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자가 비슷한 성 소수자를 지칭하는 약자에 대한 내용은 LGBT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color=#fff> 대한민국의 전동차 제어장치 | ||||
<rowcolor=#373a3c,#ddd> 저항제어 | 초퍼제어 | VVVF | ||
GTO | IGBT | SiC |
1. 개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1]일반적으로 쓰이는 n-channel MOSFET에 P형 주입층이 더해져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해서 만드는데, 실제 제조 과정은 복잡하다.
일반적인 실리콘 계열 MOSFET / BJT와 달리 IGBT는 고전압 스위칭이 가능하며, 드레인/소스 부분은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형식으로 되어 있어 FET와 달리 PTC 특성을 가지므로 병렬 운전에 유리하다. 또한, FET처럼 게이트가 "일단"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상 분리에도 유리하다. 덕분에 초대형 모듈 제품군이 상당히 많으며, 개별 모듈 하나가 kV 단위의 내전압에 500A 이상의 드레인 전류를 소화할 수 있다. 실제로 등가회로로 나타낼때는 MOSFET과 BJT의 결합모델로 설명한다.
다만, IGBT가 불리한 부분도 있는데, 일단 P형 주입층 덕분에 캐리어가 많이 들어가게 되고, 절연된 게이트는 충전용량을 가지기 때문에 턴-온 시간은 몰라도 턴-오프 시키는 데 일반적인 스위칭 기법(즉, 게이트 전압이 0에서 문턱 전압(Threshold)을 왔다갔다 하는)으로는 kHz 이상의 속도를 내기 힘들다. 그래서 전용 드라이버 IC도 있으며, IGBT의 구동단은 트랜스를 이용해 절연할 뿐만 아니라, 구동 전압 역시 게이트 전압이 ±15V로 움직여야 해서 복잡하다.[2]
정말 거대하고 거대한 대형 전동기를 구동해야 하면서도 크기는 작아야 하고 무게도 경량화 되어야 하며 구동 회로와 절연이 요구되는 등의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값이 많이 싸진 2012년에는 용접기나 가정용 대전력 제품군에 쓰이고 있다.
실질적으로 저압이면 몰라도 가정용 220V 1상의 전원을 바로 받아 310V로 변환한 뒤 이 전압으로 기타 여러가지를 하는 제품들은 거의 다 IGBT가 들어간다 생각하면 편하다. FET는 고전압일수록 드레인-소스 Rds(on) 이 증가하여 약간만 전류가 높아져도 손실이 40~50W를 넘어서나 IGBT는 저압이든 고압이든 항상 일정한 컬렉터-소스 전압강하를 가지고 있어 대전류일 경우 에너지 효율이 FET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다.[3] 덤으로 IGBT의 고압 내구성이 상당히 보장되어 있다. 특히, 세탁기나 에어컨의 압축기 기타 여러 가지 고전압 BLDC 전동기가 들어가는 게 요즘 가정용 어플리케이션의 대세이다. 저소음, 저진동 및 속도 조절에 있어 편의성이 높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고전압 BLDC 전동기가 참 많아진 가정용 어플리케이션에는 이를 잘 만족 시키기 위해 다 IGBT 가 들어가게 되었다. (하지만 저전류 어플리케이션에선 역으로 FET 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FET를 선택하는 곳이 아직 있다.)[4]
최근의 IGBT는 발전한 MOSFET의 특성에 상당수 추격 당하다 보니 조금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MOSFET의 고전압 Rds 값이 밀리 옴 정도로 많이 낮아졌다 → IGBT 자체의 Vce 및 Vds 값을 1.5V 대로 낮추었다. 기존 3V 대에 비해 엄청나게 낮아진 값이다.
- MOSFET의 게이트 면적이 작아 낮은 충전 용량을 가져 고속 스위칭이 가능하다 → IGBT 의 경우 게이트를 광전자식으로 구성하며 게이트의 크기를 키워 높은 전류로 게이트를 드라이브, MOSFET 에 비해 손색 없을 정도로 높은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례로 인피니언 사의 RENCHSTOP™ 5 라인업 제품군 중 F5 군 제품은 최고 효율 구동주파수가 120kHz 에 달하는 엄청난 스위칭 성능을 가진다.
- MOSFET은 특성 상 병렬운전이 어렵지만 IGBT는 병렬 운전에 더욱 더 최적화된 열-전기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오디오용 앰프에도 IGBT의 사용이 가능하며, 일부 SR용 파워앰프에 도입되었다.
