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9:57:48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70039>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colbgcolor=#c70039> 체계 플랑크 상수( 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 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 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해석 코펜하겐 해석(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 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묘사 묘사( 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심화 이론 이론 양자장론( 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위상 공간) · 양자색역학( SU(3))
입자· 만물이론 기본 입자{ 페르미온( 쿼크) · 보손 · ( 둘러보기)} · 강입자( 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기본 상호작용( 둘러보기)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초끈 이론( 초대칭 이론 · M이론 · F이론) · 통일장 이론
정식화 · 표기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경로적분( 응용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 조절)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 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 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 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 물리화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 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기타 군론 · 대칭성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 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 위그너의 친구) · 교재 }}}}}}}}}

1. 개요2. 실험 내용
2.1. 이론적 배경
3. 추가 실험
3.1. 살펴보기
4. 관련 문서

1. 개요

Stern–Gerlach experiment

슈테른(Otto Stern; 1888-1969)과 게를라흐(Walther Gerlach; 1889-1979)가 1922년에 실시한 양자역학 역사에서 중요한 실험 중 하나로, 초기 양자역학에서 제이만 효과 등과 함께 원자 스핀의 존재를 밝혀낸 실험이자 그 스핀이 양자화돼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실험이다.

2. 실험 내용

파일:namu_슈테른-게를라흐 실험_개요.svg

우선 진공에서 전기적으로 중성을 기화시킨다. 이때, 은을 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 후 기화시킨 은 원자로 은 원자 빔을 만든다. 그리고 그렇게 생성된 은 원자 빔을 위와 같은 불균일한 자기장[1]에 통과시켜서, 자기장을 통과한 은 원자들이 건너편 스크린에 향하게 한다. 그렇게 반대쪽 스크린에 나온 은 원자들의 분포를 조사하면, 은 원자의 자기 모멘트 분포를 알 수 있는 실험이다.

고전적으로 봤을 때는, 자기 모멘트는 연속적인 값을 취할 수 있으므로, 예상되는 은 원자의 분포는 당연히 연속적인 분포를 보여야 된다. 그런데 실제 실험을 해보면, 연속적이긴커녕 두 줄에 걸쳐서 은 원자가 검출되었다. 즉, 자기 모멘트가 연속적인 값이 아닌 딱 2개의 값만을 갖는다는 결과가 나와버린 것이다.

이에 물리학자들은 '뭔가 원자 자체의 각운동량이랑은 다른, 자기 모멘트를 만들어내는 무언가 다른 원인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후에 이는 제이만 효과 실험과 함께 스핀이라는 개념으로 정립된다.

2.1. 이론적 배경

은 원자의 자기 모멘트를 [math(\mathbf{m})]이라 하자. 여기서 자기 모멘트는 궤도 운동에 따라 나타난 게 아님에 유의한다. 이때, 자기장 [math(\mathbf{B})] 영역에서 받는 힘은

[math( \displaystyle \mathbf{F}=(\mathbf{m} \boldsymbol{\cdot} \boldsymbol{\nabla})\mathbf{B})]

로 기술된다. 만약 자기장이 [math(z)]축으로 균일하다고 하자. 이때, 은 원자가 [math(z)]축으로 받는 힘의 크기는

[math( \displaystyle F_{z}=0)]

으로 되어 휘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불균질한 자기장을 고려하면

[math( \displaystyle F_{z} =m_{z} \biggl[ \frac{\partial B_{z}}{\partial x}+\frac{\partial B_{z}}{\partial y}+\frac{\partial B_{z}}{\partial z} \biggr] )]

적절히 자기장을 조절하여 [math(B_{z})]가 [math(z)]에만 거의 의존한다고 하면

[math( \displaystyle F_{z} \approx m_{z} \frac{\partial B_{z}}{\partial z} )]

로 쓸 수 있다. 여기서 [math({\partial B_{z}}/{\partial z} )]는 실험 장치의 속성이다.

