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 | 영국[1] | 북키프로스 |
그리스 | 유엔[2] | 튀르키예 |
1. 개요
키프로스섬 분쟁의 당사국들인 키프로스 및 북키프로스, 아크로티리 데켈리아를 지배하는 영국, 남북키프로스를 지원하는 그리스와 튀르키예, 남북의 완충지대를 관리하는 유엔 사이의 다자 관계 및 그 회담을 말한다.분단국가와 주변 국가들의 모임이라는 점에서는 남북한관계와 관련된 6자회담과 성격이 비슷하다.
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이전
오스만 제국이 동로마 제국을 정복하면서 동로마 제국은 멸망했다. 이에 그리스 일대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키프로스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고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한동안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았다. 하지만 키프로스도 오스만 제국의 정복을 받았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서 그리스인들은 밀레트 제도의 영향으로 제한적인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았지만, 차별을 받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그리스인과 튀르크인간의 통혼이 이뤄지고 문화적인 영향도 많이 받았다.키프로스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튀르크인들이 키프로스로 이주 및 정착했다. 당시 키프로스에는 그리스인들과 튀르크인들이 거주했다.
2.2. 19세기
19세기에 들어서면서 그리스는 주변국들과 유럽 강대국들의 도움을 받아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했다. 당시 그리스 왕국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지역들을 조금씩 회복했다. 키프로스는 오스만 제국의 영토로 남아있었지만, 대영제국이 키프로스를 차지했다.2.3.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이 패하자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이에 양국은 전쟁을 치렀다. 그러다가 튀르키예 측에서 반격했다. 오스만 제국은 1920년대 초에 멸망하고 신생 튀르키예 공화국이 들어섰다. 이에 그리스와 튀르키예는 협약을 체결해 그리스인과 튀르키예인들이 각각 그리스와 튀르키예로 돌아갔다. 냉전시절에 양국은 소련을 견제하기 위해 NATO에 가입했다.키프로스가 1960년에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났지만, 1970년대에 키프로스내에서 튀르키예계와 그리스계 사이에서 충돌이 일어났다. 이에 그리스와 튀르키예는 키프로스 분쟁에 개입하면서 전쟁이 일어났다. 키프로스 전쟁 이후, 북키프로스에는 튀르키예군이 주둔했고 남키프로스는 그리스와 군사적인 협력을 하면서 튀르키예를 견제하기 시작했다.
2.4. 21세기
그리스와 튀르키예, 키프로스는 북키프로스와 관련된 문제로 갈등이 존재한다. 튀르키예 측은 2000년대 이후에도 북키프로스만을 정식 정부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북키프로스는 튀르키예의 영향력이 매우 크며 교류, 협력도 활발하다. 반면, 남키프로스는 튀르키예 정부에게 튀르키예군 철수를 요청하는 등 양국은 북키프로스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키프로스 정부 또한 북키프로스를 인정하지 않고 있고 이전에는 북키프로스를 인정하는 국가에 대해선 외교적으로 항의했다. 2000년대 이후에 키프로스가 유럽연합에 가입하고 북키프로스와의 갈등이 해소되기 시작하면서 남키프로스와 북키프로스간의 교류가 일부 생기고 있다.
문화적으로 그리스와 튀르키예, 키프로스는 영향을 많이 받았다. 게다가 키프로스와 그리스 내에는 소수의 튀르키예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튀르키예에서도 소수의 그리스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키프로스는 그리스인과 튀르키예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서 그리스어와 튀르키예어가 공용어이다. 그리고 키프로스와 그리스는 언어, 문화, 종교 등에서 공통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양국간 교류가 활발하다. 튀르키예와 북키프로스는 언어, 문화, 종교에서 공통점이 존재해서 교류가 존재한다.
3. 관련 문서
[1]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지역 지배
[2]
유엔 키프로스 평화유지군이 주둔하는 유엔 키프로스 완충지대, 별칭 '그린 라인'을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