2018년 1분기 (FY17 4/4분기) 기점으로 마이크로랩 사의 GT109X 시리즈 오디오용 N-channel IGBT 와 P-channel IGBT 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병렬 구동에 매우 유리하며, 게이트를 가진 IGBT답게 높은 선형성을 자랑한다. 한국에서 20만 원대 근처 가는 액티브 스피커 또는 10만 원대 부근의 본격 오디오용 Class-AB 앰프에 많이 들어간다. 구동 방식은 양전원 P-P, 간혹 H-Bridge도 있다.
2. 주요 사용처
철도차량은 물론, 전기자동차 및 고효율 전동기 장치가 들어가는 가전제품, 심지어 ESS 등 모터를 쓰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2.1. 철도 차량
도시바 VVVF-IGBT |
미쓰비시 VVVF-IGBT |
다원시스 VVVF-IGBT |
우진산전 VVVF-IGBT |
현대로템 VVVF-IGBT(IPM) |
현대로템 VVVF-IGBT(IPM) |
다원시스 VVVF-IGBT |
도시바 VVVF-IGBT |
전 세계에서 2000년대 이후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거의 모든 철도차량이 이걸 사용한 인버터로 모터를 돌려서 굴러다닌다. 특히 GTO였던 차량도 IGBT로 개조하는 일도 많은데, 비용을 들여서라도 개조하는 것을 보면 전력 효율이 상당히 좋은 모양이다. 또한 한국에서는 2010년대 이후로는 IGBT 기반의 IPM(Intelligent Power Module)을 사용하는 미쓰비시 그룹의 소자를 현대로템과 우진산전, 다원시스가 채용하면서 해당 소자가 들어간 차량들의 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2020년대 이후에는 도시바 PMSM의 점유율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해외에서는 2010년대 말부터 SiC 소자를 채택한 차량을 도입하기도 한다.
2.1.1. 한국
- 도시바(1125량 + 87량 = 총 1212량 생산)
-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상세) 718~763편성
-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816~820,
821~822[5]편성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상세)
311B13, 311B16,311B35, 311B37~311B38,311B39~311B41,311B42~311B45, 311B48, 311B54~311B56, 311B59~311B90,311B91,311B92~312B03, 311G01~311G05,311G06~311G07편성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321C01~321C21편성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331C01~331C13, 331G14~331G22, 331C23~331C27편성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상세)
341B01~341B03, 341B05, 341B08, 341B14, 341B18~341B23, 341B25~341B26편성[6]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351F01~351F08, 351F10, 351F13, 351F15~351F16, 351F19,351F25, 351F29~351F43, 351F61~351F78편성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361C01~361C14,
361C15편성 -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368C01~368C08편성
-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371G01~371G12편성
-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381G01~381G17편성
-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391G01~391G07편성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01~23호기
- 8500호대 전기기관차 전 편성
- IXYS, 현대로템(총 112량 생산)
- 한국철도공사 110000호대 전동차 101~124호기
- 주식회사 SR 120000호대 전동차 201~222호기
- 주식회사 SR 130000호대 전동차 301~310호기
- 현대로템
-
한국철도공사 140000호대 전동차 401~407,
408,409~415호기 -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 전동차 전 편성
- 한국철도공사 160000호대 전동차 전 편성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387~394편성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상세) 312B04~312B15, 319F08~319F10편성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331C28편성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상세) 341B31~341B60편성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351F44~351F60, 351F79~351F83편성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361C16~361C17편성
- 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 392I01~392I09편성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01~205, 214~238, 256~284, 293편성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301~315, 321~333, 336~340, 349편성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상세) 481~485편성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577~580편성
-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 901~953편성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26~134편성
