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00:32:21

니나 시몬

Nina Simone에서 넘어옴
니나 시몬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름 니나 시몬
NINA SIMONE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2018년
후보자격 연도 1986년
후보선정 연도 2018년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 1963년 빙 크로스비
1965년 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 듀크 엘링턴
1967년 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 어빙 벌린
1971년 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 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 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 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 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 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 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 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 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 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 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 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 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 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 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 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 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 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 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 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 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 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 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 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 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 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 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 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 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 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 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 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 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 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 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 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 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 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 보니 레잇
2023년 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니나 시몬
Nina Simone
파일:C5LhvpVW8AAwIvn.jfif.jpg
본명 유니스 캐슬린 웨이먼
Eunice Kathleen Waymon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933년 2월 21일
노스캐롤라이나주 타이론
사망 2003년 4월 21일 (향년 70세)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카릴르루에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작곡가, 편곡가, 사회운동가
장르 재즈, 블루스, 가스펠, R&B
악기 보컬, 피아노
활동 1954년 ~ 2002년
수상 그래미 명예의 전당 상 (2000)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캠퍼스 명예학위[A]
말콤 X 대학교 명예학위[A]
커티스 음악원 명예학위[3]
배우자 돈 로스 (1958년 ~ ?)
앤디 스트라우드 (1961년 ~ 1971년, 이혼)
자녀 딸 리사 시몬 (1962년생)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서명 파일:Nina_Simone_signature.svg.png

1. 개요2. 생애
2.1. 유년시절2.2. 유니스 웨이먼, 니나 시몬이 되다2.3. 흑인민권운동의 전사가 되다2.4. 방황, 그리고 음악계로의 복귀2.5. 말년 및 죽음
3. 평가 및 영향력4. 정규 음반5. 여담

[clearfix]

1. 개요

예술가의 의무는 그가 살아가는 사회상을 반영하는 것이다.
It's an artist's duty to reflect the times in which we live.
High Priestess of Soul
소울의 제사장

미국 재즈, 블루스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 가수. 미국 흑인 재즈, 블루스 음악 역사에 있어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인물이며, 특히 흑인민권운동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2. 생애

2.1. 유년시절

1933년 2월 21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Eunice Kathleen Waymon (유니스 캐슬린 웨이먼)으로 태어났다. 이미 3살때 부터 귀로 들은 음악을 피아노로 칠 수 있었을 정도로 음악에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그녀의 어머니는 감리교 교회의 장로였고, 아버지는 인부이자 전도사였다. 자연스럽게 니나 시몬 또한 어릴 때부터 교회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데, 교회에서 찬송가 반주를 도맡아 했다고 한다. 그녀의 첫 콘서트는 12살 때 열렸는데, 1940년대 미국답게 인종차별이 만연하던 때여서 백인 관객들이 앞에 앉고 정작 흑인인 니나 시몬의 부모는 뒷줄에 앉아야 했다. 니나 시몬은 이때 부모님이 앞줄에 앉을 때까지 연주하기를 거부했다고 하는데, 이러한 경험이 그녀의 차후 흑인민권운동 참여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콘서트에서 우연히 니나 시몬을 보게 된 피아노 선생 뮤리엘 마자노비치(Muriel Mazzanovich)는 니나의 음악적 재능을 한 눈에 알아보고, 니나의 피아노를 가르치기로 결심한다. 니나 시몬의 가족은 뼈저리게 가난했지만 이 선생님의 도움으로 니나는 학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된다. 이 당시 니나의 꿈은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클래식 피아니스트가 되는 것이었다.

