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0:29

군론(화학)

표현론(화학)에서 넘어옴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70039>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colbgcolor=#c70039> 체계 플랑크 상수( 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 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 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해석 코펜하겐 해석(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 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묘사 묘사( 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심화 이론 이론 양자장론( 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위상 공간) · 양자색역학( SU(3))
입자· 만물이론 기본 입자{ 페르미온( 쿼크) · 보손 · ( 둘러보기)} · 강입자( 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기본 상호작용( 둘러보기)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초끈 이론( 초대칭 이론 · M이론 · F이론) · 통일장 이론
정식화 · 표기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경로적분( 응용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 조절)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 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 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 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 물리화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 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기타 군론 · 대칭성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 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 위그너의 친구) · 교재 }}}}}}}}}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7CEFA> 기본 정보 원소( 할로젠 · 금속 · 준금속 · 비활성 기체 · 동위원소) · 원자( 양성자 · 중성자 · 전자) · 분자 · 이온
물질 순물질( 동소체 · 화합물) · 혼합물( 균일 혼합물 · 불균일 혼합물 · 콜로이드) · 이성질체
화학 반응 · ( 앙금) · 작용기 · 가역성 · 화학 반응 속도론( 촉매 · 반감기) · 첨가 반응 · 제거 반응 · 치환 반응 · 산염기반응 · 산화환원반응( 산화수) · 고리형 협동반응 · 유기반응 · 클릭 화학
화학양론 질량 · 부피 · 밀도 · 분자량 · 질량 보존 법칙 · 일정 성분비 법칙 · 배수 비례의 법칙
열화학 법칙 엔트로피 · 엔탈피 · 깁스 자유 에너지( 화학 퍼텐셜) · 열출입( 흡열 반응 · 발열 반응) · 총열량 불변의 법칙 · 기체 법칙 · 화학 평형의 법칙( 르 샤틀리에의 원리 · 동적평형)
용액 용질 · 용매 · 농도( 퍼센트 농도· 몰 농도 · 몰랄 농도) · 용해도( 용해도 규칙 · 포화 용액) · 증기압력 · 삼투 · 헨리의 법칙 · 전해질
총괄성 증기압 내림 · 끓는점 오름 · 어는점 내림 · 라울 법칙 · 반트 호프의 법칙
전기화학
·
양자화학
수소 원자 모형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유효 핵전하 · 전자 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전기음성도 · 극성 · 무극성 · 휘켈 규칙 · 분자간력( 반 데르 발스 힘( 분산력) · 수소 결합) · 네른스트 식
전자 배치 양자수 · 오비탈( 분자 오비탈 · 혼성 오비탈) · 전자껍질 · 쌓음원리 · 훈트 규칙 · 파울리 배타 원리 · 원자가전자 · 최외각 전자 · 옥텟 규칙 · 우드워드-호프만 법칙
화학 결합 금속 결합 · 진틀상 · 이온 결합 · 공유 결합( 배위 결합 · 배위자) · 공명 구조
분석화학 정성분석과 정량분석 · 분광학
분석기법 적정 · 기기분석( 크로마토그래피 · NMR)
틀:양자역학 · 틀:통계역학 · 틀:주기율표 · 틀:화학식 · 틀:화학의 분과 · 틀:산염기 · 화학 관련 정보 }}}}}}}}}

1. 개요2. 상세3. 이 될 조건4. 자주 사용되는 대칭 조작

1. 개요

/ group theory

분자 대칭(molecular symmetry)과 관련된 개념을 화학에서 군론이라는 이름으로 다루는 학문이다.

2. 상세

화학의 4대 축[1] 중 하나인 물리화학에서 양자화학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화학도들도 군론을 접할 수 있다. 하지만 물리화학에서 배우기 보다 무기화학을 배우면서 알기 시작한 경우가 많다. 왜냐면, 물리화학 앞부분 진도 빼기도 빠듯하고, 무기화학에서 리간드 장 이론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이기 때문... 다만, 물리학이나 수학에서만큼 깊고 전문적으로 배우지는 않고 주로 응용을 위한 간단한 계산과정을 배운다고 할 수 있겠다. 응용 분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로는 분자가 갖는 여러 대칭성을 조합하여 분자의 다양한 성질을 유추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분자의 대칭이 어떻게 만들어 질수 있는 지 알아보고 그것을 통해 어떤 진동 운동을 할 수 있을지 예측해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두번째 응용으로는 바탕 함수(분자의 내용을 반영하는 함수)로 이루어진 바탕 집합들을 1차 결합하여 분자 오비탈 이론을 정성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있다.

