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0:15:03

크리스푸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공화정 시대 역사가에 대한 내용은 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크리스푸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카이사르 |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카이사르
다섯 황제의 해 소 페르티낙스
세베루스 왕조 세이우스 살루스티우스
군인 황제 시대 가이우스 율리우스 베루스 막시무스 | 발레리아누스 2세 | 살로니누스 | 소 빅토리누스 | 테트리쿠스 2세
사두정치 크리스푸스 | 리키니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 왕조 달마티우스 | 한니발리아누스 | 마그누스 데켄티우스 | 콘스탄티우스 갈루스
서로마 제국 팔라디우스
레오 왕조 파트리키우스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게르마누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마르티노스 | 테르벨
이사브리아 왕조 니키포로스 | 흐리스토포로스
아모리아 왕조 알렉시오스 모셀레 | 바르다스
마케도니아 왕조 대 바르다스 포카스
두카스 왕조 요안니스 두카스 | 기오르기 2세
콤니노스 왕조 니키포로스 멜리시노스 | 소 니키포로스 브리엔니오스 | 이사키오스 콤니노스 | 요안니스 로게리오스 달라시노스 | 벨러 3세 | 몬페라토의 레니에르
앙겔로스 왕조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 | 콘라드 1세 | 마누일 마우로조미스
라스카리스 왕조 레온 가브라스
팔레올로고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팔레올로고스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스트라티고폴로스 | 루지에로 데 플로르 | 요안니스 팔레올로고스 | 흐렐야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
크리스푸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A3800,#FFF {{{#!wiki style="margin: -5px 0px"
단독황제 양두정치 제1차 사두정치 제2차 사두정치
동방 정제 디오클레티아누스 갈레리우스
동방 부제 - 갈레리우스 막시미누스 다이아
서방 정제 - 막시미아누스 콘스탄티우스 1세
서방 부제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306 ~ 310년  >>>
제2차 사두정치 제3차 사두정치
동방 정제 갈레리우스 갈레리우스
리키니우스
동방 부제 막시미누스 다이아
서방 정제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콘스탄티누스 1세
막시미아누스
막센티우스
서방 부제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1세 -
막센티우스
>>>  311 ~ 316년  >>>
내전기
동방 정제 갈레리우스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막시미누스 다이아
동방 부제 -
서방 정제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1세
막센티우스
서방 부제 - 바시아누스
>>>  316 ~ 324년  >>>
내전기
동방 정제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우스 발렌스 마르티니아누스
동방 부제 발레리우스 발렌스 - 리키니우스 2세
서방 정제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부제 - 크리스푸스
콘스탄티누스 2세
>>>  324 ~ 352년  >>>
콘스탄티누스 왕조
동방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중앙 콘스탄스 콘스탄스
서방 콘스탄티누스 2세 베트라니오
마그넨티우스
>>>  353 ~ 364년  >>>
콘스탄티누스 왕조 -
동방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율리아누스 요비아누스
서방 율리아누스
>>>  364 ~ 378년  >>>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1세 발렌스
서방 발렌티니아누스 1세 발렌티니아누스 1세 발렌티니아누스 2세
그라티아누스
>>>  379 ~ 395년  >>>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왕조
동방 테오도시우스 1세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2세
그라티아누스 마그누스 막시무스
에우게니우스 플라비우스 빅토르
>>>  395년 ~  >>>
동방 동로마 제국
서방 서로마 제국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sine collega: 동료 없이 단독 선출
  • Annus A post consulatum B (et C): B(와 C)의 집정관 집권으로부터 A년 뒤
황제 겸 집정관 }}}
301년 302년 303년 304년 305년
티투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미우스 티티아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비리우스 네포티아누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306년 307년 308년 309년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동방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서방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Diocletiani Augustiet Maximiani Augusti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로마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아우구스투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카이사르 발레리우스 로물루스 발레리우스 로물루스
310년 311년 312년 313년
타티우스 안드로니쿠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폼페이우스 프로부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로마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케이오니우스 루피누스 볼루시아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아우구스투스
( 아라디우스) 루피누스
314년 315년 316년 317년 318년
가이우스 케이오니우스 루피누스 볼루시아누스 (Ⅱ)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안토니우스 카이키나 사비누스 오비니우스 갈리카누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페트로니우스 안니아누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베티우스 코시니우스 루피누스 카이소니우스 바수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 카이사르
319년 320년 321년 322년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동방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Licinii Augustiet Licinii Caesaris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카이사르
서방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 카이사르 페트로니우스 프로비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암니우스 아니키우스 율리아누스
