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09:56:09

타원 적분


특수함수
Special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83B3D><colcolor=#fff> 적분 오차함수(error function)( 가우스 함수 · 가우스 적분 함수) · 베타 함수( 불완전 베타 함수) · 감마 함수( 불완전 감마 함수 · 로그 감마 함수) · 타원 적분 · 야코비 타원 함수 · 지수 적분 함수 · 로그 적분 함수 · 삼각 적분 함수 · 쌍곡선 적분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미분방정식 르장드르 함수[math(^\ast)] ( 구면 조화 함수) · 베셀 함수 · 에르미트 함수 · 라게르 함수 · 에어리 함수
역함수 브링 근호 · 람베르트 W 함수 · 역삼각함수
급수 제타 함수 · 후르비츠 제타 함수 · 세타 함수 · 초기하함수 · 폴리로그함수 · 폴리감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정수론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뫼비우스 함수 · 최대공약수 · 최소공배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피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바쁜 비버 함수
기타 헤비사이드 계단함수 · 부호 함수 · 테트레이션( 무한 지수 탑 함수) · 지시함수 · 바닥함수 / 천장함수 · 허수지수함수 · 혹 함수
[math(^\ast)] 특수함수가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이지만, 편의상 이곳에 기술했다.
}}}}}}}}} ||

1. 개요2. 분류
2.1. 르장드르 형태
2.1.1. 제1종 타원 적분2.1.2. 제2종 타원 적분
2.2. 야코비 형태
2.2.1. 제1종 타원 적분2.2.2. 제2종 타원 적분
2.3. 초기하함수를 통한 정의2.4. 그래프
2.4.1. 불완전 타원 적분2.4.2. 완전 타원 적분2.4.3. 완전 타원 적분의 극한값
2.5. 관련 공식
3. 야코비 타원 함수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

타원 적분( , elliptic integral)은 타원의 둘레를 구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적분꼴 함수이며, 초등함수의 원시함수가 초등함수로 표현되지 않는 대표적인 경우이다.[1]

이 문서는 초등적인 방법으로 타원 적분을 다루고 있으므로 타원 적분에 대한 심층적인 내용 정보가 필요하면 이곳(영어)을 참고해볼 것을 권한다.

2. 분류

2.1. 르장드르 형태

2.1.1. 제1종 타원 적분

불완전 제1종 타원 적분(in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함수이다.

[math(\displaystyle F(\phi,\,k) = \int_{0}^{\phi} \frac{1}{\sqrt{1-k^{2}\sin^{2}{\theta} }}\,{\rm d}\theta \qquad (0 \leq k \leq 1) )]

특히, [math(\phi=\pi/2)]인 경우를 완전 제1종 타원 적분(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이라 하며

[math(\displaystyle K(k) = \int_{0}^{\pi/2} \frac{1}{\sqrt{1-k^{2}\sin^{2}{\theta} }}\,{\rm d}\theta \qquad (0 \leq k \leq 1) )]

로 정의된다.

2.1.2. 제2종 타원 적분

불완전 제2종 타원 적분(in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second kind)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함수이다.

[math(\displaystyle E(\phi,\,k) = \int_{0}^{\phi} \sqrt{1-k^{2}\sin^{2}{\theta}}\,{\rm d}\theta \qquad (0 \leq k \leq 1) )]

특히, [math(\phi=\pi/2)]인 경우를 완전 제2종 타원 적분(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second kind)이라 하며

[math(\displaystyle E(k) = \int_{0}^{\pi/2} \sqrt{1-k^{2}\sin^{2}{\theta}}\,{\rm d}\theta \qquad (0 \leq k \leq 1) )]

로 정의된다.

2.2. 야코비 형태

야코비 형태의 유도는 위의 르장드르 형태에서 라이프니츠 표기법을 이용하여 변수를 치환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math(\displaystyle t = \sin{\theta} )]

라 놓으면

[math(\displaystyle {\rm d}\theta=\frac{{\rm d}t}{\cos{\theta}}=\frac{{\rm d}t}{\sqrt{1-t^{2} }})]

가 되고, 적분 영역은

[math(\displaystyle 0 \leq \theta \leq \phi \,\to\, 0 \leq t \leq x )]

로 바뀐다. 여기서 [math(x = \sin{\phi})]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야코비 형태로 바꿀 수 있다.

