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3:27:30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폴란드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히딩크호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관련 틀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대회 대표팀 FIFA 월드컵 본선 경기
김용식호[1] 헝가리 · 터키[조별리그]
김정남호[2] 아르헨티나 · 불가리아 · 이탈리아[조별리그]
이회택호 벨기에 · 스페인 · 우루과이[조별리그]
김호호 스페인 · 볼리비아 · 독일[조별리그]
차범근호[3] 멕시코 · 네덜란드 · 벨기에[조별리그]
히딩크호 폴란드 · 미국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터키[4위]
아드보카트호 토고 · 프랑스 · 스위스[조별리그]
허정무호 그리스 · 아르헨티나 · 나이지리아 · 우루과이[16강]
홍명보호 러시아 · 알제리 · 벨기에[조별리그]
신태용호 스웨덴 · 멕시코 · 독일[조별리그]
벤투호 우루과이 · 가나 · 포르투갈 · 브라질[16강]
{{{-2 {{{#!folding
[1] 1954년 스위스 월드컵 ~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16강 조별리그) [2] 1982년 스페인 월드컵 ~ 1994년 미국 월드컵은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24강 조별리그) [3] 1998년 프랑스 월드컵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32강 조별리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75deg, #eda702, #073E90, #EC2720, #32a847)"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color=#fff>
조별리그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대한민국 경기 (D조)
폴란드전 (1차전) · 미국전 (2차전) · 포르투갈전 (3차전)
주요 경기
프랑스 vs 세네갈 (A조)
결선 토너먼트 16강 8강 준결승, 3PO 결승
대한민국 경기
이탈리아전 (16강) · 스페인전 (8강) · 독일전 (준결승) · 터키전 (3위 결정전)
대회 이후 결산 ( 대한민국 · 프랑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성인
2001~2002
전체 ( 2001 2002)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폴란드전 · 미국전 · 포르투갈전 · 이탈리아전 · 스페인전 · 독일전 · 터키전)
친선 경기 ( 브라질전)
}}}}}}}}}}}}}}}
1. 개요2. 경기 전 예측3. 경기 전 국가 연주4. 경기 실황
4.1. 전반전4.2. 후반전
5. 경기 평가6. 중계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D조 1경기
2002년 6월 4일 화요일 20:30 (UTC+9)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ffffff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 [[부산광역시|{{{#ffffff 부산광역시}}}]] [[연제구|{{{#ffffff 연제구}}}]])
주심: 파일:UEFA COL.png [[오스카르 루이스|{{{#ffffff 오스카르 루이스}}}]]
관중: 48,760명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2 : 0
파일:폴란드 국장(2002 축구).png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파일:UEFA POL.png 폴란드
26′ [[황선홍|{{{#000000,#dddddd 황선홍}}}]] (A. [[이을용|{{{#000000,#dddddd 이을용}}}]])
53′ [[유상철|{{{#000000,#dddddd 유상철}}}]]
파일:득점 아이콘.svg -
[[https://m.youtube.com/watch?v=rcMDBX-AUBo|{{{#003b9e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fifa.com/tournaments/mens/worldcup/2002korea-japan/match-center/43950014|{{{#f1011e 매치 리포트}}}]]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KOR.png [[유상철|{{{#ffffff 유상철}}}]]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D조 32강 본선 1차전 폴란드전에 관해 기술한 문서이다. 대한민국 월드컵 역사상 첫 승을 기록한 경기이다.

2. 경기 전 예측

파일:폴란드전 라인업.jpg

3. 경기 전 국가 연주

폴란드 국가 제창
에디타 구르니아크 (폴란드 가수)
대한민국 국가 제창
조영수 (부산대학교 교수)
53사단 육군 군악대 & 해군 군악대 반주
경기 진행 전에 양국 국가가 부산광역시 관할 53사단 군악대와 해군 군악대의 합동 연주와 양국 가수의 독창으로 시작되었다. 폴란드 국가는 폴란드의 가수 에디타 구르니아크가 제창했으며, 이후 부산대학교 교수이자 가수 조영남의 친동생인 성악가 조영수가 애국가를 제창했다.

