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00:33:15

구구단

구구법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걸그룹에 대한 내용은 구구단(아이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연산
Numbers and Opera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수 체계 자연수 ( 홀수 · 짝수 · 소수 · 합성수) · 정수 · 유리수 ( 정수가 아닌 유리수) · 실수 ( 무리수 · 초월수) · 복소수 ( 허수) · 사원수
표현 숫자 ( 아라비아 숫자 · 로마 숫자 · 그리스 숫자) · 기수법( 과학적 기수법 · E 표기법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 BEAF· 버드 표기법) · 진법 ( 십진법 · 이진법 · 8진법 · 12진법 · 16진법 · 60진법) · 분수 ( 분모 · 분자 · 기약분수 · 번분수 · 연분수 · 통분 · 약분) · 소수 { 유한소수 · 무한소수 ( 순환소수 · 비순환소수)} · 환원 불능 · 미지수 · 변수 · 상수
연산 사칙연산 ( 덧셈 · 뺄셈 · 곱셈 구구단 · 나눗셈) · 역수 · 절댓값 · 제곱근 ( 이중근호) · 거듭제곱 · 로그 ( 상용로그 · 자연로그 · 이진로그) · 검산 · 연산자 · 교환자
방식 암산 · 세로셈법 · 주판 · 산가지 · 네이피어 계산봉 · 계산기 · 계산자
용어 이항연산( 표기법) · 항등원과 역원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분배법칙
기타 수에 관련된 사항 ( 0과 1 사이의 수 · 음수 · 작은 수 · 큰 수) · 혼합 계산 ( 48÷2(9+3) · 111+1×2=224 · 2+2×2) · 0으로 나누기( 바퀴 이론) · 0의 0제곱 }}}}}}}}}
구구단표
0단* 1단* 2단 3단 4단 5단 6단 7단 8단 9단
0×1=0 1×1=1 2×1=2 3×1=3 4×1=4 5×1=5 6×1=6 7×1=7 8×1=8 9×1=9
0×2=0 1×2=2 2×2=4 3×2=6 4×2=8 5×2=10 6×2=12 7×2=14 8×2=16 9×2=18
0×3=0 1×3=3 2×3=6 3×3=9 4×3=12 5×3=15 6×3=18 7×3=21 8×3=24 9×3=27
0×4=0 1×4=4 2×4=8 3×4=12 4×4=16 5×4=20 6×4=24 7×4=28 8×4=32 9×4=36
0×5=0 1×5=5 2×5=10 3×5=15 4×5=20 5×5=25 6×5=30 7×5=35 8×5=40 9×5=45
0×6=0 1×6=6 2×6=12 3×6=18 4×6=24 5×6=30 6×6=36 7×6=42 8×6=48 9×6=54
0×7=0 1×7=7 2×7=14 3×7=21 4×7=28 5×7=35 6×7=42 7×7=49 8×7=56 9×7=63
0×8=0 1×8=8 2×8=16 3×8=24 4×8=32 5×8=40 6×8=48 7×8=56 8×8=64 9×8=72
0×9=0 1×9=9 2×9=18 3×9=27 4×9=36 5×9=45 6×9=54 7×9=63 8×9=72 9×9=81

1. 개요2. 단별 특징3. 변형 구구단
3.1. 가일구구3.2. 감일구구
4. 지수5. 집합론6.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구구단 출력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九九段 / times table

기초적인 곱셈표로, 분배법칙, 지수법칙 등과 결합되어 곱셈 계산을 대단히 빠르게 한다. 구구법이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2학기 수학 2단원에 '곱셈구구'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구구단은 앞으로 배울 곱셈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인간 10진수를 사용하므로, 일반적으로 2부터 9까지의 숫자를 1부터 9까지 곱하여 나오는 값들을 늘어놓은 목록이다.[1]

특유의 리듬에 맞추어 '오 사(는) 이십, 오 오는 이십 오'와 같이 외우는 게 보통.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와 같은 멜로디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구구단송 등이 있을 것이다.
논리곱
0 1
0 0 0
1 0 1
컴퓨터의 경우, 구구단은 논리곱에 대응한다.

