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함수 Special Functio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83B3D><colcolor=#fff> 적분 | 오차함수(error function)( 가우스 함수 · 가우스 적분 함수) · 베타 함수( 불완전 베타 함수) · 감마 함수( 불완전 감마 함수 · 로그 감마 함수) · 타원 적분 · 야코비 타원 함수 · 지수 적분 함수 · 로그 적분 함수 · 삼각 적분 함수 · 쌍곡선 적분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미분방정식 | 르장드르 함수[math(^\ast)] ( 구면 조화 함수) · 베셀 함수 · 에르미트 함수 · 라게르 함수 · 에어리 함수 | |
역함수 | 브링 근호 · 람베르트 W 함수 · 역삼각함수 | |
급수 | 제타 함수 · 후르비츠 제타 함수 · 세타 함수 · 초기하함수 · 폴리로그함수 · 폴리감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 |
정수론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뫼비우스 함수 · 최대공약수 · 최소공배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피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바쁜 비버 함수 | |
기타 | 헤비사이드 계단함수 · 부호 함수 · 테트레이션( 무한 지수 탑 함수) · 지시함수 · 바닥함수 / 천장함수 · 허수지수함수 · 혹 함수 | |
[math(^\ast)] 특수함수가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이지만, 편의상 이곳에 기술했다. |
통계학 Statistic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4d4d4d><colcolor=#fff> 수리통계학 | 기반 | 실해석학 ( 측도론) · 선형대수학 · 이산수학 |
확률론 | 사건 · 가능성 · 확률 변수 · 확률 분포 ( 표본 분포 · 정규 분포 · 이항 분포 · 푸아송 분포 · 카이제곱분포 · t분포 · Z분포 · F-분포 · 결합확률분포) · 확률밀도함수 · 확률질량함수 · 조건부확률 · 조건부기댓값 · 조건부분산 · 전체 확률의 법칙 · 베이즈 정리 · 도박사의 오류 · 도박꾼의 파산 · 몬티 홀 문제 · 뷔퐁의 바늘 · 마르코프 부등식 · 체비쇼프 부등식 · 큰 수의 법칙 ( 무한 원숭이 정리) · 중심극한정리 · 벤포드의 법칙 | ||
통계량 | 평균 ( 산술 평균 · 기하 평균 · 조화 평균 · 멱평균 · 대수 평균) · 기댓값 · 편차 ( 절대 편차 · 표준 편차) · 분산 ( 공분산) · 결정계수 · 변동계수 · 상관계수 · 대푯값 · 자유도 | ||
추론통계학 | 가설 · 변인 · 추정량 · 점추정 · 신뢰 구간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실험통계학 · p-해킹 · 통계의 함정 · 그레인저 인과관계 · 신뢰도와 타당도 | ||
통계적 방법 | 회귀 분석 · 최소제곱법 · 분산 분석 · 주성분 분석 ( 요인 분석) · 시계열 분석 · 패널 분석 · 2SLS · 생존 분석 · GARCH · 비모수통계학 · 준모수통계학 · 기계학습 ( 군집 분석 · 분류 분석) · 위상 데이터분석 · 외삽법 · 메타 분석 · 모델링 ( 구조방정식) | ||
기술통계학 · 자료 시각화 | 도표 ( 그림그래프 · 막대그래프 · 선 그래프 · 원 그래프 · 상자 수염 그림 · 줄기와 잎 그림 · 산포도 · 산점도 · 히스토그램 · 도수분포표) · 그래프 왜곡 · 이상점 | }}}}}}}}} |
1. 개요
Gaussian integral · 가우스 積 分가우스 함수[1] [math(f(x)=e^{-x^{2}})]의 실수 전체값에 대한 이상적분이며, 그 값은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 e^{-x^{2}}\,{\rm d}x=\sqrt{\pi} )]
2. 상세
2.1. 값 유도
2.1.1. 방법 1: 극좌표계 변환
위 적분의 값은 극좌표계를 통한 적분으로 구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다음과 같은 중적분을 고려하자.[math(\displaystyle \biggl( \int_{-\infty}^{\infty} e^{-x^{2}}\,{\rm d}x \biggr)\biggl( \int_{-\infty}^{\infty} e^{-y^{2}}\,{\rm d}y \biggr) =\int_{-\infty}^{\infty} \int_{-\infty}^{\infty} e^{-x^{2}}e^{-y^{2}}\,{\rm d}x{\rm d}y )]
그런데, [math(x)], [math(y)]는 적분 시 사라지는 더미변수로써 위 값은
[math(\displaystyle \biggl( \int_{-\infty}^{\infty} e^{-x^{2}}\,{\rm d}x \biggr)\biggl( \int_{-\infty}^{\infty} e^{-y^{2}}\,{\rm d}y \biggr)=\biggl( \int_{-\infty}^{\infty} e^{-x^{2}}\,{\rm d}x \biggr)^{2} )]
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적분을 간단히하면,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 \int_{-\infty}^{\infty} e^{-(x^{2}+y^{2})}\,{\rm d}x{\rm d}y )]
