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MRT· LRT 사용 차량 | |||
MRT | LRT | ||
[[싱가포르 MRT 동서선| EWL ]] · [[싱가포르 MRT 남북선|NSL ]] 공용차량C151 · C151A · C151B · C151C · R151 |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 BPLRT ]]C801 · C801A · C801B |
||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C830 · C830C · C851E |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T251 |
||
[[싱가포르 MRT 동북선| NEL ]]C751A · C751C · C851E |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C951 · C951A |
[[싱가포르 LRT 셍캉선| SKLRT ]] · [[싱가포르 LRT 풍골선|PGLRT ]] 공용차량C810 · C810A · C810D |
|
미개통 노선 (운영사 미정) |
[[싱가포르 MRT 주롱지역선| JRL ]]J151 |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 CRL ]]CR151 |
|
회색 처리된 취소선은 전 편성이 퇴역한 차량, 밑줄 표시는 퇴역 중인 차량, 이탤릭체는 도입 예정 차량을 의미함.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싱가포르 MRT C751C형 전동차 Alstom Metropolis C751C EMU |
}}} | |||
▲ C751C형 전동차. | |||||
차량 정보 | |||||
용도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6량 1편성 | ||||
운행노선 |
|
||||
도입시기 | 2014년 ~ 2015년 | ||||
제작사 | 상하이 알스톰 트랜스포트[1] | ||||
소유기관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 2015년 ~ 운행 중 | ||||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
23,650mm(=선두차) 22,800mm(중간) |
|||
전폭 | 3,200mm | ||||
전고 | 3,700mm | ||||
궤간 | 1,435㎜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 알스톰 CBTC / ATC/ ATO | ||||
제어방식 | 알스톰 ONIX VVVF- IGBT | ||||
동력장치 |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및 공기제동 | ||||
주전동기 출력 | 150kW | ||||
편성출력 | 2,400kW | ||||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96㎞/h/s | ||||
감속도 | 4.68㎞/h/s(비상) | ||||
MT 비 | 4M 2T | }}}}}} |
[clearfix]
1. 개요
C751C형 전동차의 내부 |
C751C형 전동차는 싱가포르 MRT 동북선 배차간격 단축을 위해 주문한 전동차로, 기존에 운용하던 C751A형과 마찬가지로 알스톰사의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표준모델인 Metropolis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타 노선과 마찬가지로 소유는 LTA 산하이며, 운영 및 유지보수는 동북선의 운영사인 SBS Transit에서 담당하고 있다.
2011년에 본 형식 18편성(108량)과 서클선 C830C형 24편성(72량)을 하나로 묶어서 공개입찰을 받았으며[2], 입찰 결과는 2012년에 발표되었다. 이후 2014년부터 생산에 들어갔고, 같은 해 7월에 첫 편성이 싱가포르 도착하였다. 이후 약 1년간의 시운전을 거친 후 2015년 10월 1일부터 첫 운행을 시작하였고, 같은 해 연말까지 주문한 18편성 모두 싱가포르에 도착하였다.
차호체계는 기존의 C751A형의 70000호대 5자리 체계 (7 + 호차번호 + 0 + 편성번호 2자리)와 구분을 두지 않고 이어서 사용중이며, 7x051/7x052편성부터 7x085/7x086편성이 재적중에 있다.
외관은 기존의 C751A형과 상이하지 않으며, 도장도 기존의 검은색 상단과 빨간색 + 보라색 띠 조합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달라진 것이 있다면 서클선 C830형과 마찬가지로 전면부 비상문에 유리창이 추가되어 자동운전 차량의 나름 장점(?)인 전망 관람이 더욱 편해졌다는 점. 이에 따라 비상문 개폐방식도 달라졌는데, C751A형은 문이 아래로 내려가며 슬라이드를 지탱하는 발판이 되는 방식이고, C751C형은 문이 위로 열리고 따로 분리되어 있는 슬라이드가 나오는 해치식이다. ( 해치식 비상문 개폐영상[3])
그러나 내장 및 내부 디자인은 C751A형에서 꽤 많이 바뀌었는데, 기존의 파스텔톤 오렌지색과 흰색에서 올 화이트로 변경되었고, 좌석 또한 노선색 + 오렌지 투톤에서 보라색과 빨간색(배려석) 단일색상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기존 C751A형에 설치되었던 좌석 상단의 LCD 모니터[4] 가 사라졌고, 출입문 상단에는 서울지하철 2호선 VVVF 차량 1/2차분에서 쓰이는 것과 비슷한 형태의 전자식 노선도가 설치되었다.
2. 주행 영상
<nopad> |
하버프론트 → 풍골 운행 영상 |
[1]
알스톰과 상하이전기의 합작회사.
[2]
알스톰 외에도 현대로템, CAF, CRRC 주저우 등의 회사들도 입찰하였으나, 역시나 수주는 기존 차량과의 호환성 + 최저가를 써낸 알스톰에게 돌아갔다
[3]
영상 속 차량은 다운타운선 C951/C951A형 차량이나, 비상문 개폐방식은 C751C형과 거의 동일하다.
[4]
현재 최신 차량 및 수선중인 차량을 대상으로 설치중인 출입문 상단 안내용 모니터와는 다른 물건으로, 광고 및 비상 시 탈출요령 등 정보를 표출하는 용도로 쓰였으나, 크게 의미가 없어 요즘은 거의 꺼놓고 다니고 있고, 대수선 차량에서는 이 모니터가 들어갈 자리를 아예 없애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