궤도 각운동량의 합이 0인 은 원자를 사용한 이 실험에서 이러한 힘을 받는다는 결과를 내려면, 이러한 자기 모멘트를 만드는, 전자 자체에 내재된 어떠한 각운동량을 도입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바로 스핀인 것이다.

전자의 자기 모멘트는

[math(\begin{aligned} \mathbf{m}&=-\frac{ e}{mc}\mathbf{S} \end{aligned})]

으로 주어진다. 그러나 고전적으로 생각했을 때, [math(\mathbf{S})]는 연속적으로 가질 수 있고, 이는 [math(S_{z})] 또한 연속적임을 뜻한다. 따라서 받는 힘은

[math( \displaystyle F_{z} = -\frac{eS_{z}}{mc} \frac{\partial B_{z}}{\partial z} )]

또한 연속적이기에 스크린에는 연속적으로 은 원자가 검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험적으로는 두 줄이 관찰되었으므로 [math(S_{z})] 또한 양자화되어 있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실제로 [math(S_{z}=\pm \hbar/2 )]이므로

[math(\begin{aligned} m_{z}= \mp \frac{ e \hbar}{2mc} \end{aligned})]

결과적으로 받는 힘의 크기는

[math( \displaystyle F_{z} =\mp \frac{ e \hbar}{2mc} \frac{\partial B_{z}}{\partial z} )]

음의 부호가 스핀 up 상태, 양의 부호가 스핀 down 상태이다. 그런데, N극을 위에 놓고, S극을 아래에 놓았으므로 스핀 up 상태는 위로, 스핀 down 상태는 아래로 가는 것이다.

3. 추가 실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Sg-seq.svg.png

이 실험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다음과 같은 실험으로 확장된다. 먼저, 위 실험에서 은 원자들이 '두 분류로 나뉘는' 현상을 확인했으므로, [math(z)]축 방향으로 휘게 만드는 자기장을 만들어서 은 원자 빔을 통과시킨 후, 그 중에서 [math(+z)] 방향으로 휜 은 원자 빔만을 다시 z축 방향으로 휘게 만드는 자기장에 통과시켰을 때는 은 원자는 [math(+z)] 방향의 한 줄에서만 검출이 된다. 이는 이미 [math(-z)]축 방향으로 휘어진 원자들은 다 걸러냈으므로, [math(+z)]축 방향으로만 원자가 휜다고 생각하면 문제가 없어보인다.

이번에는, [math(z)]축 방향 자기장 → 그 중 [math(+z)] 방향 은 원자 빔 → [math(x)]축 방향 자기장의 순서로 빔을 통과시켜 보자. 그러면 은 원자는 [math(+x)], [math(-x)] 방향의 두 줄에서 검출이 된다. 고전 물리학적인 관점으로 생각했을 때, [math(x)]축 방향 자기 모멘트, [math(y)]축 방향 자기 모멘트, [math(z)]축 방향 자기 모멘트가 전부 독립적으로 존재해서 [math(+z)]축 방향으로 걸러낸 원자들 안에서도 [math(+x)]축, [math(-x)]축 방향 자기 모멘트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마지막으로, [math(z)]축 방향 자기장 → 그 중 [math(+z)] 방향 은 원자 빔 → [math(x)]축 방향 자기장 → 그 중 [math(+x)]방향 은 원자 빔 → [math(z)]축 방향 자기장에 다시 통과시킨다. 이 때 검출되는 은 원자는 몇 줄일까?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이미 [math(-z)]축 방향으로 휘어진 원자들은 다 걸러냈으므로, 다시 [math(z)]축 방향 자기장에 통과시킨다 한들 [math(-z)]축 방향으로는 원자들이 휘지 않을 게 당연한 것 같다. 그런데 실제 실험을 해보면, [math(+z)]축, [math(-z)]축 방향의 원자가 두 줄로 분명히 검출된다. 이미 [math(-z)]축 방향으로 휜 원자들을 '걸러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는 당연히 고전역학적인 결과로 설명할 수 없고, 양자역학의 기묘한 특징 중 하나이자 그 난해함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실험 중 하나이다. 이 현상은 불확정성 원리와 양자역학의 관측에 관한 문제와도 관련이 있는 현상이다.