-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D01~D23편성
-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1세대( 상세) 121, 125, 130~131, 133~134, 139, 142, 145편성
-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2세대 이후 146~151편성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01~230편성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UL000호대 전동차 UL001~UL018편성
- 김포 골드라인 1000호대 전동차 101~129편성
- 한국형 표준 전동차와 이를 기반으로 한 대부분의 전동차
-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 901~953편성
-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 101~106편성
-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201~222편성
-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1~123편성
-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1~121편성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01~230편성
-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301~320편성
- 다원시스(75량 + 387량 = 총 462량 생산 예정)
-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전동차 01~27호기
- 한국철도공사 230000호대 전동차 28~34호기
-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391G08~391G17편성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06~213, 239~242, 245~248, 285~292편성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316~320, 334~335, 341~348편성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상세)
C451,450~470편성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C502편성[7] -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상세) 764~772편성
-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53~256편성
-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1, 104, 109, 124, 128, 136편성
- 우진산전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395~399, 368~370편성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상세) 312B16~312B56편성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상세)
C466, C470~C471편성[8]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1~125편성 (
알스톰→ 우진산전) -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01~219, 221, 249~252편성
-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SL001~SL012편성
- 히타치(16량 + 84량 = 총 100량 생산)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 01~02,
03,04~08호기 -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301~328편성
- 미쓰비시
-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601~641편성
-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401~417편성
- 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 101~125편성
- GE[9]
- 7600호대 디젤기관차 전 편성
- 도시바(총 469량 생산 예정)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상세) 401~426편성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501~525편성
-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상세) 701~717편성
-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821~829편성
-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2세대 이후 101~116, 118~120, 122~124, 126~129, 132, 135~138, 140~141, 143~144편성
- 지멘스
- 의정부경전철 U100호대 전동차 U101~U115편성
- 스코다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01~243편성
- 기타
한국 최초로 적용된 차량은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차분(1998~1999)이다.[10][11]
이 외에 2000년대 들어 개통한 거의 모든 노선에서 IGBT를 채용한 전동차가 절찬리에 운행 중에 있으며, 2000년대 전에 개통한 노선에서 운행 중이던 GTO 채용 차량 중에도 IGBT 방식으로 교체한 차량들이 있다. 물론 대부분은 코레일과 서울교통공사의 초창기 VVVF 차량들.
- 여기서 기본적인 원리를 알 수 있다.
2.1.2. 대만