323년 324년 325년 325년 보결
동방 Annuspost consulatum Licinii Augustiet Licinii Caesaris
서방 아킬리우스 세베루스
베티우스 루피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 카이사르 발레리우스 프로쿨루스 율리우스 율리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섹스투스 아니키우스 파울리누스
326년 327년 328년 329년 330년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플라비우스 야누아리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갈리카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베티우스 유스투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심마쿠스 툴리아누스
331년 332년 333년 334년 335년
유니우스 바수스 루키우스 파피우스 파카티아누스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플라비우스 옵타투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플라비우스 아블라비우스 메킬리우스 힐라리아누스 도미티우스 제노필루스 암니우스 마니우스 카이소니우스 니코마쿠스 아니키우스 파울리누스 케이오니우스 루피우스 알비누스
336년 337년 338년 339년 340년
비리우스 네포티아누스 플라비우스 펠리키아누스 플라비우스 우르수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셉티미우스 아킨디누스
테티우스 파쿤두스 파비우스 티티아누스 플라비우스 폴레미우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아라디우스 발레리우스 프로쿨루스
341년 342년 343년 344년
안토니우스 마르켈리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마이키우스 멤미우스 푸리우스 바부리우스 카이킬리아누스 플라키두스 도미티우스 레온티우스
페트로니우스 프로비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로물루스
동방 율리우스 살루스티우스
서방 플라비우스 보노수스
율리우스 살루스티우스
345년 346년 347년 348년 349년
플라비우스 아만티우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불카키우스 루피누스 플라비우스 필리푸스 울피우스 리메니우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알비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에우세비우스 플라비우스 살리아 아코니우스 카툴리누스
350년 351년 352년 353년
플라비우스 세르기우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니그리니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동방 Annuspost consulatum Sergii et Nigriniani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서방 플라비우스 마그누스 마그넨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마그누스 데켄티우스 카이사르
가이소 파울루스
354년 355년 356년 357년 358년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아르비티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켄소리우스 다티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퀸투스 플라비우스 마이시우스 에그나티우스 롤리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카이사르 네라티우스 케레알리스
359년 360년 361년 362년 363년
플라비우스 에우세비우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타우루스 클라우디우스 마메르티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히파티우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플로렌티우스 플라비우스 네비타 플라비우스 살루스티우스
364년 365년 366년 367년 368년
플라비우스 요비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플라비우스 루피키누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바로니아누스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다갈라이푸스 플라비우스 요비누스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369년 370년 371년 372년 373년
발렌티니아누스 갈라테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도미티우스 모데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빅토르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섹스투스 클라우디우스 페트로니우스 프로부스 플라비우스 아린테우스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374년 375년 376년 377년 378년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Gratiani Augustiet Equiti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에퀴티우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메로바우데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379년 380년 381년 382년 383년
데키미우스 마그누스 아우소니우스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시아그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안토니우스 플라비우스 메로바우데스
퀸투스 클로디우스 헤르모게니아누스 올리브리우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에우케리우스 아프라니우스 시아그리우스 플라비우스 사투르니누스
384년 385년 386년 387년
플라비우스 리코메르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클레아르쿠스 플라비우스 바우토 플라비우스 에우오디우스 에우트로피우스
388년 389년 390년 391년
동방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마테르누스 키네기우스
서방 마그누스 막시무스 아우구스투스
sine collega
플라비우스 티마시우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에우톨미우스 타티아누스
플라비우스 프로모투스 플라비우스 네오테리우스 퀸투스 아우렐리우스 심마쿠스
392년 393년 394년 395년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아니키우스 헤르모게니아누스 올리브리우스
플라비우스 루피누스 아니키우스 프로비누스
동방 플라비우스 아분단티우스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플라비우스 에우게니우스 아우구스투스 비리우스 니코마쿠스 플라비아누스
sine collega
396년 397년 398년 399년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카이사리우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노니우스 아티쿠스 플라비우스 에우티키아누스
동방 에우트로피우스
서방 플라비우스 말리우스 테오도루스
400년
플라비우스 스틸리코
동방 아우렐리아누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colbgcolor=#8b0000> 로마 제국 카이사르
크리스푸스 | Crispus