2. 단별 특징

십자식 구구단
× 1 2 3 4 5 6 7 8 9
<colbgcolor=#c0ffee,#666666> 1 1 2 3 4 5 6 7 8 9
2 2 4 6 8 10 12 14 16 18
3 3 6 9 12 15 18 21 24 27
4 4 8 12 16 20 24 28 32 36
5 5 10 15 20 25 30 35 40 45
6 6 12 18 24 30 36 42 48 54
7 7 14 21 28 35 42 49 56 63
8 8 16 24 32 40 48 56 64 72
9 9 18 27 36 45 54 63 72 81
1단부터 9단까지 있다. 2단과 5단이 가장 외우기 쉽다. 2단은 짝수를 작은 순서대로 말하며 십의 자릿수를 올리면 되고 5단은 0과 5를 번갈아가면서 십의 자릿수를 올리면 되기 때문이다. 5단은 두 번 외칠 때마다 십의 자릿수가 올라가니 알아서 리듬을 타 보자. 9단은 숫자는 많이 크지만 09, 18, 27, 36과 같이 십의 자리가 증가한 만큼 일의 자리가 감소한다는 규칙성이 있기 때문에 # 이 규칙만 알면 2, 5단 급으로 쉬운 축이다. 9가 10 - 1이기 때문에 무조건 일의 자리가 1씩 빠진다. 모르면 3단이 아니라 제일 마지막에 외울지도.

8단은 십의 자릿수가 1씩 늘 때 일의 자릿수가 2씩 줄다가 일의 자리가 0이 되면 다시 같은 십의 자리부터 시작해 8부터 시작해서 2씩 내려가는 방식으로 외울 수 있다.(08, 16, 24, 32, 40) 9단에서의 방법을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이걸로 외울 정도면 보통 구구단을 다 외우고 난 상태인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2씩 떨어지는 일 자리수를 거꾸로 계산한다는 점 때문에 헷갈리기 십상이며, 40에서 한 번 쉬고 넘어간다는 점 때문에 중간에 흐름이 끊길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7단까지는 7×6=42를 6×7=42에서 찾아 구하는 등 이전 및 이후 단에서 찾은 후 더하거나 빼는 식으로 교사의 물음에 빠르게 대답할 수 있으나, 8단의 경우 40까지의 계산 결과에 40씩이나 더한 값을 대답으로 요구하므로 올라가기는 벅차고 내려가기도 초등학교 2학년 치고 쉽지 않다. 이런 계륵 같은 상황에서 해당 단에서 아무거나 뽑아 무작위로 답하라는 물음에 8×8=64를 답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7단과 함께 통째로 외우는 것이 편하며 구구단에서 가장 어려운 곳으로 꼽힌다.[2]

3. 변형 구구단

3.1. 가일구구

가일구구
0단* 1단* 2단 3단 4단 5단 6단 7단 8단 9단
0×1=1 1×1=2 2×1=3 3×1=4 4×1=5 5×1=6 6×1=7 7×1=8 8×1=9 9×1=10
0×2=1 1×2=3 2×2=5 3×2=7 4×2=9 5×2=11 6×2=13 7×2=15 8×2=17 9×2=19
0×3=1 1×3=4 2×3=7 3×3=10 4×3=13 5×3=16 6×3=19 7×3=22 8×3=25 9×3=28
0×4=1 1×4=5 2×4=9 3×4=13 4×4=17 5×4=21 6×4=25 7×4=29 8×4=33 9×4=37
0×5=1 1×5=6 2×5=11 3×5=16 4×5=21 5×5=26 6×5=31 7×5=36 8×5=41 9×5=46
0×6=1 1×6=7 2×6=13 3×6=19 4×6=25 5×6=31 6×6=37 7×6=43 8×6=49 9×6=55
0×7=1 1×7=8 2×7=15 3×7=22 4×7=29 5×7=36 6×7=43 7×7=50 8×7=57 9×7=64
0×8=1 1×8=9 2×8=17 3×8=25 4×8=33 5×8=41 6×8=49 7×8=57 8×8=65 9×8=73
0×9=1 1×9=10 2×9=19 3×9=28 4×9=37 5×9=46 6×9=55 7×9=64 8×9=73 9×9=82
* 규칙이 다른 단에 비해 현저하게 쉬우므로 구구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를 써서 가일구구이다. 구구단 셈의 결과에 1을 더한 값을 외우는 방식으로, 유명하다.

