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네시로 타케시
金城武 Jīnchéng Wǔ |
|
|
|
본명 | 카네시로 타케시 (Takeshi Kaneshiro) |
출생 | 1973년 10월 11일 ([age(1973-10-11)]세) |
대만 타이베이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1] |
신체 | 180cm, O형 |
가족 | 아버지 카네시로 후시, 어머니, 형 2명[2] |
학력 |
대북일교소학교 (졸업)[3] 타이페이 미국 국제학교 (졸업) |
종교 | 불교 |
데뷔 | 1993년 영화 《현대호협전》 |
[clearfix]
1. 개요
|
대만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현재는 도쿄에서 거주한다. 한국에서 알려진 한국식 한자 독음 이름은 \'금성무'.
2. 생애
오키나와 출신의 일본인 아버지 카네시로 후시와 대만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대만의 타이베이에서 태어나고 쭉 자랐다. 타이베이에서는 일본인 등의 외국인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인 고급주택가 톈무(天母)에서 살았다. 다만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타이베이 소재 일본인 학교를 다녔고, 고등학교는 타이베이 아메리칸 스쿨을 다녔다. 그 결과 중국어, 광둥어, 대만어, 일본어, 영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단, 광둥어 실력은 다른 언어에 비해서 약간 부족한 듯. 데뷔 초에 인기가 별로 없던 시절에는 '중화권 배우'라는 카테고리로 홍콩 쪽 미디어에 출연하면 꼬박꼬박 광둥어로 인터뷰를 했으나, 인지도가 많이 올라간 후에는 홍콩 쪽 미디어에서 인터뷰할 때도 '인터뷰는 북경어로 하겠습니다.'라며 광둥어를 기피하는 장면이 종종 보인다.
영화 ' 중경삼림'에서 실제 배우를 반영하여 타케시가 분한 하지무는 5가지 언어를 모두 구사한다. 첫 번째로 나오는 장면은 간이식당 미드나잇 익스프레스에서 차인 후 외로움을 견디지 못한 하지무가 있는 인맥 없는 인맥 다 써서 초등학교 동창[4]한테까지 야밤에 전화를 거는 장면이고 두 번째는 바에서 아무 말 없는 임청하에게 " 파인애플 통조림 좋아해요?"를 4가지 언어로 읊는 장면이다. 광동어, 일본어, 영어를 시도하다가 마지막으로 보통화를 쓴다.
중화권을 대표하는 미남배우 스타로, 주로 중화권과 일본을 넘나들며 활약했다. 한쪽에 치우치거나 한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는 중화권에 출연했던 작품이 유명한 것뿐. 일본에서도 후카다 쿄코와 함께 출연했던 신이시여 조금만 더와 쿠로키 히토미와 함께 출연했던 노지마 신지 각본의 골든볼이 크게 히트를 쳐 인기를 모았었다. 중국에선 영화를, 일본에선 드라마를 주로 촬영했다. 다만 중국 영화 촬영기간이 대부분 짧은 것에 기인하면 그리 집중됐다고 보긴 힘들지도 모른다. 최근 들어서는 일본에서도 영화에 자주 출연하는 편이다.
1998년 아시아인 최초로 프라다 모델을 한 사람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왕가위 감독의 ' 중경삼림'과 ' 타락천사'로 꽃미남 혹은 백치미를 약간 보여주는 미남배우로 큰 인기를 모았고, 동서식품의 맥스웰 하우스 커피 CF에 등장하기도 했다. 그 당시 국내에서 카네시로 타케시의 인기를 잘 보여주는 부분. 그 당시 한국은 여명, 장국영, 유덕화 등 중화권 스타의 영향력이 아직도 남아 있던 시기이다.
그 후에도 ' 불야성', '라벤더', '친니친니' 같은 작품에 출연하였다. 하지만 세계의 덕들에게 얼굴을 알리게 된 계기는 캡콤의 게임 귀무자의 모델링에 발탁되면서이다. 게임 귀무자는 PS2 최초의 밀리언셀러 타이틀이 되는 등의 큰 인기를 끌어 영화로도 제작되었고 여러 가지 미디어믹스로 발매되었다.
