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국도에 대한 내용은 일본 43번 국도 문서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종축 | <colbgcolor=#fff,#1f2023> 1 · 3 · 5 · 7 · 11 · 13 · 15 · 17 · 19 · 21 · 23 · 25 · 27 · 29 · 31 · 33 · 35 · 37 · 39 · 43 · 45 · 47 · 59 · 67 · 75 · 77 · 79 · 87 | |
횡축 | 2 · 4 · 6 · 12 · 14 · 18 · 20 · 22 · 24 · 26 · 28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48 · 56 · 58 · 82 · 88 | ||
고속국도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44bd><tablewidth=300px> 43 |
}}} | ||
시점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은하수교차로 | |||
종점 |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온정리 (명목상)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 (실질적)[1] |
|||
총 구간 | 294.4km | |||
경유지 |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공주시, 천안시,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화성시, 수원시 경기도 용인시, 광주시, 하남시 서울특별시 강동구, 광진구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 경기도 의정부시, 포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
[clearfix]
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시작하여 군사분계선을 지나 이북 강원도 고성군[2]에서 끝나는 265.5km 길이의 대한민국 종축 국도이다.1967년 처음 지정될 때는 서울특별시 광화문네거리에서 출발했고 의정부까지 3번 국도와 중첩되는 형태였다. 이후 1981년 기점이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발안)(현 화성시 향남읍)으로 연장되었고, 1996년 기점이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으로 연장(현 세종평택로 구간)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013년 기점을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으로 연장하면서 정안세종로를 43번 국도로 편입, 현재의 노선이 되었다.
2. 경로
세종평택로 + 정안세종로 구간과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 구간만 도로가 개통된 상태이다. 화성시 양감면(신왕삼거리)~ 평택시 오성면( 오성IC) 구간은 아직 국도 개설(지정) 계획이 없는데, 발안양감로를 통해 평택파주고속도로 양감IC~ 오성IC 구간이 이 구간을 기능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도로 구조 상 국도 본선만을 따라가는 것이 아닌 많은 고속도로와의 직결을 통해 핵심 교통축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2.1. 세종특별자치시 - 천안시 구간
정안세종로로 지정된 왕복 4차로 도로가 정안 나들목과 세종시의 은하수교차로를 잇고 있다. 왕복 4차로 구간이며, 세종시의 관문 역할을 하는 구간이다. 서울 방향 최단 경로이다보니 정안 나들목에서의 진출입 차량이 매우 많고, 논산천안고속도로의 정체도 정안 나들목 전후로 흐름이 달라지는 편이다. 정안 나들목은 세종시 쪽에서 정안 방면으로 직진하면 국도로 북상하는 것이 아닌 고속도로 톨게이트로 바로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다.정안IC 교차로에서 유천교차로까지는 23번 국도와의 중첩 구간이며, 논산천안고속도로 차령터널 정체를 피해 우회하는 차량이 많이 이용한다. 유천교차로에서 1번 국도와 합류하며 이 곳도 정체가 생기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양쪽 다 상습 정체 구간이다. 유천교차로에서 운당교차로까지는 1번 국도, 23번 국도와의 중첩 구간이며 운당교차로에서 분기되어 평택 방향으로 나가게 된다.
2.2. 천안시 - 평택시 구간
세종평택로로 지정된 왕복 4 ~ 6차로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아산시 탕정면 용두교차로부터 오성 나들목까지는 왕복 6차로이다. 오성 나들목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된다. 이 도로는 수도권 서부와 호남을 잇는 주요 경로로 기능하고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의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구간의 자세한 내용은 세종평택로 문서도 참고.운당교차로부터 오성 나들목까지는 국내에서도 꽤 드문 제한 속도 90km/h 구간이다. 제3경인고속화도로처럼 고속도로 규격으로 건설된 도로여서 고속도로처럼 달려도 문제가 없는 수준의 선형이나, 연약지반 구간에 건설되어 있어 교각 이음매 부분의 단차가 매우 심해 고속 주행 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평택대교의 주변 부근에 있는 연약지반 구역에서 지반침하가 조금씩 일어났고 대형화물차의 잦은 운행으로 인해 도로의 요철상태가 더 심해졌다. 과속 차량이 많았던 탓에 구간단속도 실시하며, 아산-평택 거의 전 구간이 구간단속 구간이다. 아산 - 평택 경계 부근에서 구간단속 구간이 한 번 종료된 뒤 다시 시작하므로 중간에서 들어가도 구간단속 대상이 된다.