- 타이완 고속철도 700T형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EMU500형 전동차 일부 편성 (미쓰비시)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EMU6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EMU7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EMU8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EMU9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EMU1000형 전동차 (히타치)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EMU2000형 전동차 (도시바)
- 타이베이 첩운 C301형 전동차 전 편성 ( 봄바디어)
- 타이베이 첩운 C321형 전동차 일부 편성 ( ABB)
- 타이베이 첩운 C341형 전동차 전 편성 (지멘스)
- 타이베이 첩운 C371형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타이베이 첩운 C381형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타오위안 공항 첩운 1000형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타오위안 공항 첩운 2000형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2.1.3. 일본
- 신칸센 500계 전동차 일부 편성 ( 도시바)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시바, 후지전기)
- 신칸센 800계 전동차 (도시바, 히타치)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N700, N700A (도시바, 후지전기)
- 신칸센 E2계 전동차 일부 편성 (도시바, 미쓰비시, 히타치)
- 신칸센 E3계 전동차 일부 편성 (히타치)
-
신칸센 E4계 전동차전 편성 (미쓰비시) - 신칸센 E5·H5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신칸센 E6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신칸센 E7·W7계 전동차 (도시바, 히타치, 미쓰비시)
- 신칸센 E8계 전동차 (히타치)
- E001계 전동차 (도시바)
- 125계 전동차 (도요전기)
- E129계 전동차 (도요전기)
-
205계 전동차 5000번대 (도요전기) - 207계 전동차 2000번대 (도시바, 미쓰비시)
- 209계 전동차 2100번대, 2200번대, 500번대, 3500번대 및 70-000형 (미쓰비시)
- E217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223계 전동차 0번대를 제외한 전 번대 (미쓰비시, 히타치)
- 225계 전동차 (도시바, 미쓰비시)
- 227계 전동차 (도시바, 미쓰비시)
- E231계 전동차 1000번대를 제외한 전 번대 (미쓰비시), 1000번대 (히타치)
- E233계 전동차 3000번대를 제외한 전 번대 (미쓰비시), 3000번대 (히타치)
- E257계 전동차 (히타치)
- E259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283계 전동차 (미쓰비시, 히타치)
- 285계 전동차 (도시바, 미쓰비시)
- 287계 전동차 (도시바, 도요전기)
- 289계 전동차 (도시바, 미쓰비시)
- 303계 전동차 (도요전기, 히타치)
- 305계 전동차 (도시바)
- 313계 전동차 (도시바)
- 321계 전동차 (미쓰비시, 히타치, 도시바, 도요전기)
- E331계 전동차 (도시바)
- E351계 전동차 양산차 (히타치)
- E353계 전동차 (미쓰비시)
- E501계 전동차 (도시바)
- 521계 전동차 (도시바, 미쓰비시)
- E531계 전동차 (히타치)
- E653계 전동차 (히타치)
- E655계 전동차 (히타치)
- E657계 전동차 (히타치)
- 683계 전동차 (도시바, 미쓰비시)
- 701계 전동차 (미쓰비시)
- 721계 전동차 5000번대 (히타치)
- E721계 전동차 (미쓰비시)
- 731계 전동차 (히타치)
- 733계 전동차 (미쓰비시, 히타치)
- 735계 전동차 (히타치)
- E751계 전동차 (히타치)
- 813계 전동차 1000번대 이후 모든 편성 (도시바)
- 815계 전동차 (히타치)
- 817계 전동차 (도시바, 히타치)
- BEC819계 전동차 (히타치)
- 885계 전동차 (도시바, 히타치)
- EV-E301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M250계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케이세이 AE형 전동차 2대 전 편성 (도요전기)
- 케이세이 3000형 전동차 2대 전 편성 (도요전기)
- 케이오 1000계 전동차 (도요전기, 히타치)
- 케이오 7000계 전동차 (히타치)
- 케이오 8000계 전동차 일부 편성 (도시바)
- 케이오 9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도부 200계 전동차 250계 (도시바, 히타치)
- 도부 10000계 전동차 10080계, 개조차량 (히타치)
- 도부 30000계 전동차 35602F를 제외한 전 편성 (히타치), 35602F (도시바)
- 도부 50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도부 60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도부 70000계 전동차 70000계 (미쓰비시)
- 세이부 6000계 전동차 일부 편성 (도시바)
- 세이부 9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세이부 10000계 전동차 (히타치)
- 세이부 20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세이부 30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세이부 40000계 전동차 (도시바)
- 도큐 1000계 전동차 1500번대 (도시바)
- 도큐 3000계 전동차 짝수 편성 (도시바), 홀수 편성 (히타치)
- 도큐 5000계 전동차 5000계, 5050계 (히타치)
- 도큐 7000계 전동차 (도시바)
- 도큐 300계 전동차
-
케이큐 1000형 전동차 2대 (
지멘스, 도시바, 미쓰비시, 도요전기) - 케이큐 1500형 전동차 1500번대 6량 편성 (미쓰비시, 도요전기)
- 케이큐 21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요전기)
- 도쿄메트로 01계 전동차 37~38편성