파일:플라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jpg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
(Flavius Julius Crispus)
생몰 년도 299년? - 326년
카이사르 재위 기간 317년 3월 1일 - 326년
부모 콘스탄티누스 1세(아버지)
미네르비나(어머니)
아내 헬레나
형제자매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스, 플라비아 발레리아 콘스탄티나, 헬레나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콘스탄티누스 왕조 초기의 황족.

대제 콘스탄티누스 1세 장남으로, 혼란스러운 내전중에 전장에서 맹활약하여 부친이 로마 제국의 단독 황제가 되는 데 크게 일조했다. 그러나 서기 326년 계모인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 간통했다는 혐의를 뒤집어쓰고 처형되었다.

2. 생애

콘스탄티누스 1세 미네르비나 사이의 유일한 아들이었다. 언제, 어디에서 태어났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다만 309~310년경에 기독교 학자이자 궁정 관료 락탄티우스의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에, 299년 즈음에 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07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딸인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와 결혼했다. 그가 기존의 아내였던 미네르비나와 이혼했다는 기록이 없는 걸 볼 때, 그녀와 정식으로 결혼한 사이가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후대의 역사가들인 조시무스 요안니스 조나라스는 미네르비나를 첩이라고 밝혔다. 반면 현대의 로마 역사가인 티모시 반스는 조시무스와 조나라스가 신뢰할 수 없는 이교도 역사가인 사르디스의 에우나피오스의 저서를 인용했기에 전적으로 믿을 수 없다면서, 미네르비나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친척이며, 콘스탄티누스 1세와 정식으로 결혼했다고 주장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크리스푸스에게 그의 친어머니인 미네르비나와 함께 갈리아로 가도록 지시했다. 크리스푸스는 그 곳에서 락탄티우스의 양육을 받으며 자랐다. 317년 3월 1일, 세르디카 시에서 이복 동생인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와 함께 카이사르(부황제)의 칭호를 받았으며, 318년 집정관을 역임했다.이후 갈리아의 사령관에 선임되어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오늘날 트리어)에 거주했고, 322년 1월 헬레나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지만 이름이나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318년, 320년, 그리고 323년 서게르만계 알레만니족 프랑크족의 침략에 맞선 군사 작전을 진두지휘해 성공적으로 이끌며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선보였다. 324년 동방의 황제인 리키니우스와 전쟁을 벌이게 된 콘스탄티누스 1세는 크리스푸스를 해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헬레스폰토스 해협(다르다넬스 해협), 프로폰티스 해(마르마라 해),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해전을 이끌었다. 특히 324년 7월 헬레스폰토스 해전에서 갤리선 200척을 이끌고, 리키니우스가 서방의 정제로 내세운 마르티니아누스의 갤리선 350척을 격파했다. 리키니우스 황제는 9월 18일 보스포루스 해협 너머의 크리소폴리스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대패한 뒤 니코메디아로 도주한 후 항복했다. 이로써 콘스탄티누스 1세는 사두정의 내전을 종식시키고, 로마 제국의 단독 황제로 군림하게 되었다.

당시 크리스푸스는 사실상 후계자로 예정되어 있었다. 서쪽의 갈리아와 동쪽 방면 해전에서의 탁월한 활약은 세간의 찬사를 받기에 충분했고, 병사들도 그의 뛰어난 지휘력과 훌륭한 인품을 칭찬했다. 비록 이복 동생인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그리고 콘스탄스가 있었지만, 아직 성인식도 가지지 않은 어린 아이들일 뿐이었다. 그런데 326년, 크리스푸스는 돌연 처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부황 콘스탄티누스 1세의 명령으로 긴급 체포된 뒤 가혹한 고문을 받다가 일리리아 풀라에서 재판도 받지 못한 채 처형당한 것이다. 몇 달 후 계모인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도 로마의 뜨거운 목욕탕에서 질식사했고, 두 사람은 기록말살형에 처해졌다.