그 후 활동이 약간 뜸하긴 하나, 영화 ' 적벽대전'에 제갈량역으로 출연하여 주목을 받았다. 영화에서의 연기는 나쁜 편이 아니었으나, 북경 발음과 다소 거리가 있는 보통화 발음을 썼다. 대만에서 사용하는 관화 자체가 중국 본토의 북경어와 발음 및 억양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때문에 대체 성우를 써서 그의 팬들에겐 약간 위화감이 있었다.
2010년대에 들어서는 전성기 대비 작품 활동이 현저히 줄어들어 팬들의 아쉬움이 큰 상황이다. 간간히 중화권 영화나 CM에 출연하고는 있으나, SNS도 일체 하지 않다 보니 소식을 알 수 있는 길이 적은 편. 현재 차기작으로는 홍콩의 멀티 엔터테이너 주노 막(麥允然)이 감독한 느와르 영화 '풍림화산(風林火山, Sons of the Neon Night)'이 몇 년 전 촬영을 마무리 하고, 2020년에 크랭크인을 준비 중이라고 하였다.[5]
그런데 2020년 8월 외신보도에 따르면, 주노 막이 영화 촬영 중에 연기자들에게 무리한 연기 요구를 하는 등 갈등이 있었고, 카네시로 타케시도 이 때문에 심각한 갈등을 빚고 영화를 마무리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후반작업이 늦어져 영화가 무기한으로 미뤄졌다.
영화 자체도 순수 홍콩자본으로 제작되는 흔치 않은 영화라, 이래저래 고초가 심한 모양이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2000년대 들어서부터는 홍콩 영화계가 중국 자본의 유입으로 사실상 절멸한 상태다. 홍콩 영화 중에서 중국 자본을 끼지 않고 제작되는 영화는 다큐멘터리나 소규모 독립영화 등으로 극히 제한적이다.
요즘 홍콩에서 제작하는 영화들은 소규모 혹은 저예산 제작 영화들이 그나마 제때 개봉하고 흥행에 성공하고, 오히려 빅스타에 대규모 제작비가 들어간 영화들이 개봉시기가 매번 미뤄지는 추세다. 그만큼 홍콩 영화계의 자본이 넉넉하지 않을 뿐더러 이젠 홍콩 현지인들도 자국영화들보다는 헐리우드 영화나 한국영화 같은 외국영화를 훨씬 많이 보는지라 홍콩 극장가들도 자국 영화에 스크린 수를 많이 배정 하지 않는 추세다.
2022년 최고의 흥행작인 '명일전기'가 제작이 완료된 지 거의 10년 만에 개봉됐고 곽부성, 양조위가 출연한 ' 풍재기시'가 5년 넘게 정식 개봉을 못 하다가 2023년 2월에 대륙과 홍콩에서 개봉됐다. 소식통에 따르면 배우들이 계약된 부분만 촬영되었기에 제대로 마무리가 안 된 상태라는 이야기도 있었다. 소식에 따르면 2025년으로 미뤄지긴 했지만, 그것도 장담할 수 없다고.
2020~2021년자 대만에서는 전통 차 광고를, 일본에서는 리니지2 광고를 촬영하였다.
3. 외모
|
"처음 보자마자 너무 잘생겨서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고 속으로 감탄만 했다."
배우 장첸
배우 장첸
- 아시아의 대표적인 미남배우로, 해외에서는 남신이라고 많이 불린다. 한국에서도 그 당시 미남이라고 하면 십중팔구 언급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한 얼굴에 소년미, 남성미, 퇴폐미를 모두 가진 배우로 자주 거론된다.
- 장두형, 높은 콧대, 진한 눈썹, 뚜렷한 이목구비를 가지고 있으며, 180cm의 큰 키와 좋은 비율의 소유자다. 골격도 큰 편이고, 나이가 든 현재까지도 상당히 이국적이고 세련된 마스크를 지녔다. 특히 옆모습이 굉장히 입체적이다.