2.3. 평택시 - 수원시 구간
평택화성선 오성IC에서 양감면 신왕삼거리까지 구간은 미개통이며 아직 도로 개설 계획도 없는 상태이다. 2019년에 개통한 양감IC와 발안양감로를 통해 간접 연결이 되며, 평택파주고속도로를 그냥 타고 올라가도 안녕IC에서 다시 43번 국도에 합류한다. 실질적인 간선도로 역할은 고속도로가 대부분 수행하고 있다. 43번 국도 양감- 향남 구간은 신도시 한복판으로 우회하거나 도로폭이 좁은 편이라[3] 간선축 기능은 애매하다.봉영로(분천 ~ 송산간 도로)의 개통으로 43번 국도 수원 시내 구간이 크게 바뀌었다. 봉담, 고색을 지나 수원역을 지나던 기존 국도 구간이 모두 폐지되고, 분천송산간도로인 봉영로 경유로 바뀌면서 영통구를 경유한다. 봉영로는 종점에서 흥덕IC를 통해 용인서울고속도로와 직결되지만, 43번 국도는 42번 국도를 따라 동수원사거리, 창룡문까지 우회한 후 창룡대로를 경유해 수지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있어 수원 시내를 역ㄹ자 형태로 크게 돌아 올라가는 선형이 되었다. 수지 방향은 신수로를 이용해서 올라가는 것이 더 빠르다.
양감면에서 향남읍까지 왕복 2차로, 향남읍 구간은 대부분 4~6차로, 향남-수원 구간은 왕복 4차로, 봉영로는 4~8차로이며 수원 시내 구간은 왕복 6차로~14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2.4. 수원시 - 광주시 구간
창룡대로, 포은대로를 통해 용인시를 지나 광주시 방면으로 이어진다. 수지구의 동서축 간선도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광주시 방향의 유일한 도로여서 교통량이 매우 많다. 용인시 수지구의 풍덕천사거리, 죽전사거리 구간에서 정체가 심하다.수원시 - 수지 죽전동(죽전삼거리) 구간까지는 왕복 6차로, 수지 죽전동(죽전삼거리) - 광주시는 왕복 4차로이다. 주요 교차로는 입체교차되어 있지만 정체가 심해 평균 통행 속도가 높은 편은 아니다.
수지로 일부구간(상현교차로~수지로112번길) 및 가정교~정평사거리, 대지로 구간이 과거 43번 국도 구간이었다. 당시에는 2차선 도로였다.
광주시는 고산IC부터 상번천삼거리까지 45번 국도와 중첩된다. 그 외 자세한 내용은 창룡대로, 포은대로, 회안대로 문서를 참고.
2.5. 광주시 - 서울특별시 구간
중부고속도로의 옆을 따라 하남시를 거쳐 서울로 향한다. 광지원초등학교, 남한산성면(舊 중부면) 구간은 왕복 2차로 시절의 선형 그대로 도로만 확장해 놓아서 중부고속도로에 비해 선형이 매우 불량한 편이다. 그래서 이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들의 공약이 43번 국도 남한산성면(당시 중부면) 일대 직선화이다. 그도 그럴 것이 경기광주 지형 자체가 첩첩산중이라 일제강점기 시절 토목기술로 철도는 엄두도 못 내고 도로도 조선시대에 썼던 길을 확장만 하는 수준으로 개량할 수밖에 없었고 그 상태로 지금까지 내려오게 된 것. 중부고속도로에 단 4개뿐인 터널 중 3개가[4] 이 곳에 위치할 정도로 지형이 험한 편이다.하남 시가지에 접어들면 천호대로와 직결되는 하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
1978년 이전까지는 광주에서 서울로 이어지는 구간이 3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었다. 송파대로와 갈마터널이 개통하면서 3번 국도의 구간을 현재와 같은 송파대로~ 성남대로~갈마터널 구간으로 바꾸고, 기존 3번 국도 구간을 43번 국도의 일부로 편입시킨 것.
천호대교를 통해 한강을 넘어 광진구 방향으로 간다. 천호대교를 건넌 직후 광장사거리에서 워커힐을 거쳐 아차산로를 통해 구리시 방향으로 올라가는 선형이다.