유니폼

대한민국: 빨간색 남색 빨간색

폴란드 : 하얀색 빨간색 하얀색

4. 경기 실황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선발 명단 3-4-3
감독: [[거스 히딩크|{{{#ffffff 거스 히딩크}}}]]
GK
1. 이운재
{{{#!wiki style="margin: -16px -11px;" CB
4. 최진철
CB
20. 홍명보 파일:주장 아이콘.svg
CB
7. 김태영
}}}
RWB
22. 송종국
CM
5. 김남일
CM
6. 유상철 파일:득점 아이콘.svg 53' 파일:부상 아이콘.svg 61'
14. 이천수 61'
LWB
13. 이을용
{{{#!wiki style="margin: -16px -11px;" RW
21. 박지성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0'
CF
18. 황선홍 파일:득점 아이콘.svg 26' 50'
19. 안정환 50'
LW
9. 설기현 89'
16. 차두리 89'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0'
}}}
CF
11. 에마누엘 올리사데베
CF
19. 마치에이 주라프스키 46'
9. 파베우 크리샤워비치 46'
LW
18. 야체크 크지노베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1'
CM
7. 피오트르 스비에르체프스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4'
CM
10. 라도수아프 카우즈니 64'
14. 마르친 제부아코프 64'
RW
21. 마레크 코지민스키
LB
4. 미하우 제브와코프
CB
15. 토마시 바우도흐 파일:주장 아이콘.svg
CB
20. 야체크 봉크 50'
2. 토마시 크워스 50'
RB
6. 토마시 하이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9'
GK
1. 예지 두덱
파일:UEFA POL.png 폴란드 선발 명단 4-4-2
감독: [[예지 엥겔|{{{#cf0000 예지 엥겔}}}]]
SBS 하이라이트 영상
MBC 하이라이트 영상

4.1. 전반전

대한민국은 홍명보를 중심으로 하는 3백 전술을 들고 나왔으며, 이영표가 훈련 도중 부상당한 관계로 이을용이 왼쪽 윙백으로 선발 출장했다.

경기 초반에 대한민국은 지나치게 긴장했는지 여러 번의 실수가 나왔는데, 경기 시작 1분 만에 중원에서 김남일의 트래핑 미스가 나왔고 공을 잡은 에마누엘 올리사데베가 곧바로 왼쪽의 야체크 크지노베크에게 스루 패스를 날려 박스 안에서 슈팅까지 허용했다.[1] 이어 전반 4분에는 페널티 박스 안에서 애매한 크로스로 인해 이을용의 앞으로 순간적으로 쇄도해가는 코지민스키에게 찬스가 올 뻔했다. 이 어수선한 분위기를 뒤집은 건 홍명보였는데, 홍명보는 전반 8분에 직접 하프라인까지 드리블한 후 유상철과 2:1 패스를 주고받은 뒤 곧바로 강한 중거리 슈팅을 날리며 기세를 가져왔다. 이후 전반 11분에는 폴란드의 후방에서 한 번에 넘어온 롱볼로 올리사데베가 페널티 박스 안까지 들어온 후 홍명보를 페인팅으로 제쳤으나 다행히 최진철 김태영의 커버로 간신히 막아냈고[2], 전반 19분에는 유상철이 노마크 상태에서 왼발로 강한 중거리 슈팅을 날려봤으나 골대를 살짝 벗어났다.
파일:external/static.news.zumst.com/c6c2a6bebc2047bc93e956599d5a0aad.jpg
[[황선홍|{{{#ffffff 황선홍}}}]]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첫 골
그러다 전반 26분, 폴란드 진영에서 벌어진 대한민국의 스로인 상황에서 이을용 설기현에게 던진 공을 설기현이 바로 내주었고, 공을 되돌려받은 이을용은 박스 안에서 자리를 잡으려 움직이던 황선홍을 향해 정확한 크로스[3]를 올렸고 황선홍은 이를 깔끔한 왼발 발리슛으로 연결해 골문 구석을 파고드는 선제골을 터뜨리며 그동안 월드컵에서 받은 아픔을 씻어냈다.[4] 이 장면은 거스 히딩크 전 감독이 폴란드 수비를 굉장히 연구한 티가 나는 장면으로, 폴란드의 수비 라인이 공간을 많이 내주는 걸 분석하고 그곳으로 침투하며 찔러주는 훈련을 반복했던 결과 만들어진 성과라고 한다. 실제로 이을용이 공을 받고 크로스를 올리기 직전 중앙에 있던 황선홍과 박지성이 정확히 동시에 x자로 교차해서 각각 니어 포스트와 파포스트 쪽으로 순식간에 달려가는데, 가운데에 모여있던 폴란드의 두 수비가 이 움직임 때문에 순간 황선홍을 놓치고 황선홍이 슛을 할 때까지도 박지성 쪽에 둘 다 모여있던 걸 보면 사전에 가운데 공간을 만들기 위한 약속된 플레이라는 걸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전반 36분에는 비슷한 위치의 쓰로인 상황에서 황선홍의 패스를 받은 유상철이 중앙에서 송종국과 2:1 패스를 주고받고 슛을 때려서 골망을 갈랐으나, 송종국이 유상철에게 리턴을 내줄 때 너무 명백한 오프사이드였기에 골은 취소되었다. 다만 이 상황에서 송종국의 판단이 아쉬웠는데, 유상철이 송종국에게 패스를 내준 순간 상대 수비가 타이밍 늦게 유상철에게 태클이 들어와서 직후 그 공간에 큰 균열이 났고 그렇게 발생한 가운데 큰 공간으로 박지성과 유상철이 동시에 침투해 들어갔다. 이때 아직도 상대 수비 하나가 뒤에 있어 온사이드 상황이었으며, 폴란드는 이제 막 상황을 판단하고 뒤늦게 오프사이드 트랩을 걸기 위해 라인을 올리고 있었다. 가운데에 있던 박지성은 대놓고 노마크 상태였기에 송종국이 박지성에게 공을 살짝 내주기만 했어도 그대로 박지성이 완벽한 1:1 상황을 만드는 거였는데, 송종국이 판단이 늦어 한 번 툭 치고 오른쪽의 유상철에게 내주는 바람에 이때 오프사이드 상황에 걸려버렸다. 실제로 신문선 해설위원도 오프사이드 판정이 나오자마자 중앙으로 들어가는 박지성에게 내주었으면 단독 찬스가 났을 것이라며 아쉬워하는 말을 했다.