- 수많은 연예인들의 이상형으로 줄곧 지목되어왔으며, 현재까지도 연예인들의 연예인이라고 자주 언급된다. 하지만, 금성무는 수없이 쏟아지는 외모 관련 질문에 '감사하다. 그러나 원래부터 나의 외모를 좋게 생각한 적이 없었고, 최근에서야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거나 '부모님께서 물려주신 부분이기 때문에 나와는 상관이 없다.'라며 부끄러워하면서도 매체의 과도한 외모 신격화에 다소 부담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6]
4. 이름
일본인이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중화권에서의 연기활동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여타 중화권 배우들과 마찬가지로 한자를 한국식으로 음독한 \'금성무'로 더 잘 알려져있다. 다만 이쪽은 국적상 일본인이니 엄밀히 말해서 공식 표기로는 일본식인 '카네시로 타케시'가 맞다.[7] 재일교포인 추성훈도 귀화를 했으니 공식 표기법으로는 일본식인 '아키야마 요시히로'가 정확하지만 이쪽은 교포이고 하다 보니 대중매체에서는 그냥 '추성훈'으로 표기된다.[8] 1990년대까지 중화권 인물 같은 경우는 한국식 한자 독음으로 표기하는 게 일반적이었고, 지금도 홍콩 배우들은 한국식 한자 독음 표기로 많이 쓴다. 쑨원, 장제스, 마오쩌둥, 시진핑 등의 역사, 현대사회 인물은 표준 중국어 표기를 따라 쓰는 게 일반화되었지만[9] 성룡, 이연걸, 주윤발 등의 홍콩 문화계 인사들은 관습에 따라 한국식 독음 표기를 아직도 쓴다.[10] 영국, 북미 등 서양에서는 그냥 일본식인 'Takeshi Kaneshiro'로 통한다. 한어 병음 발음으로는 진청우(Jincheng Wu).카네시로 타케시가 주로 활동하는 중화권에서도 그의 성에 대해서는 헷갈려하는 의견이 많은데, 성이 金城이 아니라 金인 줄 아는 중화인들도 상당히 많다. 실제로 데뷔 초기에 금성무에게 성이 김씨인 한국인 아니었냐며 당황한 중국인 기자도 있었다(⋯). 한국도 마찬가지로 지금 이 문서를 보고 금성무가 일본계라는 사실 및 이에 따라 성이 金이 아니라는 사실을 처음 안 사람도 제법 많을 것이다.
반면 우리에게 포청천으로 매우 유명한 배우 김초군은 성이 金이 맞다. 우리와 다르게 중화권은 金씨가 상대적으로 소수라서 덜 다가오지만 어쨌든 중화권에도 조선족 출신을 제외하고도 꽤 있다.[11]
참고로 카네시로(金城)는 오키나와의 대표적인 성씨 가운데 하나이며 원래 오키나와어 '카나구스쿠'를 한자로 훈차한 것으로, 현재 오키나와 내에서는 음독인 킨죠, 그 외 일본 각지에서 훈독인 카네시로, 카나시로 등으로 읽힌다. 대표적인 예가 한국계 일본인 야구선수 킨죠 타츠히코(金城龍彦). 반대로 대만계[12] 일본 야구 레전드 오 사다하루는 일본에서 활동했지만 국적은 대만이기 때문에 여타 중화권 인사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식 독음 표기인 왕정치라는 이름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5. 출연 작품
5.1. 영화
연도 | 제목 | 배역 |
1993년 | 동방삼협2 | 장공 |
1994년 | 중경삼림 | 하지무(경찰 223) |
인어전설 | 켄지 | |
보고반장3 | 진 티에성 | |
1995년 | 청초한 감성 | 독수리 |
타락천사 | 하지무 | |
중국룡 | 톰 | |
홍콩 투캅스 2 - 신찰사형추녀자 | 금미남 | |
1996년 | 모험왕 | 아성 |
천애해각 : 영원한 사랑 | 아충 | |
호각향기 | 리 다웨이 | |
플레이보이 | 대리 | |
