爲 할/하 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爪,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為
|
|||||||
일본어 음독
|
イ
|
||||||
일본어 훈독
|
す-る, ため, つく-る, な-す, な-る
|
||||||
为
|
|||||||
표준 중국어
|
wéi, wè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획순
|
[clearfix]
1. 개요
爲는 '할 위'라는 한자로, '하다', '되다', '위(爲)하다' 등을 뜻한다. '하 위'라고도 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23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月竹弓火(BHNF)로 입력한다. 중화권에서 쓰는 자형 為는 戈大弓火로 입력한다.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하다 | <colbgcolor=#fff,#1f2023>위하다 |
음 | 위 | 위 | |
중국어 | 표준어 | wéi | wèi |
광동어 | wai4 | wai6 | |
객가어 | vì | vi | |
민동어 | ùi | ôi | |
민남어 | ûi | ūi | |
오어 | hhue (T3) | hhue (T3) | |
일본어 | 음독 | イ | イ |
훈독 |
す-る, つく-る, な-す, な-る |
ため | |
베트남어 | vi | vị |
이 글자는 다음자로, '위하다'라는 뜻의 개사(전치사)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그 밖의 다른 뜻으로 쓰일 때는 평성으로 읽는다.
3. 자형
원래 갑골문상에서 이 글자는 又(또 우) 자와 象(코끼리 상) 자가 합쳐진 회의자로, 손으로 코끼리를 잡아 부리는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 소전에서 이 형태는 크게 일그러져, 위쪽은 爪(손톱 조) 자의 형태로 바뀌고, 아래쪽은 다른 한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자원을 '어미 원숭이(母猴也)'로 잘못 풀이했다. 이후 예서에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정착되고 해서를 거쳐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속자로는 為가 있다. 대만, 홍콩, 일본에서는 이 형태가 표준이며, 한국에서도 조선 시대에는 곧잘 이렇게 쓰기도 했다. 爲와 為가 합쳐진 형태의 이체자 𤔡도 있다.[1] 간체자에서는 為를 더 줄인 为 형태를 채택했다.[2] 초서로 쓰면 ゐ 모양이 되며, 이것이 히라가나로 도입되었다.[3]
4. 용례
한문 고전에서 以爲라는 용법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는 '...를 ~로 여기다, 삼다.'는 뜻으로, 영어에서 regard A as B 등 표현과 같다. 한문 시간에 이 한자의 뜻을 외울 때 '위하여 되삼'으로 외운 경험이 있을 것이다.[4]한문을 본격적으로 다루다 보면 (A)爲B所C라는 용법을 자주 볼 수 있다. 처음 보면 해석을 헤맬 수 있는데 잘 뜯어보면 'A가 B에게 C되는 바가 되어'라는 뜻으로 곧 '(A)가 B에게 C당하다.'라고 해석한다. 간단하고 자주 사용되었으므로 한문을 본격적으로 공부한다면 알아둬야 할 용법이다.
옛 향찰에서는 고대 한국어 어휘 '*sik-'('시키다'의 어원) 혹은 '*hoy-'('하다'의 어원)의 뜻을 새기는 데 사용된 글자였다.
4.1. 단어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 가쓰시카 오이( 葛 飾 応為)
- 나가오 타메카게( 長 尾 為 景)
- 등위( 邓为)
- 라이덴 타메에몬( 雷 電 爲 右 衛 門)
- 타메스에 다이(為 末 大)
- 타메가이 카츠미(爲 我 井 克 美)
- 타메나가 시온(為 永 幸 音)
- 타메미즈 쇼타로(為 水 翔 太 郎)
4.4. 지명
4.5. 기타
- 입시 위주 교육( 入 試 爲 主 敎 育)
- 진충보국 위충진명( 盡 忠 報 國 爲 忠 盡 命): 수도방위사령부의 슬로건
-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내 一 生 祖 國과 民 族을 爲하여): 박정희 前 대통령을 대표하는 휘호
5. 중국어
为는 성조에 따라 다음 두가지 뜻을 갖는다- 为 (wèi) : ~를 위해 (为了~)
-
为 (wéi) : ~가 되다 (成为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