4.2. 후반전

후반 3분에는 대한민국의 코너킥 상황에서 박지성 설기현의 헤더로 인해 떨어진 세컨볼을 감각적으로 발리슛으로 연결했으나, 예지 두덱이 괴물같은 반사 신경으로 쳐냈다.
이후 후반 8분, 센터 서클 근처 쪽 대한민국의 프리킥 상황에서 김남일이 전방의 안정환에게 기습적으로 패스를 넣어주는 과정에서 상대 수비에 의해 굴절이 발생했고, 유상철이 강력한 전방 압박으로 상대 수비로부터 공을 탈취한 뒤 페널티 에어리어 바로 앞에서 강력한 중거리 슛으로 쐐기골을 터뜨렸다. 이때 두덱은 공을 펀칭했지만 앞으로 꽤 나와있어서 정확한 선방 자체가 어려웠고, 유상철의 슈팅이 너무 강해 공은 손에 맞고도 골대 안으로 들어갔다. 이 골로 유상철은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월드컵 2회 연속 골을 넣은 선수가 되었으며,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본선 조별리그 3차전 벨기에전에 이어 월드컵 두 경기 연속 골을 득점했다.[5]

이후 후반 18분에는 이천수가 후방에서 안정환이 길게 보낸 스루 패스를 받아 사이드에서 1:1 드리블로 상대 수비를 제치고 슛을 날렸으나, 애초에 각이 별로 없었고 방향도 맞지 않아 옆그물을 때렸다. 후반 32분에는 안정환이 페널티 박스 앞에서 설기현의 패스를 일명 안느 턴으로 상대 센터백을 완전히 제쳐버리고 그대로 니어 포스트로 강슛을 날렸으나 아쉽게 빗나갔다. 이후 안정환과 박지성이 몇 번 기회를 만들었으나 골로 연결되지는 못했으며, 폴란드는 후반 들어 위협적인 기회를 하나도 만들지 못하고 대한민국에게 질질 끌려갔다. 그리고 그렇게 경기가 2:0으로 끝나며 대한민국이 월드컵 첫 승을 이룩했다.

5. 경기 평가

이번 경기의 승리는 2010년 그리스전 2:0 승리와 함께 대한민국이 월드컵 본선 경기 내용적 측면에서 상대를 완벽하게 압도한 경기로 평가받는다.[6]

폴란드의 골키퍼 예지 두덱의 선방이 아니었다면 더 많은 골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7] 박지성이 사각에서 날린 기가 막힌 발리 슛을 쳐냈고, 교체해서 들어온 안정환의 슛까지 막았다. 특히 안정환은 안느 턴까지 선보이며 본인의 경기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폴란드 수비진을 헤집어 놓았는데 마무리가 살짝 아쉬웠다. 본인도 "아 미치겠네"라고 말하며 매우 아쉬워하는 장면이 중계 카메라에 잡혔다.[8] 거기다 볼을 흘리자 총알같이 쇄도해 들어온 차두리의 슈팅까지 막다가 이마를 까였다.[9] 이때 MBC 중계석에 있던 차범근은 방송 사고 직전까지 갔다.[10]

6. 중계

국내 중계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서기철 허정무, 고종수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임주완 차범근
파일:SBS 로고.svg 송재익 신문선

