姑 시어미 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女,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コ
|
||||||
일본어 훈독
|
しばら-く, しゅうと, しゅうとめ
|
||||||
-
|
|||||||
표준 중국어
|
g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姑는 '시어미 고'라는 한자로, '시어머니', '고모'[1], '잠깐'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시어미 |
음 | 고 | |
중국어 | 표준어 | gū |
광동어 | gu1 | |
객가어 | kû | |
민동어 | gŭ | |
민남어 | ko͘ | |
오어 | ku(T1) | |
일본어 | 음독 | コ |
훈독 | しばら-く, しゅうと, しゅうとめ | |
베트남어 | cô |
유니코드에는 U+59D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VJR(女十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女(계집 녀)와 소리를 나타내는 古(예 고)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고감(姑 減)
- 고고(姑姑)
- 고고매(姑姑 妹)
- 고공(姑 公)
- 고광대(姑 廣 大)
- 고구(姑 舅)
- 고낭(姑 娘)
- 고랑채(姑 娘 菜)
- 고립마(姑 立 馬)
- 고면(姑 免)
- 고모(姑 母)
- 고방(姑 放)
- 고보(姑 保)
- 고부(姑 婦)
- 고부(姑 夫)
- 고사(姑 捨)
- 고서(姑 徐)
- 고선(姑 先/姑 洗)
- 고숙(姑 叔)
- 고식(姑 息)
- 고식(姑 媳)
- 고유(姑 惟)
- 고의(姑 依)
- 고자(姑 姉)
- 고종(姑 從)
- 고질(姑 姪)
- 고침(姑 寢)
- 고파(姑 婆)
- 구고( 舅姑)
- 군고( 君姑)
- 금복고( 金 僕姑)
- 기고( 箕姑)
- 노고( 老姑)
- 달고적( 達姑 狄)
- 담파고( 談 婆姑)
- 마고( 麻姑)
- 발고( 勃姑)
- 사고갱( 師姑 秔)
- 소고( 小姑)
- 서고( 鼠姑)
- 옹고( 翁姑)
- 외고( 外姑)
- 이고( 尼姑)
- 자고( 慈姑)
- 조고( 祖姑)
- 존고( 尊姑)
- 홍고랑( 紅姑 娘)
- 황고( 皇姑)
3.2. 고사성어/ 숙어
- 고망언지(姑 妄 言 之)
- 고부지례(姑 婦 之 禮)
- 고식지계(姑 息 之 計)
- 마고소양( 麻姑 搔 痒)
- 마고파양( 麻姑 爬 痒)
- 부로위고( 婦 老 爲姑)
- 인순고식( 因 循姑 息)
- 제고백숙( 諸姑 伯 叔)
3.3. 인명
3.4. 지명
- 강원도 고성군 수동면 고미성리(姑 味 城 里)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고소성리(姑 蘇 城 里)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고산길(姑 山길)
-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고소리(姑 蘇 里)
-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노고단로( 老姑 壇 路)
- 전라남도 여수시 고소동(姑 蘇 洞)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姑 堂 里)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估/ 𧵑(값 고)
- 跍(걸터앉을 고)
- 𦍩(검은암양 고)
- 𦙶(넓적다리 고)[2]
- 䀦(노려볼 고)
- 鈷(다리미 고)
- 酤(단술 고)
- 蛄(땅강아지 고)
- 枯/ 𤖲(마를 고)
- 㱠/ 𣧮(말라죽을 고)
- 鮕(물고기이름 고)
- 䑩(배 고)
- 秙(벼여물지않을 고)
- 𩊉(북 고)[3]
- 沽(살/팔 고)
- 軲(수레 고)
- 𧣗(술잔 고)[4]
- 牯(암소 고)
- 狜(오랑캐이름 고)
- 𢏆(작은활 고)
- 詁(주낼 고)
- 咕(투덜거릴 고/구)
- 𥿍(풀이름 고)
- 𡲞/ 𤿛/ 𢩍/ 𡱨(허물 고)
- 骷(해골 고)
- 𡊜(경계 점)
- 怙(믿을 호)
- 䊀(반죽할 호)
- 祜/ 𧙖(복 호)
- 𩚩(죽 호)
- 𪏻(차질 호)
- 岵(초목이우거진산 호)
- 𩰯(풀칠할 호)[5]
- 姡(교활할 활)
- 𦧒(고)
- 𠳬(긍)
- 𧮴(행)
- 𩢪(호)
- 𠷞
- 𡪻
- 𪡻
- 𡳰
- 𢫈
- 𤇌
- 𣗺
- 𦹵
- 𪻕
- 𥑮
- 𥩪
- 𨈰
- 𩾀
- 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