2.6. 서울특별시 - 의정부시 구간
구리시를 경유해 북상하는 형태이다. 서울 - 구리 - 의정부 구간은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시가지화가 되어 고속주행이 가능한 구조는 아니며, 시내 교통량을 처리하는 도로가 된 상태이다. 퇴계원읍 일대는 우회 도로 개통으로 46번 국도, 47번 국도와 공유하는 구간이 있다. 세종포천고속도로가 43번 국도와 거의 평행하게 지나며, 43번 국도의 장거리 이동을 담당하고 있다.전 구간이 왕복 4차로 이상, 일부 구간은 왕복 6차로 이상이다.
2.7. 의정부시 - 포천시 구간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 전까지는 포천시의 주요 교통로를 담당했다.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종점인 신북IC에서 43번 국도와 합류한다. 그 중에서도 의정부와 포천의 경계인 축석고개는 악명높은 상습 정체구간이었으나,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 이후에는 의정부 시내를 경유할 필요가 없어져 43번 국도 교통량이 감소했다. 43번 국도는 포천까지 가는 동안 입체교차가 전혀 없어 소통이 답답하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 차량은 대부분 고속도로로 분산된 상황이다.의정부 - 포천 간 호국로 전 구간은 왕복 4차로 이상, 그 중 의정부 금신교차로에서 포천 하송우 사거리까지 왕복 6차로이다.
2.8. 포천시 - 철원군 구간
세종포천고속도로가 신북IC에서 끝나기 때문에 그 이후 구간은 43번 국도가 모든 교통량을 담당하고 있다. 이 구간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의 교통량이 43번 국도로 모두 합류하기 때문에 포천 시내에서 신북면사무소까지 구간에서 정체가 자주 일어난다. 서울 - 철원 간은 47번 국도와 거의 평행하게 올라가는데, 47번 국도가 신호가 훨씬 적고 거리가 짧다. 실제 소요 시간은 포천 이남 구간의 정체 영향이 적은 43번 국도+세종포천고속도로 조합이 빠른 편. 때문에 세종포천고속도로 철원 연장이 철원군의 대표적인 숙원사업이다.43번 국도는 허가받지 않은 차량은 김화읍 생창리 읍내삼거리까지 갈 수 있다. 읍내삼거리의 남쪽에 초소가 있고, 읍내삼거리 - 용양삼거리 구간은 민통선 내 구간이기 때문에 사실상 막다른 길이다. 5번 국도와 교차하지만 영농출입증을 가지고 들어가지 않는 이상 민간인은 5번 국도 쪽으로 절대 넘어갈 수 없다.
현대아산에서 금강산 관광을 했을 적 내금강 관광을 할 때 이용하던 길 중 온정각에서 금강군내까지 가는 길이 사실은 43번 국도 북한 구간의 일부이다.[5]
포천 - 김화 간 호국로 전 구간은 왕복 4차로 이상이다. 김화 - 생창(생창길) 구간은 왕복 2차로이지만 이쪽은 생창리 주민들 말고는 교통량이 나올 시설이 전혀 없는 구간이라 왕복 2차로여도 상관이 없다.
3. 주요 경유지
<rowcolor=#ffffff> 소재지 | 교차로명 | 도로명 |
접속 노선 |
중복 노선 |
비고 | ||
세종 | 은하수교차로 | 정안세종로 |
[[1번 국도| 1 ]][[36번 국도| 36 ]]
|
||||
(세종IC) | 공사중 | ||||||
충남 | 공주시 | ||||||
덕학교차로 |
[[691번 지방도| 691 ]]
|
||||||
창말교차로 ( 정안IC) |
|||||||
정안IC교차로 |
[[23번 국도| 23 ]]
|
||||||
차령로 |
[[23번 국도| 23 ]]
|
||||||
( 차령터널) | |||||||
천안시 동남구 |
|||||||
세종 | |||||||
유천교차로 |
[[1번 국도| 1 ]]
|
||||||
세종로 |
[[1번 국도| 1 ]][[23번 국도| 23 ]]
|
||||||
충남 |
천안시 동남구 |
||||||
행정삼거리 |
[[623번 지방도| 623 ]]
|
||||||
세종 | |||||||
운당교차로 |
[[1번 국도| 1 ]][[23번 국도| 23 ]]
|
||||||
세종평택로 | |||||||
남풍세IC | |||||||
충남 |
천안시 동남구 |
||||||
풍세교차로 |
[[629번 지방도| 629 ]]
|
||||||
삼태교차로 | |||||||
아산시 | |||||||
북수교차로 |