2.2. 유니스 웨이먼, 니나 시몬이 되다

1950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니나는 필라델피아 커티스 음악원에 지원하는데, 떨어지고 만다. 비록 커티스 음악원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지만, 니나는 죽는 그 날까지 자신이 음악원 시험에 낙방한 이유가 자신이 흑인이었기 때문이었다고 믿게 된다.[4] 비록 떨어지기는 했지만, 니나는 좌절하지 않고 커티스 음악원의 교수로부터 피아노 레슨을 받으며 음악 공부를 이어나간다. 레슨비가 필요했던 니나는 아이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치는 등 돈을 벌게 되는데, 우연히 Midtown Bar & Grill이라는 바에서 피아노를 치게 된다. 하지만 피아노만 치면 돈을 벌수 없다는 바 사장의 말을 듣고 노래를 부르기로 결심한다. 클래식 피아니스트가 되는 것을 바라던 부모님이 자신이 노래를 부르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유니스 웨이먼은 니나 시몬이라는 예명을 짓게 된다. 니나 시몬이라는 이름은 당시의 남자친구가 자신을 부르던 별명인 Nina와 프랑스의 배우 시몬 시뇨레의 이름을 합한 것이었다. 이렇게 유니스 웨이먼은 니나 시몬이 된다.

니나 시몬은 이때부터 작은 바 등에서 공연하면서 점차 인기를 얻게 된다. 1958년에 녹음한 I Love You, Porgy가 빌보드 핫 100 20위권에 진출하면서 니나 시몬은 일약 스타덤에 오르고, 데뷔앨범 Little Girl Blue를 발매한다. 이 당시 니나 시몬이 연주하던 음악들은 모두 대중음악이었는데, 이때 그녀에게는 음악이 생계유지의 수단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여담이지만, I Love You, Porgy는 니나 시몬의 유일한 빌보드 핫 100 20위권 진출곡이다.



1961년 니나 시몬은 뉴욕 경찰로 일하던 앤드류 스트라우드(Andrew Stroud, 1925 ~ 2012)를 만나 결혼하고 이듬해 딸 리사를 출산한다. 앤드류는 이후 경찰 일을 그만두고 니나의 매니저로 일하게 되는데, 니나와는 평생 애증의 관계를 유지했다. 앤드류는 니나를 구타하고 심지어는 강간하기도 했으며, 후에 흑인민권운동에 참여하면서 대중음악과 다른 노선을 걷게 되는 니나와 사사건건 갈등을 빚었다. 이는 후에 니나의 조울증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친다.

2.3. 흑인민권운동의 전사가 되다

1964년, 니나 시몬은 미국 콜픽스 레이블을 떠나 네덜란드의 필립스 레이블로 소속사를 옮긴다. 이는 미국 시장을 떠나 세계 시장을 노려보겠다는 의지의 표명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니나에게 하고 싶은 음악을 할 수 있는 자유를 주기도 했다. 필립스에서 발매한 첫 앨범 Nina Simone in Concert에서 니나 시몬은 인종차별에 대한 첫 노래인 Mississippi Goddam을 발표한다. 이는 1963년 앨라배마에서 네 명의 흑인 소녀들을 죽이고 한 명의 부상을 입힌 교회 테러 사건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것이었다. 이 노래로 니나 시몬은 흑인민권운동의 중심에 서게 되고, 본격적으로 정치적 입장을 적극적으로 표명하기에 이른다. 한 예로, 그녀는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셀마 시위에서도 연설을 했고 노래를 불렀다. 다만 니나는 마틴 루터 킹과 같은 비폭력주의자는 아니었고, 흑인 해방을 위해서는 폭력도 필요하다는 말콤 엑스 지지자였다.



하지만 모두가 이러한 니나의 정치적 참여를 달갑게 여긴 것은 아니었다. 많은 공연 기획자들이 니나가 너무 정치적이 된 나머지 일반 공연을 하기에 맞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도 그럴것이, 이때 당시의 니나는 오직 정치적인 곡들만을 연주하기를 고집했기 때문이었다. 남편이자 매니저인 앤드류는 니나가 대중음악을 하기를 원했고, 사사건건 갈등을 빚었다. 앤드류의 가정폭력이 시작된 것도 이 때를 전후로 한 것이었다. 물론 어떤 이유에서든 가정폭력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것은 전적으로 앤드류의 과실이 맞다.

한편, 이때부터 니나 시몬은 자신의 아프리카계 혈통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음악에도 아프리카의 리듬을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고, 옷도 아프리카의 강렬한 색깔과 문양을 넣은 옷들을 입기 시작했다.

