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4:42:19

여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338 0%, #044F67 20%, #044F67 80%, #002338);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의무제 은왕 영제 말제
추존
태공 · 경공 · 공공 · 선공 · 경소왕 · 문제
}}}}}}}}}
여량 제3대 황제
여찬 | 呂簒
묘호 없음
시호 영황제(靈皇帝)
연호 함녕(咸寧, 399년 ~ 401년)
여(呂)
찬(簒)
영서(永緒)
생몰 ? ~ 401년
{{#ece5b6 재위}}} 399년 ~ 401년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오호십육국시대 후량의 제3대 황제.

태조 의무제 여광과 숙원(淑媛) 조씨(趙氏)의 서장남으로, 제2대 은왕 여소의 이복형이었다.

2. 생애

어려서부터 아버지 여광을 닮아 기마와 궁술에 능했고 매와 사냥개를 기르는 것을 좋아했지만 독서는 좋아하지 않았다.

383년, 여광이 서역 원정에 나섰을 때, 여찬은 전진의 수도인 장안(長安)에 머물렀다. 이후 전진의 제3대 세조 선소제 부견 비수대전에서 참패하자(383. 11) 상방(上邽)[1]으로 피신했다. 그리고 여광이 서역에서 돌아와 후량을 건국하자 386년 후량의 수도인 고장(姑臧)[2]으로 가서 호분중랑장(虎賁中郎將)이 되었다.

396년, 여광이 천왕으로 즉위하자 태원공(太原公)에 봉해졌다. 이듬해(397) 양궤(楊軌)와 함께 선비 걸복부 서진(西秦)을 공격해 금성(金城)[3]을 점령하는 공을 세웠으나 여광은 그 전투에서 동생인 천수공 여연(呂延)[4]이 전사하자 그 책임을 물어 같이 종군한 노수호족 장군들인 저거라구(沮渠羅仇)와 저거국죽(沮渠麹粥)을 처형했다. 그러자 그들의 일족인 저거몽손과 저거남성(沮渠男成)이 반란을 일으켜 한족 장군인 단업과 함께 북량을 세운 후 후량과 대립했다. 이에 여찬이 정병 50,000명을 이끌고 북량 토벌에 나섰으나 곽논(郭黁)이 고장에서 반란을 일으키는 바람에 군대를 돌려 곽논을 진압했다.

399년, 여찬은 적자인 동생 여소와 함께 북량을 공격했다. 하지만 북량왕 단업이 남량 독발오고에게 구원을 요청하여 오고의 동생인 독발리록고가 군대를 이끌고 오자 철수했다. 동년(399)에 부황 여광의 병이 심해졌는데, 여광은 태자 여소에게 제위를 넘긴 후, 서장남 여찬을 태위, 차남 여홍(呂弘)을 사도로 임명했다. 그리고 새 황제는 그들의 보좌를 받으라는 유조를 남기고 붕어했다. 태조 의무제 여광이 죽자 여소는 그 사실을 비밀로 하라고 했으나 여찬은 동생의 명을 무시하고 빈소로 들어가 곡을 했다. 군권을 장악한 맏형 여찬을 두려워한 여소는 그에게 양위하고자 했으나 여찬이 자신은 서출이라며 거부했다. 한편 의무제 여광의 조카였던 여초(呂超)는 신제 여소에게 여찬의 병권을 뺏았을 것을 건의했으나 여소는 부황의 유고를 존중하여 무시했다.

차남 여홍은 태자가 될 뻔 했으나 적자인 동생 여소가 갑자기 등장하는 바람에 임명이 취소되어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에 역심을 품고 상서 강기를 보내 맏형인 태위 여찬을 부추기니, 여찬이 마침내 여홍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황궁에 쳐들어갔다. 여찬이 문을 부수고 진입하자 황궁을 지키던 좌위장군 제종(齊從)이 갑자기 칼을 뽑고 달려들어 여찬의 이마를 내리쳤다. 다행히 칼은 빗나가 상처만 입고 끝났으며, 좌우 병사들이 제종을 잡아죽이려 할 때 의로운 자를 죽이자 말라며 만류했다. 황제 여소는 여개에게 황실의 금군을 주어 반란군을 막으려고 했지만 금군이 오히려 여찬의 명성을 두려워하여 뿔뿔이 흩어졌다. 여찬은 쉽게 황궁을 장악할 수 있었고, 여소는 자결했다. 사촌인 여소를 지원하려다가 이미 늦어버린 것을 눈치챈 여초는 광무(廣武)로 도주했다.(용비정변)

정변에 성공한 여찬은 동생 여홍의 권세도 만만치 않음을 눈치채고 그에게 즉위를 권했으나 여홍이 거절하여, 결국 여찬이 천왕에 즉위해 함녕(咸寧)으로 개원했다. 그리고 논공행상을 진행해 정변에서 공을 세운 이들에게 적절한 상을 주어 여홍은 시중, 대도독, 도독중외제군사, 대사마, 차기대장군, 녹상서사에 임명받고 번화군공(番禾郡公)에 봉해졌다. 그리고 여찬 자신을 죽이려한 제종을 불러 그의 충심을 치하했으며, 숙부인 정동장군 여방(呂方)을 통해 사촌형제인 여초와도 관계 회복을 시도했다.

