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5:50:16

한항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rowcolor=#fff>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rowcolor=#fff>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rowcolor=#fff>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rowcolor=#fff>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rowcolor=#fff>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rowcolor=#fff> 29권 -2l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rowcolor=#fff>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rowcolor=#fff>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rowcolor=#fff>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rowcolor=#fff>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rowcolor=#fff>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rowcolor=#fff>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rowcolor=#fff>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rowcolor=#fff>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rowcolor=#fff>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rowcolor=#fff>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rowcolor=#fff>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2. 생애

1. 개요

韓恒
생몰연도 미상

전연의 인물. 자는 경산(景山). 기주(冀州) 장락군(長樂郡) 관진현(灌津縣) 출신.[1] 명망높은 학자인 한묵(韓黙)의 아들.

2. 생애

10살이 되었을 때부터 문장에 재주가 있어 당대 이름 날리던 문장가인 장재를 스승으로 섬겼는데, 장재는 그를 보고 범상치 않게 여겨
"왕을 보좌할 재주로다."
라며 감탄했다고 한다. 장성해서는 키가 8척 1촌이나 되었고, 경전과 서적을 두루 읽어 정통하지 않는 것이 없었다. 이후 영가의 난이 발발하자, 한항은 화를 피해 요동군으로 달아나 당시 요동을 통치하던 평주(平州)자사 최비(崔毖)에게 의지하였다.

대흥 2년(319년) 12월, 최비가 모용부의 대인 모용외와의 세력 다툼에서 밀려 고구려로 망명하니, 한항은 모용외에게 붙잡혀 모용부의 수도인 극성(棘城)으로 끌려갔다. 선비를 예우할 줄 알았던 모용외는 한항을 빈객으로서 예우하였고, 직접 만나서 대화를 나눠보고는 그를 마음에 들어하며 참군사로 삼았다.

함화 6년(331년) 겨울, 송해와 여러 신하들이 공동으로 모용외에게 대장군, 연왕(燕王)을 관작을 동진에 요구할 것을 주청하였다. 이때 한항이 반론을 펼치며 말했다.
"오랑캐 무리가 허술해진 틈을 타 사람들에게 심한 고통을 주고 있으니, 제하(諸夏)가 고요해지고 기강 또한 사라졌습니다. 명공(明公)께서는 충(忠)과 무(武)를 갖추고, 성실함을 다하여 사직을 위해 부단히 힘쓰시어, 고독하고도 위태로운 상황 속에서도 절개를 굽힘이 없이 만 리 먼 곳에서 공을 세우셨으니, 예로부터 근왕(勤王)의 의(義)라도 찾아볼 수 없는 일입니다. 무릇 공을 세우는 자는 그 신의(信義)가 드러나지 않는 것을 근심할 뿐이므로, 명성과 직위가 낮음을 근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환(桓) 문(文) 주나라 왕실의 안녕과 부흥 이루고 잘못된 것을 바로잡은 공이 있었음에도 먼저 예명(禮命)을 요구하여 제후들을 호령하지는 않았습니다. 지금, 의당 갑병(甲兵)을 고쳐 기회를 기다리면서 흉악한 무리를 제거하고 사해(四海)를 맑게 하여, 그러한 공이 이루어지고 난 후라면 구석(九錫)에 자연히 이르게 될 것입니다. 게다가 지금 임금에게 총작(寵爵)을 요구하는 것은 신하의 의리라 할 수 없습니다."
모용외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겨 한항을 신창(新昌)의 현령으로 내보냈다.

함화 9년(334년) 11월, 요동공 모용황이 진군대장군, 평주자사, 대선우에 임명되자 한항을 다시 불러 참군사로 삼았다. 이후 영구(營丘)태수에 임명되어 부임한 한항은 정치로 백성을 교화에 성공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영화 5년(349년) 4월, 모용준이 대장군, 연왕에 임명되자, 한항은 다시 부름을 받고 자의참군에 임명되었고, 양렬장군 직책이 더해졌다.

영화 8년(352년) 11월, 업(鄴)을 함락시킴으로써 염위를 멸한 연왕 모용준은 황제에 오르고, 국가의 5행(五行)의 순서를 어떻게 정할지 군신들과 의논하였다. 당시 한항을 병에 걸려 수도 용성(龍城)에 머무르고 있었기에, 경소제 모용준은 한항을 불러 결정케 하였다. 한항이 도착하기 전에 군신들은 연나라는 마땅히 진(晉)의 뒤를 이어 수덕(水德)을 취해야 한다 주장하여 이로 정했는데, 이윽고 도착한 한황이 경소제 모용준에게 말했다.
"조(趙: 후조)가 중원을 차지했던 것은 비단 인간의 소행만이 아니라 천명(天命)이 있어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하늘이 내린 것을 인간이 빼앗는 것은 불가하다고 신은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대연(大燕)의 왕업의 자취는 진(震)으로부터 시작하였고, 《 주역》에 의하면 진(震)은 청룡(靑龍)이라 하였습니다. 천명을 처음 받을 때 도읍(용성)에서 용이 나타났다고 하였는데, 용은 목덕(木德)이므로 이것이야말로 유계(幽契)에 부합합니다."
경소제 모용준은 비록 처음에 정한 일을 다시 고치기 어려웠으나, 한항의 의견에 따르기로 하였다. 비서감 섭웅(聶熊)이 한항의 말을 듣고 감탄하며 말했다.
"'군자가 없다면 나라가 어찌 흥하겠는가'라는 말은 바로 한 영군(韓令君)을 두고 하는 말이리라!"
이후 이산과 함께 동궁(東宮)으로 들어가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원새 2년(353년) 2월, 태자 모용엽(慕容曄)을 따라 입조하자, 경소제 모용준이 좌우를 향해 말했다.
"두 부(傅)는 모두 한 세대의 위인으로, 이들을 대신할 자는 없다."
한항을 향한 경소제 모용준의 총애가 이와 같았다.


[1] 진서》〈지리지〉의 기록에 따르면 무읍왕 사마승의 유일한 아들인 사마우가 숙부 사마돈의 양자로 들어가 안평왕(安平王) 작위를 이었다가, 사마승이 죽자 무읍국도 흡수하여 장락국으로 고쳤다는 기록을 보면 무제 사마염 재위 말기에 이미 안평국은 없어졌으므로 장락군의 속현으로 보는 것이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