2.4. 방황, 그리고 음악계로의 복귀

1974년, 니나 시몬의 상황은 최악에 다다른다. 스트레스를 견딜 수 없었던 니나는 앤드류 및 기획사와 한 마디 상의도 없이 딸을 데리고 라이베리아로 훌쩍 떠나버린다. 그곳에서 니나는 음악이나 공연을 전혀 하지 않은 채, 오직 쉬는 일에만 집중했다. 니나는 후에 라이베리아에서 체류하던 이 기간을 인생에 있어서 가장 행복했던 나날로 회고했다.

하지만 돈을 아예 벌지 않고 있던 니나에게도 경제적 위기가 찾아왔다. 어쩔 수 없이 무대로 복귀할 처지가 되어버린 것이다. 방황하던 니나는 친구들과 기획사의 설득 끝에1976년 무대로 복귀하는데, 이 복귀 공연이 그 유명한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이다. 이때부터 니나는 유럽을 근거지로 미국보다는 유럽에서 주로 활동하고 공연하게 된다.




2.5. 말년 및 죽음

1993년, 니나 시몬은 유방암 진단을 받고 프랑스 엑상프로방스 지방에 정착한다. 10년 간의 투병 끝에, 그녀는 2003년 4월 21일 프랑스에서 자던 중 생을 마감한다. 그녀의 유언에 따라 유해는 화장 후 아프리카의 전역에 뿌려졌다.

3. 평가 및 영향력

엘튼 존, 마돈나, 존 레논, 호지어, 비욘세, 밴 모리슨,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카녜 웨스트, 데이비드 보위 등 수없이 많은 가수들이 니나 시몬을 자신에게 영향을 준 가수로 꼽는다. 특히 니나 시몬 이후 음악을 하는 흑인 여성 아티스트들은 모두 니나 시몬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엘튼 존은 니나 시몬의 장례식에 꽃을 보내기도 했으며, 아예 자신의 피아노 중 하나를 그녀의 이름을 따 붙였다고 한다.[5] 호지어 또한 잘 알려진 니나 시몬의 팬인데, 음악을 하게 된 계기가 어릴 적 니나 시몬의 음악을 들은 것이라고 하며 인터뷰 때마다 영향을 받은 가수를 언급할 때 니나 시몬을 가장 먼저 언급한다. 호지어의 싱글 Nina Cried Power의 Nina가 바로 니나 시몬을 가리키는 것인데, 가사 또한 니나 시몬의 대표곡 Sinnerman에서 따왔다.

니나 시몬의 매력이라면 단연 일반 남성 못지않은 깊은 저음과 음색이다. 거칠면서도 깊은 울림을 지닌 그녀의 목소리는 그녀의 유려한 피아노 연주와 아름다운 궁합을 보여준다. 또한 독특한 음악 스타일이나 구성을 자주 이용하기도 하는데, 단적인 예로 그녀의 곡 중 Be my husband를 들어보면 악기 구성이 보컬, 하이햇이 끝이다. 이런식의 극단적으로 미니멀한 구성부터 Sinnerman처럼 빠른 속도감에 코러스까지 추가하여 웅장함을 더한 구성까지 상당히 넓은 스펙트럼의 음악성을 보여준다.

피아노 연주 실력에서도 이견이 없는 피아니스트로 평가받고 있다. 곡의 분위기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다이내믹 표현력과 아웃 노트를 적재적소에 집어넣어 독특한 색깔을 입히는 능력이 굉장히 뛰어나다.

4. 정규 음반


일부 음반은 라이브나 컴필레이션으로 동시에 분류되기도 한다.

5. 여담





[A] Khalea Underwood, " 13 Fascinating Facts About Nina Simone", 「Mental Floss」, 2019.2.21. [A] [3] " Nina Simone’s Biography" (아카이브), theninasimonefoundation.org [4] 커티스 음악원은 니나 시몬의 사망 직전에 명예 학위를 수여했다. [5] 니나 시몬과 엘튼 존 모두 뛰어난 피아노 실력을 바탕으로 한 싱어송라이터라는 점이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