7. 여담

파일:3mS4jxY.jpg
Win 3:0

8. 둘러보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요 경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A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vs 아랍에미리트 1:1 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6)
vs 인도네시아 4:2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6)
vs 쿠웨이트 0:2 패
파일:이란 국기.svg (199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2:6 패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vs 사우디아라비아 1:1 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1:2 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07)
vs 인도네시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07)
vs 이란 0:0 무
(PSO 4:2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07)
vs 이라크 0:0 무
(PSO 3:4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7)
vs 일본 0:0 무
(PSO 6:5 승)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2:1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1 무
파일:인도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인도 4:1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1:0 (연장)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2 무
(PSO 0:3 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3:2 승
2015 AFC 아시안컵 호주
파일:오만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오만 1:0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쿠웨이트 1: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2:0 (연장)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라크 2:0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2 (연장) 패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필리핀 1: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2: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2:1 (연장) 승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카타르 0:1 패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3:1 승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요르단 2:2 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3:3 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사우디아라비아 1:1 무
(PSO 4:2 승)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2:1 (연장) 승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요르단 0:2 패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1954)
vs 헝가리 0:9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54)
vs 터키 0:7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86)
vs 아르헨티나 1:3 패
파일:불가리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86)
vs 불가리아 1:1 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6)
vs 이탈리아 2:3 패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0)
vs 벨기에 0:2 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
vs 스페인 1:3 패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90)
vs 우루과이 0:1 패
1994 FIFA 월드컵 미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페인 2:2 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볼리비아 0:0 무
파일:독일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2:3 패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멕시코 1:3 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네덜란드 0:5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벨기에 1:1 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폴란드 2:0 승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미국 1:1 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포르투갈 1:0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2:1 (연장) 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페인 0:0 무
(PSO 5:3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0:1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터키 2:3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파일:토고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토고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프랑스 1:1 무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위스 0:2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그리스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그리스 2: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아르헨티나 1: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나이지리아 2:2 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루과이 1:2 패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러시아 1:1 무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알제리 2:4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벨기에 0:1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웨덴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멕시코 1:2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2:0 승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루과이 0:0 무
파일:가나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가나 2:3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포르투갈 2:1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브라질 1:4 패
기타 경기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승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1:2 (연장) 패
파일:브라질 국기.svg (1999)
vs 브라질 1:0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브라질 2:3 패
파일:오만 국기.svg (200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오만 1:3 패
파일:몰디브 국기.svg (200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몰디브 0:0 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4)
vs 튀르키예 2:1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4)
vs 독일 3: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0: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0:3 패
파일:중국 국기.svg (2017)
vs 중국 0:1 패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vs 카타르 2:3 패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4:1 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청소년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423f3f>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3:0 승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사우디아라비아 1:0 승
파일:라오스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라오스 2:0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홍콩 3: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1: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2: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북한 1:0 (연장) 승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6:0 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1:2 패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4:3 (연장) 승
파일:베트남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베트남 3: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연장) 승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쿠웨이트 9: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4:0 승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3: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5: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승
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2017)
vs 기니 3: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7)
vs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7)
vs 잉글랜드 0:1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7)
vs 포르투갈 1:3 패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9)
vs 포르투갈 0:1 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9)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1: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9)
vs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1:0 승
파일:세네갈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세네갈 3:3 무
(PSO 3:2 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에콰도르 1:0 승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크라이나 1:3 패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프랑스 2:1 승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온두라스 2:2 무
파일:감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감비아 0:0 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에콰도르 3:2 승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나이지리아 1:0 (연장)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1:2 패
파일:이스라엘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스라엘 1:3 패
U-17 대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vs 브라질 1:0 승
기타 경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3)
vs 네덜란드 1: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0 승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3 패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1)
vs 뉴질랜드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1)
vs 멕시코 3:6 패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여자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vs 브라질 0:2 패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2015)
vs 코스타리카 2:2 무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5)
vs 스페인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5)
vs 프랑스 0:3 패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9)
vs 프랑스 0: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9)
vs 나이지리아 0:2 패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2019)
vs 노르웨이 1:2 패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콜롬비아 0:2 패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모로코 0:1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1:1 무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파일:미얀마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미얀마 3:0 승
파일:필리핀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필리핀 1:5 승
파일:홍콩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홍콩 5: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북한 1:4 패
U-17 대표팀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0)
vs 일본 3:3 무
(PSO 5:4 승)
기타 경기
파일:북한 국기.svg (2017)
vs 북한 1:1 무
파일:중국 국기.svg (2022)
vs 중국 2:3 패
}}}}}}}}}}}}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 독립 문서로 등재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FIFA 월드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vs 대한민국 0:2 패
파일:일본 국기.svg (2018)
vs 일본 1:0 승
}}}}}}}}}}}}}}} ||