- 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 1~2차차 (도시바)
- 도쿄메트로 02계 전동차 1~19편성 (도시바), 20편성~ (미쓰비시, 히타치)
- 도쿄메트로 03계 전동차 1~8편성 (미쓰비시), 26~42편성 (히타치)
- 도쿄메트로 13000계 전동차 1~21편성 (미쓰비시)
- 도쿄메트로 05계·N05계 전동차 와이드도어 차량, 5차차 이후로 제조되는 모든 차량 (도시바, 미쓰비시, 히타치)
- 도쿄메트로 07계 전동차 B수선 이전 차량
- 도쿄메트로 150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도쿄메트로 06계 전동차 (도시바) - 도쿄메트로 16000계 전동차 1~3차차 (도시바) 4~5차차 (미쓰비시)
-
도쿄메트로 7000계 전동차 수선 이후 차량 (히타치) - 도쿄메트로 8000계 전동차 (미쓰비시)
- 도쿄메트로 08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도쿄메트로 9000계 전동차 (도시바, 히타치)
- 도쿄메트로 100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오다큐 3000형 전동차 (미쓰비시)
- 오다큐 4000형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오다큐 500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오다큐 600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소테츠 8000계 전동차 갱신차량 (히타치)
- 소테츠 9000계 전동차 갱신차량 (히타치)
- 소테츠 100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소테츠 110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소테츠 120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메이테츠 1700계 전동차 (도시바)
- 메이테츠 2000계 전동차 (도시바)
- 메이테츠 2200계 전동차 (도시바, 미쓰비시)
- 메이테츠 2300계 전동차 (미쓰비시)
- 메이테츠 3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메이테츠 40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메이테츠 EL120형 전기기관차 전 편성 (미쓰비시)
- 킨테츠 500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킨테츠 9020계 전동차 (미쓰비시, 히타치)
- 난카이 1000계 전동차 50번대 (히타치)
- 난카이 6200계 전동차 갱신차 (히타치)
- 난카이 8000계 전동차 2대 전 편성 (히타치)
- 난카이 8300계 전동차 1~5차차 (히타치)
- 난카이 12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난카이 50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케이한 800계 전동차 2대 전 편성 (도요전기)
- 케이한 3000계 전동차 (도요전기)
- 케이한 10000계 전동차 (도요전기)
- 한큐 1000계 전동차 2대 전 편성 (도시바)
- 한큐 1300계 전동차 2대 전 편성 (도요전기)
- 한큐 8000계 전동차 일부 편성 (도시바)
- 한큐 8300계 전동차 일부 편성 (도요전기)
- 한큐 9000계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한큐 9300계 전동차 전 편성 (도요전기)
- 한신 1000계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한신 5550계 전동차 (미쓰비시)
- 니시테츠 7000형 전동차 7102F를 제외한 전 편성 (도시바)
- 니시테츠 30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삿포로시 교통국 9000형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도쿄도 교통국 E5000형 전기 기관차 전 편성 (지멘스)
-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 3차차 (미쓰비시)
- 도쿄도 교통국 10-300형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도쿄도 교통국 12-000형 전동차 3차차 이후 (히타치)
- 도쿄도 교통국 12-600형 전동차 1~2차차 (히타치)
- 나고야시 교통국 N1000형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나고야시 교통국 N300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요전기)
- 나고야시 교통국 6050형 전동차 전 편성 (도요전기)
- 고베시 교통국 5000형 전동차 전 편성 (미쓰비시)
- 후쿠오카시 교통국 1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후쿠오카시 교통국 2000계 전동차 일부 편성 (히타치)
- 후쿠오카시 교통국 3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수도권 신도시 철도 TX-20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요코하마 고속철도 Y000계 전동차 전 편성 (도시바)
- 요코하마 고속철도 Y50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오사카메트로 10A계 전동차 (히타치)
- 오사카메트로 20계 전동차 (히타치)
- 오사카메트로 신20계 전동차 (도시바, 히타치, 미쓰비시)
- 오사카메트로 7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오사카메트로 80계 전동차 전 편성 (히타치)
- 오사카메트로 30000계 전동차 31000계 01F~03F, 32000계 (미쓰비시), 31000계 04F 이후 (히타치)
- 오사카메트로 66계 전동차 13편성 이후 (도시바, 미쓰비시, 히타치)
2.1.4. 싱가포르
- 싱가포르 MRT C151형 전동차 일부 편성 (도시바)
- 싱가포르 MRT C151A형 전동차 (후지전기)
- 싱가포르 MRT C151B형 전동차 (후지전기)
- 싱가포르 MRT C151C형 전동차 (후지전기)
- 싱가포르 MRT C651형 전동차 일부 편성 (도시바)
- 싱가포르 MRT C751A형 전동차 (알스톰)
- 싱가포르 MRT C751B형 전동차 (후지전기)
- 싱가포르 MRT C751C형 전동차 (알스톰)