1997년 | 첫사랑 | 임가동 |
화소도 지 종횡패도 | 양중 | |
마영정 | 마영정 | |
캘리포니아 | 아무 | |
도화겁 | 타케히로 | |
신투첩영 | 자칼 | |
1998년 | 투 타이어드 투 다이 | 켄지 |
친니친니 : 안나마덕련나 | 첸가후 | |
불야성 | 류젠이 | |
1999년 | 심동 | 호군 |
2000년 | 훈의초 : 라벤더 | 에인젤(Angel) |
스페이스 트래블러즈 | 니시미야 타모츠 | |
2002년 | 리터너 | 미야모토 |
2003년 | 턴 레프트, 턴 라이트 | 리우 |
2004년 | 연인 | 진 |
2005년 | 퍼햅스 러브 | 지엔 |
2006년 | 상성: 상처받은 도시 | 아방 |
2007년 | 명장 | 강오양 |
2008년 | 스위트 레인 - 사신의 정도 | 사신 치바 |
K-20:괴도 가면 | 엔도 헤이키치 | |
적벽대전: 거대한 전쟁의 시작 | 제갈량 | |
2009년 | 적벽대전 2: 최후의 결전 | |
2011년 | 무협 | 쉬바이쥐 |
2014년 | 태평륜 | 엄택곤 |
2015년 | 태평륜 피안 | |
2016년 | 파도인 | 관춘 |
2017년 | 태평륜 완결편 | 엄택곤 |
2017년 | 그래도 좋아해 | 루진 |
미정 | 풍림화산 |
5.2. 드라마
연도 | 제목 | 배역 | 방송사 |
1998년 |
신이시여 조금만 더 (神様、もう少しだけ) |
이시카와 케이고 (石川 啓吾) |
후지TV |
2000년 |
2000년의 사랑 (二千年の恋) |
노가미 히로/유리 마로에프 (野上浩 / ユーリ・マロエフ) |
후지TV |
2002년 |
골든 볼 (ゴールデンボウル) |
아쿠타가와 슈 (芥川 周) |
닛폰 테레비 |
6. 여담
- 전성기때 양채니와의 스캔들이 유명했다. 둘은 왕가위 감독의 타락천사뿐만 아니라 다른 영화나 뮤직비디오에도 함께 출연하는 일이 많았다. 이 외에 크게 알려진 연애 스캔들은 없으며 사생활이 무척 조용한 편.
- 위와 같이 유명세에 비해 상당히 조용한 사생활[13]로 해외에서는 신비주의의 대명사로 유명하다. 그의 연기 공백에 대해서는 유명해지는 것에는 딱히 관심이 없기 때문에 다작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4] 그와 여러번 일한 진가신 감독은 그와 함께 일하기 위해 제안을 하면 반 년 이상이 걸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 2000년대 초반 갑자기 쌍꺼풀이 짙어진 모습으로 나타나 충공깽을 선사했다. 원래 무쌍 꽃미남 이미지가 강했기 때문에 진위여부도 모른채 쌍수를 왜했냐는 의문이 다수였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쌍수를 하지 않았다. 본인이 직접 부인했으며 데뷔 초에 쌍꺼풀 라인이 약간 있었는데 나이가 들며 진하게 생겼다고 밝혔다. [15][16]
- 천년의 이상형으로 불리기도 했던, 이상형으로 많이 꼽히는 배우 중 한 명이다. 그를 이상형이라고 밝힌 국내 연예인은 배우 송혜교, S.E.S.의 유진, 소녀시대의 써니, 모델 겸 배우 장윤주 등이 있다.
- PS2 게임인 귀무자 시리즈의 메인 캐릭터를 연기하기도 했다. 1편과 3편에 실제 얼굴을 본뜨고 목소리와 모션 캡처를 하는 형식으로 출연했다. 게임 장르가 비교적 가벼운 액션물이라 연기에 별로 성의가 없어 보이기도 하고 말하는 장면도 있으나마나 한 수준이다(.. .).
*
메이플스토리의 대만 서버 전용맵이었던
타이베이 101에 NPC로 등장한다. 국내 메이플스토리에도 역수입되어 '마샬'이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어
커닝 스퀘어의 NPC로 등장. 개편후인
커닝 타워에서도 컷신으로 한번 등장한다.
