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22:59:11

경복궁 교태전

교태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6em"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칠궁 양정재 수궁(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지희실 경농재(관풍루) 대유헌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 만화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공상청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회광당(빈궁 내소주방) 광원당(빈궁 외소주방)
원역처소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제관방 원역처소(접견소) 장방(기무처) 영사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상궁처소) 웅향당(상궁처소)
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상궁처소)
임향당 나인처소
국별장직소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상궁처소) 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
교태전 원길헌
복희당(대전 생물방)
국출신직소 흠경각
양의문 대전 내소주방 난지당(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나인처소)
무겸직소 응지당 강녕전 연길당
북소위장직소 경성전 연생전
수문 파수각 향오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장방( 내시부)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자선당 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전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수정문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세자궁 수랏간
훈국군번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 계인문
융문루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 내의원) 영화문 계방
옥당
(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숭양문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책고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흥례문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내구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복궁 강녕전
景福宮 康寧殿
창덕궁 대조전
昌德宮 大造殿
창경궁 통명전
昌慶宮 通明殿
덕수궁 함녕전
德壽宮 咸寧殿
경희궁 융복전
慶熙宮 隆福殿
경복궁 교태전
景福宮 交泰殿
경희궁 회상전
慶熙宮 會祥殿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교태전
景福宮 交泰殿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세종로)
건축시기 1440년 추정 (창건)
1867년 (중건)
1888년 (중건)
1995년 (복원)
파일:교태전_전경.jpg
<colbgcolor=#bf1400> 교태전[1]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5. 여담6. 부속 건물
6.1. 원길헌6.2. 함홍각6.3. 건순각6.4. 함원전
7. 아미산8.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건물로 왕비의 정식 침전, 즉 중궁전이다.

임금의 침전인 강녕전의 북쪽에 있다. 광화문부터 시작된 경복궁 중심축의 제일 끝을 장식하는 건물이다.

현판 글씨는 고종의 사촌형이자 문신 완림군 이재원(1831 ~ 1891)이 썼다. # 1994년에 옛 사진을 바탕으로 복원한 것이다. # 광화문 현판과 같은 케이스.

2. 이름

이름은 《 주역(周易)》의 64괘 중 '11괘'인 '태괘(泰卦)'의 '천지교태(天地交泰)'에서 유래했다.

태괘는 위에 음(陰)을 상징하는 곤(坤,땅), 아래에 양(陽)을 상징하는 건(乾, 하늘)이 있는 모양이다. 이것은 하늘과 땅의 기운이 서로 내려가고 올라가면서 만나 교통(交通)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두고, ( 남자, 양)과 왕비( 여자, 음)가 서로 잘 지내어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뜻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후술하겠지만, 교태전은 원래 중궁전으로 기능했던 곳이 아니다. 조선 초기에 처음 지을 당시에는 임금과 신하가 만나 정사를 돌보고 유희를 즐기는 공간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저기서 말하는 음양을 여성, 남성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신하와 군주로 풀이하는 것이 더 적절할 듯 하다.

3. 역사

태조 시절에 경복궁의 주요 건물들을 창건했으나, 교태전을 처음 지은 것은 세종 연간이었다. 《 세종실록》의 이 기사를 볼 때 1440년( 세종 22년) 이후에 건립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세조 때에는 신하들을 만나 나랏일을 의논하기도 하고 # 공적인 잔치도 열었다. # 이런 기록을 볼 때, 조선 초기엔 내전에 딸린 편전 기능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1553년( 명종 8년)에 화재로 불탄 후 2년 뒤 재건했고 1557년(명종 12년)에는 처마를 보수하여 홑처마를 겹처마로 바꾸었다. # 1592년( 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불탄 뒤 270여 년간 방치 상태로 놓였다가 1867년( 고종 4년)에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다시 세웠다. 교태전이 중궁전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이때부터인 듯 하다.

중건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1873년(고종 10년)에 불타 다시 지었는데 1876년(고종 13년)에 또 불탔고(...) 1888년(고종 25년)에 재건했다.

일제강점기 이후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때엔 귀빈관으로 사용했다가 1917년 불타 없어진 창덕궁 내전을 재건할 때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내전 건물을 자재로 쓰면서 해체, 이전하여 지금은 대조전 건물이 되었다.