[[21번 국도| 21 ]]
|
||||||
현충교차로 |
[[624번 지방도| 624 ]]
|
||||||
용두교차로 |
[[39번 국도| 39 ]]
|
||||||
송촌교차로 |
[[628번 지방도| 628 ]]
|
||||||
음봉산단교차로 |
[[70번 지방도| 70 ]]
|
||||||
신항교차로 |
[[45번 국도| 45 ]]
|
||||||
신남교차로 |
[[34번 국도| 34 ]]
|
||||||
경기 | 평택시 | ||||||
(안중IC) | 공사중 | ||||||
오성IC |
[[38번 국도| 38 ]]
|
||||||
미개통 | |||||||
경기 | 화성시 | 신왕삼거리 | 은행나무로 |
[[306번 지방도| 306 ]]
|
|||
화리현교차로 | |||||||
발안양감로 | |||||||
향남2교차로 |
[[309번 지방도| 309 ]]
|
||||||
향남교차로 |
[[82번 국도| 82 ]]
|
||||||
- | |||||||
향남로 | |||||||
- | |||||||
행정남로 | |||||||
- | |||||||
행정서남로 | |||||||
양감입구삼거리 | |||||||
삼천병마로 | |||||||
발안사거리 |
[[82번 지방도| 82 ]]
|
||||||
가재교차로 |
[[82번 국도| 82 ]][[82번 지방도| 82 ]]
|
||||||
자안입구삼거리 |
[[310번 지방도| 310 ]][[318번 지방도| 318 ]]
|
||||||
왕림교차로 | |||||||
봉영로 | |||||||
남봉담IC | |||||||
안녕IC | |||||||
진안교차로 |
[[1번 국도| 1 ]]
|
||||||
수원시 영통구 |
|||||||
- |
[[315번 지방도| 315 ]]
|
||||||
- |
[[315번 지방도| 315 ]]
|
||||||
영통고가사거리 |
[[42번 국도| 42 ]][[98번 지방도| 98 ]]
|
||||||
용인시 기흥구 |
중부대로 |
[[42번 국도| 42 ]][[98번 지방도| 98 ]]
|
|||||
삼성삼거리 | |||||||
수원시 영통구 |
|||||||
수원시 팔달구 |
|||||||
동수원사거리 |
[[1번 국도| 1 ]]
|
||||||
경수대로 |
[[1번 국도| 1 ]]
|
||||||
창룡문사거리 | |||||||
수원시 팔달구 |
수원시 장안구 |
창룡대로 | |||||
경기도남부경찰청사거리 | |||||||
수원시 영통구 |
|||||||
동수원IC | |||||||
광교상현IC | |||||||
용인시 수지구 |
포은대로 | ||||||
풍덕천사거리 |
[[23번 지방도| 23 ]]
|
[[23번 지방도| 23 ]]
|
|||||
죽전사거리 | |||||||
광주시 | |||||||
능원교차로 |
[[57번 지방도| 57 ]]
|
||||||
(오포IC) | 공사중 | ||||||
고산IC |
[[45번 국도| 45 ]]
|
||||||
회안대로 |
[[45번 국도| 45 ]]
|
||||||
태전JC |
[[3번 국도| 3 ]]
|
||||||
벌원교차로 |
[[338번 지방도| 338 ]]
|
||||||
광주IC입구삼거리 ( 광주IC) |
|||||||
상번천리삼거리 ( 광주IC) |
[[45번 국도| 45 ]]
|
||||||
남한산성입구삼거리 |
[[342번 지방도| 342 ]]
|
||||||
하남시 | 하남대로 | ||||||
하남IC사거리 ( 하남IC) |
|||||||
황산사거리 | |||||||
조정대로 | |||||||
서울 | 강동구 | 천호대로 | |||||
상일IC | |||||||
강동구 | 송파구 | 천호사거리 | |||||
천호대교남단 | |||||||
( 천호대교) | |||||||
광진구 | |||||||
천호대교북단 |
[[46번 국도| 46 ]] |
[[46번 국도| 46 ]]
|
|||||
광장사거리 | |||||||
아차산로 | |||||||
경기 | 구리시 | ||||||
교문사거리 |
[[6번 국도| 6 ]]
|
||||||
동구릉로 | |||||||
구리IC |
북부간선로 |
||||||
사노IC ( 퇴계원IC) |
[[47번 국도| 47 ]]
|
||||||
금강로 |
[[46번 국도| 46 ]][[47번 국도| 47 ]]
|
||||||
남양주시 | |||||||
진관IC |
[[46번 국도| 46 ]]
|
||||||
[[47번 국도| 47 ]]
|
|||||||
구진관IC |
[[383번 지방도| 383 ]]
|
||||||