3.2. 감일구구

감일구구
0단* 1단* 2단 3단 4단 5단 6단 7단 8단 9단
0×1=-1 1×1=0 2×1=1 3×1=2 4×1=3 5×1=4 6×1=5 7×1=6 8×1=7 9×1=8
0×2=-1 1×2=1 2×2=3 3×2=5 4×2=7 5×2=9 6×2=11 7×2=13 8×2=15 9×2=17
0×3=-1 1×3=2 2×3=5 3×3=8 4×3=11 5×3=14 6×3=17 7×3=20 8×3=23 9×3=26
0×4=-1 1×4=3 2×4=7 3×4=11 4×4=15 5×4=19 6×4=23 7×4=27 8×4=31 9×4=35
0×5=-1 1×5=4 2×5=9 3×5=14 4×5=19 5×5=24 6×5=29 7×5=34 8×5=39 9×5=44
0×6=-1 1×6=5 2×6=11 3×6=17 4×6=23 5×6=29 6×6=35 7×6=41 8×6=47 9×6=53
0×7=-1 1×7=6 2×7=13 3×7=20 4×7=27 5×7=34 6×7=41 7×7=48 8×7=55 9×7=62
0×8=-1 1×8=7 2×8=15 3×8=23 4×8=31 5×8=39 6×8=47 7×8=55 8×8=63 9×8=71
0×9=-1 1×9=8 2×9=17 3×9=26 4×9=35 5×9=44 6×9=53 7×9=62 8×9=71 9×9=80
* 규칙이 다른 단에 비해 현저하게 쉬우므로 구구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를 써서 감일구구이다. 가일구구를 이은 파생작. 이쯤 되면 0단과 1단도 어렵다.

4. 지수

지수 개념도 있으며 이는 단마다 같은 수를 곱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 또한 2와 3 한정으로 세제곱 이상의 거듭제곱이 존재한다. 이 성질을 알면 지수 연산이 한결 편해진다.

5. 집합론

한편 좀 더 심화된 시각으로 보면 곱집합의 사상(Map)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음으로 표현 가능하다.
[math(({\mathbb Z}\cap[1, 9])^2 \to {\mathbb Z})]
즉, 정수 순서쌍(= 격자점)에서 정수로 가는 함수로 볼 수 있다.

6.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구구단 출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그래밍 언어/예제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syntax cpp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i, j;
   for (i = 2; i <= 9; i++) {
      for (j = 1; j <= 9; j++)
         printf("%d × %d = %d\n", i, j, i * j);
   }
   
   return 0;
}


위 코드는 C언어 기준이다. 다른 언어의 예는 문서 참조.

7. 기타

8. 관련 문서


[1] 0단, 1단의 경우 0 × n = 0, 1 × n = n이므로 가장 쉬워서 열외하는 경우가 절대 다수다. 여기서 1은 곱셈에 대한 항등원임을 알 수 있다. [2] 7의 특성상 구구단에서 7단이 제일 어려웠다고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 미국은 12진법을 많이 쓰는 미국 단위계를 채택한 나라다. 길이의 단위인 1foot(feet)도 12inch. 그리고 우리는 연필에만 적용하는 dozen을 자주 쓴다. [4] 예를 들면 51×49의 경우, (50+1)(50-1)=50²-1²(=2500-1=2499)로 계산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 물론, 해당 곱셈이 어떤 꼴의 다항식인가를 눈치챌 수 있어야 한다. [5] 그래도 10, 11, 12, 15단은 그나마 쉬운 편이다. [6] 곱셈공식 [math((x+a)(x+b) = x^2 + (a+b)x + ab)]에서 [math(x)]에 10을 대입하고 적절히 정리한 것과 같다. 예를 들면,
19 × 19
= (19+9)×10 + 9×9
= 280 + 81 = 361
이 되는 것.
[7] 사실 90년대 초중반2021년 기준으로 30대 후반 아저씨, 아주머니들의 어린시절에도 구구단을 못 외우면 나머지공부를 하는 것이 아주 당연했다. [8] 일제 당시 간이학교는 2학년까지만 있었는데, 간이학교 산수 시간에는 1학년 1학기 때 기초적인 수 개념과 덧셈, 뺄셈 정도만, 1학년 2학기에서 곱셈과 나눗셈 등을 가르쳤기 때문. 1학년 3학기 때는 그 동안 배운 사칙연산을 활용하는 단계에 접어들고, 2학년 때는 반올림, 분수, 소수, 주산을 배웠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