그후 일제가 전국 각지에서 강제로 옮긴 석탑, 부도 등을 놓아두었고, 그런 상태가 80년 가까이 지속되었다. 그러다가 문화재관리국에서 경복궁 종합 정비 계획 사업의 일환으로 1995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colbgcolor=#bf1400> 경복궁 침전 복원 사업. 복원 중인 교태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4. 구조

파일:경복궁 전도 교태전 강녕전.png }}} ||
<colbgcolor=#bf1400> 〈경복궁전도〉에서 묘사한 내전 영역
영조 때 만든, 조선 초기 경복궁의 모습을 묘사한 그림 〈경복궁전도(景福宮全圖)〉를 보면 강녕전과는 한 영역으로 묶여있고 강녕전의 부속 건물 연생전, 경성전 복도로 이어져있다. 이는 완전히 영역이 떨어진 지금과 많이 다른 모습이다.
파일:교태전 대청.png }}} ||
<colbgcolor=#bf1400> 교태전 대청[5]
파일:교태전 서온돌.png }}} ||
파일:교태전 동온돌.png
||
교태전 서온돌[A] <colbgcolor=#bf1400> 교태전 동온돌[A]
파일:교태전 일대 배치도.png }}} ||
교태전 및 행각 내부 구성도
내부는, 가운데 정면 3칸, 측면 2칸을 대청으로 놓고 칸을 나누지 않고 한 공간으로 뚫어 넓게 쓸 수 있게 하였으며 천장은 우물 반자[8]로 막고 단청을 아름답게 칠하여 화려함을 부각하였다. 대청을 중심으로 동, 서 양 옆의 정면 2칸, 측면 2칸을 온돌방을 두었으며 앞면의 협칸과 측면의 칸들을 모두 마루로, 뒷면의 협칸은 쪽방으로 구성했다. 온돌방의 경우, 대청 쪽의 칸은 1칸으로 통하여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대청과 온돌방을 연결하는 문은 중앙에만 창호를 두고 그 위 아래로 종이를 바른 불발기[9] 양식으로 설치하였다. 원래 각 방의 장지문마다 그림이 그려져 있었으나 지금은 창호지만 발라져있다. 단, 아미산으로 나가는 대청의 뒷 쪽 출입문에 2010년대 들어 십장생도를 그려넣어 보다 화려한 느낌을 준다. 원래 십장생에 없는 석류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다산을 상징한다고. #

5. 여담

6. 부속 건물

아래의 건물들을 제외하고도 동남쪽의 체인당(體仁堂), 남동쪽의 승순당(承順堂), 서남쪽의 내순당(乃順堂), 남서쪽의 보의당(輔宜堂)이 있다.

6.1. 원길헌

파일:원길헌.png
<colbgcolor=#bf1400> 원길헌[A]
景福宮 元吉軒

원길헌은 동쪽에 위치한 부속 전각으로, 이름 뜻은 《 주역(周易)》의 '태괘(泰卦)'와 '곤괘(坤卦)'에서 유래했으며 '크게 선하여 길하다'는 뜻이다. 조선 초기엔 없었고 1867년( 고종 4년) 경복궁 중건 당시 처음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의 역사는 교태전과 같다.

출입문 쪽 벽면은 전면창호가 아니라 문선과 중방 사이에 창문을 내었다. 온돌방이 큰 3칸, 쪽방 3칸의 6칸, 마루가 대청 2칸, 쪽마루 2칸의 4칸, 다 합쳐 총 10칸 규모로 되어있는데, 동쪽 대청에서 남쪽으로 연결되는 동쪽 행각의 일부를 포함하여 그 부분까지 합쳐 실제로는 온돌방 2칸을 더 활용할 수 있다. 건물 앞쪽에 쪽마루를 설치해서 교태전 건물 안에서는 물론 건물 밖에서도 신발을 벗고 이동하기 편하게 만들었다. 기단의 높이가 교태전보다 한 단 낮아 건물 서열이 교태전보다 아래임을 확실하게 나타내고 있다. #

1890년대 고종 건청궁에 머물던 시기엔 다양한 용도로 쓰였다. < 일성록>엔 약원(藥院)들이 여기서 진료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종이 외국 공사를 접견하기도 했다. # 이후 일제강점기이던 1917년 창덕궁 내전 재건 때 철거, 이전되어 원래의 원길헌은 흥복헌(興福軒)이 되어있다. 지금의 건물은 1995년 복원된 것이다.