서기 4세기 말에 출간된 《카이사르의 전형》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전투에서 놀라운 성공을 거두어 로마 제국 전체를 지배하게 된 뒤, 그는 아내 파우스타의 제안에 따라 아들 크리스푸스를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어머니 헬레나가 손자의 죽음을 지나치게 슬퍼하며 꾸짖자, 콘스탄티누스는 파우스타를 끓는 목욕탕에 던져 죽였다"
라고 기술했다. 또한 아리우스파 역사가인 필로스토르기오스는 이 사건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황후의 속임수에 의해 아들 크리스푸스를 사형에 처했고, 그 후 그녀가 자신의 시종들 중 한 명과 간통한 걸 알아내자 뜨거운 욕조에 질식시키라고 명령했다."
갈리아 아르베르눔의 주교였던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집정관 아블라비우스가
"궁궐의 누가 지금 토성의 황금기를 원하겠는가? 우리는 네로의 다이아몬드 시대이다."
라는 시를 쓴 것에 대해,
"아우구스투스가 그의 아내 파우스타와 아들 크리스푸스를 거의 동시에 뜨거운 물로 목욕시킨 걸 빗대었으니 실로 용감하다."
라고 칭송하는 편지를 친구에게 보냈다. 또한 서기 6세기 초의 역사가였던 조시무스
"콘스탄티누스 (1세)가 자연법에 대한 고려도 없이 크리스푸스가 계모 파우스타와 성관계를 가졌다는 혐의로 죽였다.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인 헬레나는 이 잔혹한 행위에 슬퍼했고, 황제는 마치 모후를 위로하려는듯 병보다 더 나쁜 치료제를 발랐다."
라며 콘스탄티누스 1세의 행위를 비판했다. 한편 12세기의 역사가인 요안니스 조나라스는 이 사건의 경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파우스타 (황후)는 크리스푸스를 미친듯이 사랑했지만 쉽게 그를 설득하지 못했다. 그러자 그녀는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크리스푸스가 자신을 사랑하며, 종종 자신에게 폭력을 행사하려 했다고 고발했다. 그러므로 크리스푸스는 아내를 믿었던 그의 아버지로부터 사형 선고를 받았다. 그러나 황제가 나중에 진실을 알게 되었을 때, 그는 아내의 방탕함과 아들의 죽음으로 인해 아내도 처벌했다. 파우스타는 과열된 욕조에 들어갔고, 그곳에서 폭력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현대 역사가인 거스리(Guthrie)는 크리스푸스의 처형은 파우스타 황후의 세 아들이 제위를 계승하도록 하기 위해 사생아인 크리스푸스를 제거하려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계획 살인이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콘스탄티누스 1세가 317년 크리스푸스를 카이사르로 임명하여 후계자로 내세웠고, 크리스푸스는 리키니우스의 해군을 상대로 완승을 거두는 등 충분히 능력을 보여줬는데, 굳이 그런 더러운 짓을 할 이유가 있느냐는 반박을 받고 있다. 게다가 크리스푸스를 제위 계승에서 배제하기 위한 음모였다면, 파우스타 황후까지 목욕탕에서 질식시키는 방식으로 죽여야 했느냐는 반론도 제기된다.

또 다른 설은 파우스타가
"크리스푸스가 반역을 꾀하고 있다."
라며 모함했고, 콘스탄티누스 1세는 그걸 믿고 크리스푸스를 죽였으나, 얼마 후 그녀의 주장에 근거가 없다는 걸 알게되자 책임을 물어 파우스타를 고통스럽고 무자비한 방식으로 죽인 후 기록말살형에 처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설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크리스푸스의 처벌을 취소하고 명예를 회복해주지 않은 이유를 충분히 설명해주지 못한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최고 권력자는 오류를 저질렀다는 걸 시인해서 권위를 손상받기보다는 진실을 은폐하는 쪽을 선택하기 마련이라며, 콘스탄티누스 1세 역시 크리스푸스가 억울하다는 걸 알면서도 자신의 권위가 손상받는 것이 싫어서 진실을 밝혀주지 않았을 거라고 주장한다.

