忠 충성 충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チュウ
|
||||||
일본어 훈독
|
まごころ
|
||||||
-
|
|||||||
표준 중국어
|
zhō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忠은 '충성 충'이라는 한자로, ' 충성(忠成)', '공평'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U+5FE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P(中心)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心(마음 심)과 소리를 나타내는 中(가운데 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공평한( 中) 마음( 心)이라는 뜻의 회의자식 해설도 있다.
본뜻은 '올곧은 마음'으로, 진심을 뜻하는 한자였다. 그러하던 것이 변하여 ' 임금이나 나라에 대한 충성'을 뜻하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시호
고려의 역대 왕들 중에서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은 시호 앞에 ' 원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한다'라는 뜻으로 '충(忠)'자를 넣어야만 했다. 또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고려 고종(충헌왕: 忠憲王)과 원종(충경왕: 忠敬王) 또한 이 '충(忠)자돌림'의 시호를 원나라로부터 받았었다.3.4. 인명
한국인의 인명에 많이 쓰인다.- 곽충보( 郭忠 輔)
- 김충선( 金忠 善)
- 나가하마 다다오( 長 浜 忠 夫)
- 등충( 鄧忠)
- 마충( 馬忠)
- 박충근( 朴忠 根)
- 박충재( 朴忠 裁)
- 박충훈( 朴忠 勳)
- 소네노 요시타다( 曽 禰 好忠)
- 신충식( 申忠 植)
- 오오츠카 호츄( 大 塚 芳忠)
- 이진충( 李 盡忠)
- 이충( 李忠)
- 이충주( 李忠 主)
- 이충희( 李忠 熙)
- 정충신( 鄭忠 信)
- 조충훈( 趙忠 勳)
- 최충수( 崔忠 粹)
- 최충연( 崔忠 然)
- 최충헌( 崔忠 獻)
- 혼다 타다카츠( 本 多 忠 勝)
- 황충( 黃忠)
- 후지와라노 아사타다( 藤 原 朝忠)
3.5. 지명
3.6. 창작물
3.7. 기타
- 국립현충원( 國 立 顯忠 院)
- 진충보국 위충진명( 盡忠 報 國 爲忠 盡 命): 수도방위사령부의 슬로건
- 충렬사(忠 烈 祠)
- 충무공(忠 武 公)
- 충장공(忠 莊 公)
- 현충사( 顯忠 祠)
- 현충일( 顯忠 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