400년, 서로 경계하며 껄끄러운 관계를 유지하던 동생 여홍이 마침내 동원(東苑)에서 반란을 일으켰다.(여홍의 난) 영제 여찬은 부장들을 보내 여홍의 군사를 격파했고 그 잔당들은 광무로 도주했다. 동원을 점령한 여찬은 군사를 풀어 민가를 약탈하고는 부녀자들을 사로잡아 모두 군사들에게 포상으로 내렸다. 이 과정에서 여홍의 처와 딸들도 군사들에게 하사되어 능욕당했는데, 이러한 광경을 구경하던 영제 여찬은 좌우 신하들에게 웃으며 물었다.
"오늘 전투는 어땠는가?"
그러자 시중 방귀(房晷)가 울먹이며 대답했다.
"하늘이 양(涼)에 재앙을 내렸고, 결국 그 재앙이 친척들에게도 닥친 듯 하옵니다. 선제께서 붕어하신지 얼마 되지 않아 은왕은 핍박당했고, 산릉이 무너져내렸으며, 대사마는 방자하여 반역하니, 두 형제의 군대가 수도 인근에서 맞붙었습니다. 비록 여홍이 자멸했다고는 하나, 이는 폐하께서 형제간의 도의가 없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기도 합니다. 폐하께선 스스로를 반성하고 질책하며 백성들에게 사과해야할 진데, 오히려 병사들을 풀어 약탈하고 부녀자를 모욕하게 내버려두었습니다. 반란을 일으킨 것은 여홍인데 백성들에게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더군다나 여홍의 아내는 폐하에겐 제수씨이며, 여홍의 딸들은 폐하에겐 조카딸이 되건만, 감히 무뢰한 소인들이 그녀들을 비첩으로 삼게 둘 수 있습니까! 천지신명이시여, 이런 상황에 이를 때까지 어찌하여 보기만 하신 겁니까!"
방귀의 말을 들은 영제 여찬은 즉시 웃음을 거두고 그에게 사과한 뒤, 여홍의 처자식들을 동궁으로 데리고 와 후히 대접했다. 도망치던 여홍은 얼마 안가 여방에게 사로잡혀 죽임을 당했다. 그해, 여찬은 아내 양씨를 황후로 삼고, 양씨의 아버지 양환(楊桓)을 산기상시, 상서좌복사, 양도윤(涼都尹)에 임명했다.

이후에는 중서령 양영(楊穎)의 반대를 무시하고 남량 정벌을 시도했으나 제3대 경왕 독발녹단에게 패배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북량 정벌에 나서 장액(張掖)[5]을 공격했으나 독발녹단이 고장을 공격해오자 철수했다.

영제 여찬은 재위기간 동안 주색과 사냥을 탐하고 태상 양영, 중서시랑 왕유(王儒) 등의 간언을 무시했다. 401년, 사촌인 번화태수 여초가 멋대로 선비족의 사반(思盤)을 공격하자, 사반은 동생 걸진(乞珍)을 보내 여찬에게 일러바쳤다. 여찬은 여초와 사반에게 고장으로 와서 서로 만나 화해할 것을 명령했지만 고장에 도착한 여초는 사반을 만나기는 커녕 딴 짓만 해댔다. 분노한 여찬이 여초를 책망했는데 이에 앙심을 품은 여초가 형 여륭과 합심하여 연회 때 술에 취한 영제 여찬을 시해하고 도망쳤다.(함녕정변) 당시 연회장에 있었던 황후 양씨가 즉시 근위병에게 명령해 여초를 토벌하려 했으나, 전중감 두상(杜尙)에게 제지당했다. 이윽고 장군 위익다(魏益多)가 연회장에 들어와 여찬의 시신을 참수하고는 그 수급을 들고 돌아다니며 반란을 선포했다.

여륭과 여초 형제는 당시 북성에 머물고 있었던 여찬의 숙부인 파서공 여타(呂他)와 동생인 농서공 여위(呂緯)를 설득하려고 했다. 여위는 금세 넘어왔으나 여타는 부인 양씨(梁氏)의 조언을 듣고 따르지 않았다. 저항 세력을 일소하여 황궁을 성공적으로 장악한 여초는 여위를 황궁에 입성하게 한 뒤, 그에게 모든 죄를 뒤집어 씌우고 참살했다. 이후 여초의 형인 여륭이 즉위했으며, 살해당한 여찬의 시호를 영황제(靈皇帝)라 하고 그를 백석릉(白石陵)에 매장했다. 여찬이 암살된 뒤 여초가 그의 황후 양씨를 탐해 부인으로 맞이하려고 했지만, 이를 수치로 여긴 양씨는 자결했다.


[1] 간쑤성 텐수이. [2] 現 간쑤성 우웨이. [3] 現 간쑤성 란저우. [4] 태조 의무제 여광의 동생으로 여찬의 숙부였다. [5] 現 간쑤성 장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