 2014년에 서울특별시에서 '서울국제공항'으로 개명을 추진했었으나, 국토교통부는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8]


[1] 인천 검단신도시를 넘어 김포 골드라인 걸포북변역, GTX-A 킨텍스역을 경유하여 고양시 일산신도시까지 이어진다. [2]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계획으로 2021년 6월 말에 발표되었다. 이후 GTX-D노선 김포연장으로 확대해 적극 추진중에 있다. [3] 2024년 차량기지 이전을 협의해 고촌역(김포)으로 연장하기로 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4] 강화간성고속도로도 강화도에서 김포시 월곶면,하성면을 지나 파주등을 거쳐 간성으로 연결될 예정이나 타당성이 너무 낮아 진전이 없다. [5] 관외업체도 선진네트웍스 계열 노선은 선진버스의 동생인 인천의 강화선진버스가 대표적이며, 신강교통이나 청라교통은 물론 서울시 시내버스 업체의 계열사인 고촌교통, 김포 선진운수 등과 같은 김포시 마을버스도 있다. 이들은 관외 업체가 아니며, 그 밖에도 선진네트웍스의 방계 회사인 고양교통도 와주게 된다. 다른 업체는 시흥시와 비슷한 행보로 가는 상태. [6] 정확히는 광역급행버스(M버스)와 일부 직행좌석버스만 해당되고, 운양역을 아예 경유하지 않거나 운양역 이후에도 김포 구간의 정차 정류장이 더 있는 버스들도 여럿 있다. [7] 인천 70, 김포 2, 88, 90, 388, 2000, 3000 [8] 공군에서 서울공항이라는 이름으로 공항을 운영하고 있고, 대중들한테 김포공항이라는 명칭이 익숙하기에, 명칭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