일부 학자들은 콘스탄티누스 1세의 모후인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가 큰 손자와 며느리를 제거하여 아들과 손주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음모를 꾸몄을 거라고 주장한다. 그녀가 파우스타를 상대로, 크리스푸스에게 강간당했다는 생각을 주입시켜서 크리스푸스를 모함하도록 유도한 뒤, 나중에 크리스푸스의 일로 감정이 상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조언을 구할 때 파우스타가 누명을 씌웠을 거라고 주장해서 역시 죽도록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주장은 헬레나가 그렇게까지 권력을 탐하는 여인임을 암시하는 문헌 자료나 물적 증거가 없기에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또다른 학자들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아들 크리스푸스를 정적으로 여겨 숙청했다고 주장한다. 제국의 단독 황제가 되어 위세가 하늘을 찌를듯 하던 그의 입장에서, 탁월한 군사적 역량을 발휘해 언제나 승리를 거둬 군대와 백성의 신망을 한 몸에 받는 큰아들을 경계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애당초 본부인에게서 낳은 세 아들에게 후계를 물려주지, 첩실에게서 얻은 큰아들을 후계자로 삼을 생각이 없었고, 제위 경쟁자들을 물리칠 때까지 적당히 이용했다가 가치가 떨어지자 계모와 간통했다는 혐의를 뒤집어 씌워 처형했다고 본다. 하지만 이 설은 세 아들의 어머니였던 파우스타를 잔혹하게 죽일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이렇듯 326년 크리스푸스 황자와 파우스타 황후가 연이어 처참하게 죽은 사건에 대해 많은 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크리스푸스와 파우스타가 서로 목숨을 걸고 사랑했다가 발각되어 비참하게 죽었다는 이야기를 믿지 않는다. 두 사람의 간통 혐의가 사실이 아닐 거라고 여기는 이유는 다양하다.

티모시 D. 반스는
"크리스푸스는 아버지의 궁정이 있는 콘스탄티노플에서 멀리 떨어진 트리어에 주로 거주했다."
는 점을 근거로 두 사람 사이에 어떠한 육체적인 접촉도 없었을 거라고 주장했다. 또한 여러 학자는 파우스타와 크리스푸스의 관계가 그리스 신화의 파이드라와 히폴리토스의 관계와 유사하다며, 그들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가 단순히 이 신화를 모델로 하여 지어낸 이야기라고 간주한다. 또, 이교도 역사가들이 콘스탄티누스 1세가 이 비극적인 사건을 계기로 기독교인이 되었다고 주장한 점도 역사가들이 사건의 진실을 의심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캠브리지 대학의 데이비드 우즈(David Woods)는 색다른 주장을 제기한다. 크리스푸스가 파우스타를 강간해 파우스타가 임신했고, 이 사실을 알게 된 콘스탄티누스 1세가 격노하여 패륜 행위를 저지른 크리스푸스를 처형했다. 이후 뱃속의 아기를 낙태하라고 목욕탕에 보냈으나 파우스타는 도중에 죽어버렸고,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던 헬레나는 낙태를 시도하다가 죽은 며느리를 수치스럽게 여겨 아들에게 요구하여 크리스푸스와 파우스타 모두 기록말살형에 처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이는 파우스타가 사망한 장소인 칼리다리움이 로마 시대에 임신을 원치 않은 여인들이 자연 유산을 유도하려고 이용한 장소라는 사실을 근거로 제기된 가설이다. #

이렇듯 수많은 주장들이 제기되지만, 정설은 현재까지 정해지지 않았다. 분명한 사실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두 사람의 모든 기록을 말살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파우스타 황후의 세 아들들은 제위에 오른 뒤에도 모후인 파우스타에게 내려진 형벌을 취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크리스푸스와 파우스타는 수치스러운 황족으로 낙인찍혔고, 《콘스탄티누스의 생애》의 저자인 카이사레아 에우세비우스는 크리스푸스나 파우스타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