[1] 크지노베크가 퍼스트 터치를 길게 가져가는 바람에 홍명보가 빠르게 커버를 오자 슈팅각이 좁아져 부정확한 슈팅을 했는데, 첫 터치가 깔끔했다면 굉장히 위협적인 각도에서 슈팅을 날릴 수 있어 아주 위험한 상황이었다. [2] 올리사데베가 킥을 하는 척하며 안쪽으로 접었는데, 터치가 조금만 짧았어도 노마크 상태로 박스 안에서 기다리던 마치에이 주라프스키에게 그대로 패스가 들어갈 뻔했다. [3] 훗날 황선홍은 무릎팍도사에서 크로스가 어렵게 날아왔다며 이을용을 깠다. 안정환도 우리동네 예체능 출연 당시 미국전 동점골 상황에서 을용이의 크로스가 좋았던 게 아니라 내가 잘 넣은 거다. 나 아니면 을용이는 이민가야 했다라며 깠다. [4] 공교롭게도 4년 전 이날 황선홍은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개막을 1주일 앞두고 열린 중국과의 평가전에서 중국의 쿵후 축구에 제대로 당해 프랑스 월드컵 본선 무대를 1초도 밟지 못했다. [5] 유상철 이후 안정환이 2002년 미국전, 이탈리아전, 2006년에 토고전에서 득점해 2대회 연속 득점에 성공했고, 박지성은 2002년 포르투갈전, 2006년 프랑스전, 2010년 그리스전에서 월드컵 3회 연속 골을 터뜨리며 기록을 깼다. 2014년 알제리전, 2018년 멕시코전, 독일전에서 득점한 손흥민이 박지성의 기록에 도전했지만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 득점을 기록하지 못했다. [6] 2018년 독일전도 2:0으로 이기긴 했으나, 이 경기는 전형적인 선 수비-후 역습 전술로 버티다 후반 막판에 두 골을 꽂은 경기였기에 이번 경기나 2010년 그리스전과 양상이 다르다. [7] 두덱은 그로부터 3년 후 이 경기에서 승부차기 당시 안드리 셰브첸코의 슛을 막아내며 빅 이어를 들어올렸다. [8] 교체 출전해서 폴란드 진영을 마구 헤집어놓고 슈팅도 여러 차례 때리면서 카메라 단독샷에 많이 잡혔는데, 그때마다 엄청난 미모를 자랑했다. 지금도 해당 영상을 보면 축구선수 맞냐며 감탄하는 댓글이 많다. [9] 그리고 차두리는 이 파울로 경고를 받았다. [10] 당시 임주완 캐스터가 계속해서 차두리에 대한 언급을 하게끔 유도 질문을 날렸지만 차범근은 표정만 싱글벙글할 뿐(...) 차두리의 출전에 대해 별 의미를 두지 않았는데, 차두리가 슈팅을 날리자 자기도 모르게 큰 소리를 내며 아잌!이라는 감탄사(?)까지 내버렸다. 7:00부터 보면 나온다. [11] 중국은 코스타리카에 0:2로 패배했고, 같은 개최국 일본은 벨기에와의 첫 경기에서 2:1로 앞서다 뒷심 부족으로 동점골을 내주며 2:2 무승부 첫 승점 1점을 기록했다. [12] 당시 성남은 성남종합운동장을 홈으로 쓰고 있었기에 이 경기가 사실상 탄천종합운동장 주경기장의 개장 기념 경기였다. [13] 성남의 득점 선수는 재일교포 출신으로 국가대표로 발탁된 박강조다. 30m 부근에서 중거리 슛으로 넣었다. [14] 한편 이 경기가 있은 몇 시간 후 빅버드에서 월드컵을 앞두고 프랑스와 최종 평가전을 가졌다. 이 경기에서 2:3으로 아쉽게 지긴 했지만, 이 경기 역시 대한민국의 기세가 만만치 않았던 경기라 월드컵에서의 경기를 기대하게 만들었다. [15] KBS N SPORTS, MBC SPORTS+, SBS SPORTS. [16] 아이러니하게도 거스 히딩크에게 안긴 박지성은 이후 탄탄대로를 가게 되었는 반면 황선홍의 주전 출장은 미국전이 마지막이었는데, 이후 거스 히딩크에게 안기지 않아 안정환에게 주전을 빼앗겼다는 농담성 밈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17] KBS 다큐 레전드 기적의 스타디움에 그 비화가 나와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6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