이것을 극좌표계로 변환하면, [math({\rm d}x{\rm d}y \to r\, {\rm d}r {\rm d}\theta)], [math(x^2+y^2 \to r^{2})]으로 쓸 수 있고, 적분 구간은 [math(r)]이 [math([0, ∞))], [math(\theta)]가 [math([0, 2\pi])]가 됨에 따라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2\pi} \int_{0}^{\infty} r e^{-r^{2}}\,{\rm d}r {\rm d}\theta \\&= \int_{0}^{2\pi} {\rm d}\theta \int_{0}^{\infty} r e^{-r^{2}}\,{\rm d}r \end{aligned} )]
이 때, [math(s=-r^2)]으로 치환하면[다른풀이] [math({\rm d}r \to -{{\rm d}s}/{2r})]로 쓸 수 있고, 적분 구간은 [math([0, \,-\infty))]가 됨에 따라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2\pi} {\rm d}\theta \int_{0}^{-\infty} -\frac{1}{2} e^s \,{\rm d}s \\ &\int_{0}^{2\pi} {\rm d}\theta \int_{-\infty}^{0} \frac{1}{2} e^s \,{\rm d}s \\ &=2\pi \biggl[ \frac{e^x}{2} \biggr]_{-\infty}^{0} \\ &=2\pi \biggl(\frac{1}{2}-0 \biggr) \\&=\pi \end{aligned} )]
이상에서
[math(\displaystyle \biggl( \int_{-\infty}^{\infty} e^{-x^{2}}\,{\rm d}x \biggr)^{2} =\pi )]
임에 따라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 e^{-x^{2}}\,{\rm d}x=\sqrt{\pi} )]
이 증명된다. 적분값을 양수로 취하는 것은 모든 실수 [math(x)]에 대하여 [math(f(x)=e^{-x^2}>0)]이어서 정적분의 값 또한 양수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math(f(x)=e^{-x^2})]에 대하여 [math(f(x)=f(-x))][3]가 성립하므로
[math(\displaystyle \int_{0}^{\infty} e^{-x^{2}}\,{\rm d}x=\int_{-\infty}^{0} e^{-x^{2}}\,{\rm d}x=\frac{\sqrt{\pi}}{2} )]
가 된다.
2.1.2. 방법 2: 기하학적 방법[4]
함수 [math(f(x)=e^{-x^2})]을 [math(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 곡면 [math(f(x,\,y)=e^{-(x^{2}+y^{2})})]을 얻는다. 이 곡면과 [math(xy)]평면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부피를 구해보자. 이때, [math(0<e^{-x^{2}} \leq 1)]임을 상기하고,[math(\displaystyle e^{-x^2}=y \quad \to \quad [x(y) ]^{2}=-\ln{y} )]
로 부터 회전체의 부피 공식을 사용하면,
[math(\displaystyle \pi \int_{0}^{1} [x(y) ]^{2}\,{\rm d}y=\pi )]
로 구해진다. 한편, 곡면 [math(z=f(x,\,y))]를 평면 [math(x=a)]로 잘라서 생기는 단면의 넓이를 적분해서도 구할 수 있으며, 그 단면의 넓이를 우선적으로 구하면,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 e^{-(y^2+a^2)}\,{\rm d}y=e^{-a^2}\int_{-\infty}^{\infty} e^{-y^2}\,{\rm d}y )]
이제 이 면적을 [math(a)]에 대해 적분하면,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 e^{-a^2} \biggl( \int_{-\infty}^{\infty} e^{-y^2}\,{\rm d}y \biggr) {\rm d}a= \biggl( \int_{-\infty}^{\infty} e^{-a^2}\,{\rm d}a \biggr) \biggl( \int_{-\infty}^{\infty} e^{-y^2}\,{\rm d}y \biggr) )]
그런데 [math(y)], [math(a)]는 각각 적분 시 상쇄되는 더미변수로서 이 값을
[math(\displaystyle \biggl( \int_{-\infty}^{\infty} e^{-a^2}\,{\rm d}a \biggr) \biggl( \int_{-\infty}^{\infty} e^{-y^2}\,{\rm d}y \biggr)=\biggl( \int_{-\infty}^{\infty} e^{-y^2}\,{\rm d}y \biggr)^{2} )]
으로 생각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해당 값과 회전체의 부피 공식을 이용해서 구한 부피는 같아야 하므로
[math(\displaystyle \biggl( \int_{-\infty}^{\infty} e^{-y^2}\,{\rm d}y \biggr)^{2}=\pi )]
이에 방법 1과 같은 결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2.2. 오차함수(error function)
다음과 같은 함수를 고려해보도록 하자.[math(\displaystyle F(t)=\frac{2}{\sqrt{\pi}}e^{-t^{2}} )]
이때,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infty} F(t)\,{\rm d}t=1 \end{aligned} )]
으로 규격화시킬 수 있고, 이때 적분의 상한을 변수로 한 함수
[math(\displaystyle \frac{2}{\sqrt{\pi}} \int_{0}^{x} e^{-t^{2}}\,{\rm d}t := \mathrm{erf}(x) )]
을 오차함수(error function)라 정의한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자.