임송IC |
[[47번 국도| 47 ]]
|
||||||
내곡IC | |||||||
전도치로 | |||||||
광전IC | |||||||
송산로 | |||||||
의정부시 | |||||||
동의정부IC | |||||||
만가대교차로 |
[[3번 국도| 3 ]]
|
||||||
시민로 | |||||||
신곡고가교차로 | |||||||
금신로 | |||||||
금신교차로 | |||||||
호국로 | |||||||
자금사거리 |
[[3번 국도| 3 ]]
|
||||||
포천시 | |||||||
축석교차로 |
[[98번 지방도| 98 ]]
|
[[98번 지방도| 98 ]]
|
|||||
소흘IC | |||||||
부인터사거리 |
[[98번 지방도| 98 ]][[360번 지방도| 360 ]]
|
||||||
[[360번 지방도| 360 ]]
|
|||||||
이가팔리입구교차로 |
[[383번 지방도| 383 ]]
|
||||||
하송우사거리 |
[[56번 지방도| 56 ]][[360번 지방도| 360 ]]
|
||||||
[[56번 지방도| 56 ]]
|
|||||||
장승거리교차로 ( 선단IC) |
|||||||
선단교차로 |
[[364번 지방도| 364 ]]
|
||||||
군내사거리 |
[[56번 지방도| 56 ]]
|
||||||
한내사거리 |
[[87번 국도| 87 ]]
|
||||||
신북IC | |||||||
신북교차로 |
[[368번 지방도| 368 ]]
|
||||||
만세교삼거리 |
[[37번 국도| 37 ]]
|
[[37번 국도| 37 ]]
|
|||||
양문교차로 | |||||||
신장삼거리 |
[[372번 지방도| 372 ]]
|
[[372번 지방도| 372 ]]
|
|||||
성동삼거리 | |||||||
운천제2교차로 |
[[78번 지방도| 78 ]]
|
||||||
송정검문소교차로 |
[[387번 지방도| 387 ]]
|
[[387번 지방도| 387 ]]
|
|||||
자일1리교차로 | |||||||
강원 | 철원군 | ||||||
문혜교차로 |
[[463번 지방도| 463 ]]
|
||||||
지경교차로 |
[[464번 지방도| 464 ]]
|
||||||
김화교차로 |
[[47번 국도| 47 ]][[56번 국도| 56 ]]
|
[[56번 국도| 56 ]]
|
|||||
학사교차로 |
[[56번 국도| 56 ]]
|
||||||
생창길 | |||||||
읍내삼거리 |
[[5번 국도| 5 ]]
|
3.1. 미개통 구간
화성시 양감면(신왕삼거리)~ 평택시 오성면( 오성IC) 구간은 아직 국도 개설(지정) 계획이 없는데( 참고), 발안양감로를 통해 평택파주고속도로 양감IC~ 오성IC 구간이 이 구간을 기능적으로 대체하고 있다.3.2. 주요 정체 구간
일단 세종시부터 행정중심복합도시 인구가 늘어나면서 점점 밀리는 추세이다.포천 시내 이북은 한산하지만 주말과 공휴일, 명절연휴에는 정체가 극심하다. 때문에 포천과 철원에서는 세종포천고속도로 연장을 촉구하고 있다.
4. 철도역
수인분당선의 영통지구 구간과 직접 접하며, 신분당선과 의정부 경전철이 이 도로와 인접해 있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분당선): 죽전역, 청명역, 영통역
-
서해선:향남역 - 신분당선: 광교역, 상현역, 성복역, 수지구청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 하남선): 광나루역, 천호역, 강동역, 하남시청역
- ~~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산포천선)
- 수도권 전철 8호선: 천호역, 동구릉역
-
서울 지하철 9호선:939정거장 - 의정부경전철: 탑석역, 송산역, 새말역, 효자역
-
동해선: 금강산청년역[7]
[1]
비무장지대 구간을 합하면 남한구간 종점은 근동면 방통리이다.
[2]
광복 당시에는 고성군 외금강면
[3]
43번 국도에서 왕복 2차로 구간이 있는 둘 뿐인 구간이다. (나머지 하나는 철원군 구간)
[4]
나머지 하나는
진천터널
[5]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한민국 전도와
내금강 관광 관련 기사를 비교하면 알 수 있다.
[6]
47번 국도와 만남. 그 이후 내곡IC까지 중첩된다.
[7]
이미 개통되어 있으나, 이북 땅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