복원할 때 현판 조선 시대 원형과 달라 논란이 일었다. 옛 사진을 보면 흰 바탕에 짙은 글씨[13]인데, 복원한 모습은 검은 바탕에 흰 글씨이기 때문이다. 현재는 흰 바탕에 검은 글씨로 바뀌었다.

6.2. 함홍각

파일:함홍각.png
<colbgcolor=#bf1400> 함홍각[A]
景福宮 含弘閣

함홍각은 교태전 서쪽에 위치한 부속 전각이다. 이름은 《 주역(周易)》 '곤괘(坤卦)'에 나오는 '함홍광대(含弘光大)'에서 유래했으며 '포용하고(含) 너그럽다(弘)'는 뜻이다.

역사와 건물의 구조는 원길헌과 동일하다. 단, 원길헌과 달리 북쪽에도 행각을 두었으며 남쪽 행각과 대칭을 이루고 있다. #

6.3. 건순각

파일:건순각.png
<colbgcolor=#bf1400> 건순각[A]
景福宮 健順閣

건순각은 교태전 동북쪽에 위치한 부속 전각이다. 이름은 《 주역(周易)》에 나온 건괘(乾卦)는 굳건하고(健: 건)과 곤괘(坤卦)는 순하다(順: 순)는 의미의 '건건곤순(乾健坤順)'에서 유래했다. 역사는 원길헌, 함홍각과 같다.

평면이 'ㄱ'자이며 교태전과 이어지는 쪽은 누각형 마루로 되어있어 아랫쪽에 기단이 없고 기둥으로 받쳐져있는데 그렇게 길지 않은 높이이다. 그 옆으로 온돌방을 2칸 놓았으며 그 북쪽에 마루 2칸을, 그리고 마루방 옆에 온돌방을 2칸 놓았다. 건물 앞쪽에 쪽마루를 설치해서 교태전 건물 안에서는 물론 건물 밖에서도 신발을 벗고 이동하기 편하게 만들었다. #

현판은 건물의 서북쪽, 아미산을 바라보는 면에 있으며 1995년 복원되었는데 현판이 조선 시대 원형과 달라 논란이 일었었다. 옛 사진을 보면 흰 바탕에 검은 글씨로 되어있는데, 복원한 현판은 검은 바탕에 흰 글씨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2010년대 말에 원래 색대로 복원하였다.

6.4. 함원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함원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아미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아미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대중매체에서

파일:명성황후 8화의 대조전.png }}} ||
<colbgcolor=#bf1400> 명성황후〉 8화에 나온 교태전. 대조전으로 현판을 바꿔 촬영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보통 한옥의 경우 단층(單層)이라 표현한다. [3] 모양의 부재. [4] 정면과 측면이 협칸 이상의 규모를 가질 때 바깥의 기둥이 만들어내는 열을 외진(外陣)이라고 하고, 그 기둥열을 외진주(外陣柱)라고 한다. 또한 안쪽의 기둥이 만들어내는 열을 내진(內陣)이라고 하고, 그 기둥열을 내진주(內陣柱)라고 한다. [5]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A] 사진 출처 - 카카오맵. [A] [8] 서까래가 안보이게 천장을 가리고 평평하게 만드는 구조물. [9] 종이를 두껍게 바른 장지문의 한가운데에 교살이나 완자 살을 짜 대고 창호지를 바른 . [10] 실제로 전통 가옥을 용마루 없이 지으면, 서까래를 고정하기 어려워 굉장히 힘들다고 한다. [11] 사실 함녕전 경복궁의 침전 중 하나였던 만화당(萬和堂) 이거 아니다을 옮겨 지은 것이다. 그래도 명색이 황제의 침전인데 용마루를 그대로 냅둔 것을 봐서는 무량각에 그렇게 크게 신경을 쓰지 않은 게 맞는 것 같다. [A] [13] 진한 청색인지 단순히 검은 색인지 알 수 없다. [A] [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 ( 이전 역사)
문서의 r879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