- 싱가포르 MRT C830형 전동차 (알스톰)
- 싱가포르 MRT C830C형 전동차 (알스톰)
- 싱가포르 MRT C851E형 전동차 (알스톰)
- 싱가포르 MRT C951/C951A형 전동차 (봄바디어)
2.1.5. 유럽
- 독일철도 423형
- ICE 4 (지멘스)
- 지멘스 벡트론 (지멘스)
- 지멘스 벨라로[12] (지멘스)
- 오스트리아 연방철도 1216형 전기기관차 (지멘스)
- TGV 듀플렉스 대시 (알스톰)
- TGV POS (알스톰)
- RATP MF 01형 전동차 전 편성 (알스톰)
- RATP MP 05형 전동차 전 편성 (알스톰)
- 영국철도 374형 (지멘스)
- 영국철도 395형 (히타치)
- 영국철도 800형 전 편성 (히타치)
- 런던 지하철 1995년식 전동차 전 편성 (알스톰)
- 런던 지하철 2009년식 전동차 전 편성 (봄바디어)
- 런던 지하철 S형 전동차 전 편성 (봄바디어)
- 봄바디어 제피로 300 ETR-1000 (봄바디어) (히타치)
2.1.6. 북아메리카
- 워싱턴 메트로 7000형 전동차 (도시바)
- MTA R142 전동차 (알스톰)
- MTA R143 전동차 (봄바디어)
- MTA R160 전동차 (알스톰, 지멘스)
- MTA R179 전동차 (봄바디어)
- Silverliner V 전 편성
- MPM-10 (알스톰)
2.1.7. 중국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04형 전동차 (도요전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4G형 전동차 (도요전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16형 전동차 (미쓰비시)
- 징강 지하철 SFM05형 전동차 (봉바르디에)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13형 전동차 (히타치)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47형 전동차 (알스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BD32형 전동차 (주저우전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12형 전동차 (미쓰비시, 칭다오쓰팡, 난징주저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33형 전동차 (도요전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15형 전동차 (도요전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5형 전동차 (히타치)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6형 전동차 (히타치)
- 징강 지하철 DKZ53형 전동차 (봉바르디에)
- 징강 지하철 SFM18형 전동차 (봉바르디에)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31형 전동차 (알스톰)
- 캐피털 메트로 QKZ5형 전동차 (도시바)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01형 전동차 (도요전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13형 전동차 (미쓰비시)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BD24형 전동차 (주저우전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DKZ70형 전동차 (주저우전기)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16형 전동차 (주저우전기)
- 베이징시 궤도교통 건설 관리 JC000호대 전동차 (칭다오쓰팡)
2.2. 세탁기
- LG전자 통돌이 세탁기 중 DD 모터 적용 전 제품군 ( LG전자, 소자는 LS그룹)
- LG전자 TROMM DD 모터 적용 전 제품군 ( LG전자, 소자는 LS그룹)
- 삼성전자 하우젠 드럼세탁기 일부모델 ( 삼성전자, 소자는 인피니언)[13]
2.3. 용접기
- 계양 논스톱 용접기 전 모델 (계양전기, 소자는 인터네셔널 렉티파이어)
- 아세아전기 DC 아크용접기 전 모델 (아세아전기, 소자는 인터네셔널 렉티파이어)
2.4. 전기자동차
전기자동차의 모터 구동에 IGBT가 사용되나 최근에는 SiC가 이용되기도 한다.2.4.1. 포르쉐
[1]
하필 약자의 대문자 i가 소문자 L과 비슷해서 위의 다른 뜻 틀에 나와있듯이 농담거리가 되곤 한다.
[2]
다만 FET도 제대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Vgs를 15V, 0V로 스위칭해야 하므로 게이트 드라이버 IC나 GDT가 이용된다.
[3]
예시. 300V/10A 통전시 1200V IGBT 의 강하는 1.7V로 컬렉터 손실은 17W가 된다. FET의 경우 400V FET가 설계 상 마지노선인데, 400V FET의 드레인-소스 도통 저항값은 약 1.5옴이다. P=I*R^2 에 따라 150W가 된다. 물론 이 열은 다 소자의 발열로 바뀐다.
[4]
600V IGBT가 구할 수 있는 IGBT 중 가장 전압이 낮다. 어차피 IGBT는 고전압이든 저전압이든 제조 회사에 따라 전압 강하가 달라지는 편이라 민감한 부분은 아니다. 여튼 이럴 때 48V/20A를 스위칭한다고 보자. IGBT의 경우 Vce의 전압강하를 약 3.4V로 가정할시 68W의 발열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FET의 경우 60V FET의 드레인-소스 도통저항이 무려 0.04옴으로 매우 낮아 16W의 발열을 보인다.
[5]
821편성 전량, 822편성 일부 객차 7호선 이적
[6]
2024년 11월 8일 전량 퇴역
[7]
2022년 2월 10일 전량 퇴역
[8]
2024년 6월 28일 전량 퇴역
[9]
디젤기관차에 IGBT 인버터가 들어가는 이유는 한국의 디젤기관차는 정확히 말하면
디젤전기기관차이기 때문이다.
디젤 엔진으로
발전기 돌려서 나온 전기를 IGBT로 제어하여 모터를 구동시킨다.
[10]
그런데 비슷한 시기에 들어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는 IGBT가 아닌
GTO소자를 적용했다. 코레일 전동차는 동글이까지도
GTO소자를 적용했다.
[11]
인천1호선 1차분은 1레벨이고 2레벨은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2차분이 최초이다.
[12]
벨라로 D 시리즈 이후부터 사용
[13]
일부모델인 이유는 대다수의 모델이
MOSFET 로 구동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