분자 오비탈 이론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두말하면 잔소리라고 할 수 있다. 분자 오비탈 이론을 통해 분광학에서 보이는 스펙트럼을 설명하기도 하고, 무기화학에서 리간드장 이론을 설명하기도 한다. 화학도들에게 중요한 점은 양자역학 적분값을 계산하지 않고도 여러 내용을 추론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물의 바닥 상태(ground state)로부터 1차 들뜬 상태(first excited state)로의 전자 전이가 허용되는지, 허용되었다면 전기장 방향은 어느 방향으로 배위되어 있어야 하는지 등.

이게 왜 중요하냐면, 화학도들은 선형대수학 미분방정식 혹은 공업수학을 안배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분값을 못 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물리학에서 군론 선형대수학의 하위 분야에 가깝다. 그런데 정작 수학에서는 오히려 군론이 선형대수학을 쌈싸먹었다.[2]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모든 대칭조작이 선형 조작이기 때문이다. 어차피 다 알아도 손으로는 못 구한다. H2+까지가 백지에다 수학 실력만 가지고 손으로 어떻게 디벼볼 수 있는 한계 하지만 군론도 생소해서 어렵고, 어렵기 때문에 포기하는 사람이 있다.

화학도를 위해 변명을 하자면 화학에서 주로 다루는 착물들은 선형대수학이나 미분방정식을 다 배웠다 쳐도 기본적으로 컴퓨터로 직접 수치해석적으로 양자역학 계산을 돌리지 않으면 해를 구할 수가 없다. 화합물들이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해석학적으로 뭔가 의미있게 수학적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답을 구하는 것은 커녕 풀면 그 답을 줄 수 있는 식만 세울 수 있어도 대단한 수준.

대학원에서 계산무기화학을 전공하고 그걸로 박사를 받아도 손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 오히려 화학 쪽에서는 정성적으로 접근해서 놀라울 정도로 근접한 결과를 주는 규칙들을 공부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참고로 군론이라는 이름과는 달리 실제 내용물은 표현론에 가깝다.

3. 이 될 조건

1. 에 포함된 원소들의 'product'는 다시 그 군에 포함되어야 한다.[3]
2. 항등원에 해당하는 'identity element'가 존재한다.
3. 결합법칙이 성립한다.(교환 법칙이 성립할 필요는 없다.)
4. 모든 원소는 역원에 해당하는 'reciprocal element'를 가진다.
5. 화학과에서는 space group은 안따진다. point group만 신경쓰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분야인 유기금속프레임워크(Metal-Organic Framework; MOF)나 전통적인 무기화학 분야인 지올라이트와 같은 실리케이트, 메탈로실리케이트 분야는 기본적으로 2, 3차원 결정을 다루기 때문에 space group도 반드시 나온다.

4. 자주 사용되는 대칭 조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점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E : 특별한 대칭없이 그 상태 자체에 따른 조작
2. Cn : 을 중심으로 각도 2π/n 라디안만큼 회전하였을 때에도 대칭을 유지하는 조작
3. σ(h, d, v) : 평면을 중심으로 대칭하는 조작(h는 주축에 수직하는 평면, d는 주축을 포함하며 결합각을 이등분하는 평면, v는 주축을 포함하며 원소들을 지나가는 평면)
4. Sn : 축을 중심으로 2π/n 라디안만큼 회전하고 축에 수직하는 평면에 대칭할 때 대칭성을 유지하는 조작. 이렇게 써 놓으면 복잡해 보이지만 학부 수준에서는 그냥 Cn조작과 σh조작을 동시에 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5. i : 중심을 기준으로 반전조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 [2] 엄밀히 말하자면 여기서 말하는 군은 가환군(아벨군, abelian group) 위에 의 연산이 주어진 가군(module)을 의미한다. 자세한 내용은 가환대수학 문서 참조. [3] 이는 수학에서 '집합이 연산에 대해 닫혀있어야 한다.(closure)' 라는 말에 해당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