3.1. 살펴보기

양자역학적으로 세 번째 실험의 현상을 다뤄보자.

일단 실험을 다시 생각해보자. [math(z)]축 방향의 자기장을 걸어 원자를 휘게 한다는 것은 곧, 해당 방향의 스핀 각운동량을 측정한다는 것과 같고, 이것은 곧 양자역학적으로 보면 파동함수에 연산자 [math(\hat{S}_{z})]를 건다는 것과 같다.

우선 측정 전의 은 원자는 임의의 상태 [math( \psi )]를 가졌을 것이다. 그런데 [math(z)]축 방향의 자기장을 쏨으로써 스핀 각운동량이 측정되었을 것이고, 이러한 임의의 상태는 [math(\hat{S}_{z})]의 고유함수들로 전개 가능함에 따라

[math(\begin{aligned} \psi=a_{1}\varphi_{z}^{+}+ b_{1}\varphi_{z}^{-} \end{aligned})]

이다. 여기서 [math(\varphi_{z}^{+})]는 [math(\hat{S}_{z})]의 스핀 up 상태의 고유함수, [math(\varphi_{z}^{-})]는 스핀 down 상태의 고유함수이다. 따라서 [math(|a_{1}|^2)]의 확률로 스핀 up 상태를, [math(|b_{1}|^2)]의 확률로 스핀 down 상태를 관측한다. 그러나 실험처럼 긴 시간을 들여 나온 패턴을 관측하는 것에선 결국 두 상태 모두 스크린에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math(\varphi_{z}^{-})] 상태를 버리고, [math(\varphi_{z}^{+})]만을 다시 [math(x)]축 방향 자기장에 투입하면, [math(\hat{S}_{z})]의 고유함수는 [math(\hat{S}_{x})]의 고유함수가 아니므로

[math(\begin{aligned} \varphi_{z}^{+}=a_{2}\varphi_{x}^{+}+b_{2}\varphi_{x}^{-} \end{aligned})]

로 전개할 수 있어, 마찬가지의 논법으로 여기서도 두 줄이 생길 것이다. 여기서도 [math(\varphi_{x}^{-})]를 버리고, [math(\varphi_{x}^{+})]만을 [math(z)]축 방향 자기장에 투입하면,

[math(\begin{aligned} \varphi_{x}^{+}=a_{3}\varphi_{z}^{+}+\red{b_{3}\varphi_{z}^{-}} \end{aligned})]

로 전개할 수 있어, [math(-z)]방향의 스핀 각운동량을 걸러냈음에도 관측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양자역학적으로 임의의 상태는 해당 연산자의 고유함수들로 전개 가능함, 즉 고유함수가 complete set을 이룬다는 점에서 그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참고적으로 첫 번째 실험의 경우 자기장에 투과시켜,

[math(\begin{aligned} \psi=a_{1}\varphi_{z}^{+}+ b_{1}\varphi_{z}^{-} \end{aligned})]

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math(\varphi_{z}^{+})] 상태만을 다시 같은 방향의 자기장에 투입시키면, 이 상태는 연산자에 대한 고유함수이므로 이 상태만 관측이 되는 것이다.

4. 관련 문서


[1] 불균일한 자기장을 쓰는 이유는, 균일한 자기장에서 진행하는 자기 모멘트는 단순히 세차운동만을 일으키면서 진행 방향이 바뀌지 않지만, 적절히 잘 설계된 불균일한 자기장을 이용하면 진행 방향 자체를 특정 방향으로 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