2.3. 연관된 적분
가우스 적분을 통하여 유도할 수 있다. 단, [math(a)]는 [math(a>0)]인 상수이고, [math(n)], [math(m)]은 자연수이다.-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 e^{-ax^2} \,{\rm d}x = \sqrt{\frac{\pi}a})]
-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 e^{-ax^2+bx} \,{\rm d}x = e^{b^2/4a} \sqrt{\frac{\pi}a})]
- [math(\displaystyle \int_0^\infty x^{2n}e^{-ax^2} \,{\rm d}x = \dfrac{Γ(2n)}{2^{n+1}a^n} \sqrt{\dfrac{\pi}a})]
- [math(\displaystyle \int_0^\infty x^{2n-1}e^{-ax^2} \,{\rm d}x = \dfrac{Γ(n)}{2a^n})]
조금 더 심화된 적분으로는 다음이 있다.
-
[math(\displaystyle \int_0^\infty x^{n-1} e^{-ax^m} \,{\rm d}x = \dfrac1m a^{-n/m} \,\Gamma \Bigl( \frac nm \Bigr) )]
[math(ax^m=t)]
로 치환하자. 그러면
[math(x = a^{-\frac1m} t^{\frac1m} )]
이고
[math({\rm d}x = \dfrac1m a^{-\frac1m} t^{\frac1m-1}\, {\rm d}t)]
이다. 이를 위의 정적분에 대입하자.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infty x^{n-1} e^{-ax^m} \,{\rm d}x &= \int_0^\infty a^{-\frac{n-1}m} t^{\frac{n-1}m} e^{-t} \cdot \frac1m a^{-1/m} t^{\frac1m-1} {\rm d}t \\
&= \frac1m a^{-\frac{n-1}m} a^{-1/m} \int_0^\infty e^{-t} t^{\frac{n-1}m} t^{\frac1m-1} {\rm d}t \\
&= \frac1m a^{-n/m} \int_0^\infty e^{-t} t^{\frac nm-1} {\rm d}t \\
&= \frac1m a^{-n/m} \Gamma \Bigl( \frac nm \Bigr)
\end{aligned} )]
}}}||
3. 기타
- 정규분포를 다룰 때 나오는 중요한 적분이다.
- 양자역학에서 간간히 등장하는 적분이다.
- 프레넬 적분법을 이용하여 [math(\sin{x^2})], [math(\cos{x^2})]를 적분할때 쓰인다.
- 어도비 포토샵의 흐림 효과 중 하나인 '가우시안 흐림 효과'에 이 적분법이 쓰인다. 포토샵 보정에서 애용된다.
-
앞서 제시된 극좌표계 변환을 이용한 증명이 표현된 영상이다.
4. 관련 문서
[1]
여기서는
정규분포를 말한다. 입말로
최대 정수 함수를 '가우스 함수'로 칭하곤 하기 때문에 혼동이 있다.
[다른풀이]
[math(r e^{-r^{2}}= \dfrac{\rm{d}}{\rm{d}\it{r}}\biggl( -\dfrac{1}{2}e^{-r^{2}}\biggr))]로 치환하면 미분과 적분이 만나 사라지고, 구간 값만 대입하여 [math(\dfrac{1}{2})]을 얻을 수 있다.
[3]
즉, [math(f(x))]는
짝함수(우함수; even function)임을 알 수 있다.
[4]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