- 굉장히 내향적인 성격으로 유명하다. 외출도 거의 하지 않아 그의 친한 지인들조차 그와 약속 한 번 잡는 것도 아주 어려운 일이라고 한다.
[1]
아버지가
일본인이고 어머니는
대만인이다. 1973년생인데 당시에는 일본과 대만 모두 자녀에게 아버지의 국적만을 부여했다.
[2]
이복형제로 3남 중 막내이다.
[3]
대만에 위치한 일본인 학교. 대만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일본어에 유창한 것은 대만 내 일본인 소학교와 중학교를 다녔기 때문이다.
[4]
일본어를 쓰는 것을 보면 어린 시절까지 반영한 듯.
[5]
공교롭게도 이 영화에
양가휘를 포함하여
유청운,
고천락등 홍콩 영화계 빅스타들이 주연으로 출연한다.
[6]
덧붙여 자신이 외모와 관련된 별명으로 불리는 이유도 자신이 아닌 배우 금성무라는 하나의 이미지 때문일 뿐이라고 말했다.
[7]
일본어로도 성씨, 이름 모두 음독이 일절 없는 순수한
훈독에 해당한다. 일본식으로 음독하면 'きんじょうぶ' 정도가 된다.
[8]
교포의 경우에는 그냥 국적이 평범하게 한국이라 한국식 이름이 공식표기인 경우 또는 외국 국적이라도 한국식 발음도 고려한 한자를 썼거나 당사자가 예명으로 한국식 이름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9]
표준 중국어 표기가 잘 고수되고 있는 것 같은 서양권에서도 의외로 이 시기의 인물들 같은 경우는 당시 중국어 방언을 통해 알려진 표기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10]
이쪽은
홍콩에서는
광동어가 주된 공용어이기도 하기에 단순히 표준중국어 표기로 통일시키는 것도 애매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그네스 차우나 에밀리 라우 같은 홍콩의 민주운동가들이 한국 언론과 인터뷰를 했을 때 앵커가 표준중국어로 인터뷰를 시도한 것이 큰 결례가 된 적도 있었다.
싱가포르에서
중국계 싱가포르인 및
말레이시아에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인사들의 경우에도
민남어 표기가 통용되고 있다.
[11]
청나라가 멸망한 뒤 탄압을 피하려 한
만주족이 성씨를 한화할 때 황성인 아이신기오로씨가 뜻을 따라 金씨로 변성했기에 만주족 성씨 중에 특히 많다. 공교롭게도 연원은 전혀 다르지만
조선에
여진인들이 귀화할 때도
금나라의 국호에서 본뜬 걸로 보이는 金씨가 부여된 경우가 많았다.
[12]
국부천대로 인해 일단은 대만계이긴 한데 사실 한국 화교들과 마찬가지로 그 이전에 분리된
중화민국계에 해당한다.
[13]
사실 스캔들이라고 알려진 사실들(ex. 비밀결혼설, 열애설, 동성애자설)마저 근거 없는 소문들이 대부분이며, 금성무 자신도 그냥 웃고 넘긴다고 한다.
[14]
대신 좋은 대본이 있으면 하고, 없으면 굳이 하려고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15]
실제로 예전 영상을 보면 같은 장면에서도 표정에 따라 쌍꺼풀이 생겼다가 없었다가 변화가 심하다. 그러던 게 아예 쌍꺼풀로 자리잡은 것일 수도 있다.
[16]
나이가 들면서 얼굴에 피하지방이 빠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눈두덩이에 서양인에 비해 피하지방이 많은 동양인들 사이에선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다.
서장훈이나
장우혁 등도 나이가 들어 쌍꺼풀이 생겨 쌍수한 것이 아니냐는 오해를 샀고, 공개적으로 이를 부인한 바 있다. 외국인 중엔
마이클 조던이 30대에 접어들며 눈두덩이에 피하지방이 빠지며 눈이 더욱 크고 뚜렷해지면서 잘생겨졌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17]
여담으로 한국배우
송혜교,
김혜수,
지진희와 각각 함께 영화를 찍은 적이 있었지만, 한국영화는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