2.2.1. 제1종 타원 적분

야코비 형태의 불완전 제1종 타원 적분은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F(x,\,k) = \int_{0}^{x} \frac{1}{\sqrt{1-t^{2}}\sqrt{1-k^{2}t^{2} }}\,{\rm d}t \qquad (0 \leq k \leq 1) )]

완전한 경우에 대해선, [math(x=1)]인 경우이므로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math(\displaystyle K(k) = \int_{0}^{1} \frac{1}{\sqrt{1-t^{2}}\sqrt{1-k^{2}t^{2}} }\,{\rm d}t \qquad (0 \leq k \leq 1) )]

참고로, 완전 제1종 타원 적분은 멱급수로 전개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K(k) &=\frac{\pi}{2} \left[1+ \sum_{n=1}^{\infty }\left [ \frac{(2n-1)!!}{(2n)!!} \right ]^{2}{k^{2n}} \right]\\& =\frac{\pi}{2} \sum_{n=0}^{\infty }\left [ \frac{(2n)!}{2^{2n}\left(n!\right)^{2}} \right ]^{2}k^{2n} \end{aligned})]

2.2.2. 제2종 타원 적분

야코비 형태의 불완전 제2종 타원 적분은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E(x,\,k) = \int_{0}^{x} \frac{\sqrt{1-k^{2}t^{2} }}{\sqrt{1-t^{2} }}\,{\rm d}t \qquad (0 \leq k \leq 1) )]

완전한 경우에 대해선, [math(x=1)]인 경우이므로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math(\displaystyle E(k) = \int_{0}^{1} \frac{\sqrt{1-k^{2}t^{2} }}{\sqrt{1-t^{2} }}\,{\rm d}t \qquad (0 \leq k \leq 1) )]

완전 제1종 타원 적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완전 제2종 타원 적분도 멱급수로 전개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E(k) =\frac{\pi}{2} \left[1- \sum_{n=1}^{\infty }\left [ \frac{(2n-1)!!}{(2n)!!} \right ]^{2} \frac{k^{2n}}{2n-1} \right] )]

2.3. 초기하함수를 통한 정의

완전 제1종⋅제2종 타원 적분은 다음과 같이 초기하함수를 사용해 나타낼 수 있다.
[math(\begin{aligned}
K(k) &= \dfrac\pi2 \,{}_2F_1 \biggl( \dfrac12, \dfrac12; 1; k^2 \biggr) \\
E(k) &= \dfrac\pi2 \,{}_2F_1 \biggl( -\dfrac12, \dfrac12; 1; k^2 \biggr)
\end{aligned} )]
[유도 과정]
-------
완전 제1종 타원 적분만 증명한다. 증명 과정에서 이항급수, 이항계수 하강 계승의 성질이 사용된다. 중간에 있는 [math(\sin^{2n}\theta)]에 대한 적분은 삼각함수/역도함수 문서의 정적분 문단을 참고하라. 제2종도 비슷한 방법으로 유도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K(k) &= \int_0^{\pi/2} \frac1{\sqrt{1-k^2 \sin^2\theta}} \,{\rm d}\theta \qquad (0\le k\le1) \\
&= \int_0^{\pi/2} (1-k^2 \sin^2\theta)^{-1/2} \,{\rm d}\theta \\
&= \int_0^{\pi/2} \sum_{n=0}^\infty \binom{-1/2}n (-k^2 \sin^2\theta)^n \,{\rm d}\theta \\
&= \int_0^{\pi/2} \sum_{n=0}^\infty \frac{(-1/2)^{\underline n}}{n!} (-k^2 \sin^2\theta)^n \,{\rm d}\theta \\
&= \int_0^{\pi/2} \sum_{n=0}^\infty \frac{(-1)^n (1/2)^{\overline n}}{n!} (-1)^n k^{2n} \sin^{2n}\theta \,{\rm d}\theta \\
&= \sum_{n=0}^\infty \frac{(1/2)^{\overline n}}{n!} k^{2n} \int_0^{\pi/2} \sin^{2n}\theta \,{\rm d}\theta \\
&= \sum_{n=0}^\infty \frac{(1/2)^{\overline n}}{n!} k^{2n} \cdot \frac\pi2 \frac{(1/2)^{\overline n}}{n!} \\
&= \frac\pi2 \sum_{n=0}^\infty \frac{(1/2)^{\overline n} \cdot (1/2)^{\overline n}}{n!} \frac{(k^2)^n}{n!} \\
&= \frac\pi2 \sum_{n=0}^\infty \frac{(1/2)^{\overline n} \cdot (1/2)^{\overline n}}{1^{\overline n}} \frac{(k^2)^n}{n!} \\
&= \frac\pi2 \,{}_2F_1 \biggl( \frac12, \dfrac12; 1; k^2 \biggr)
\end{aligned} )]

2.4. 그래프

2.4.1. 불완전 타원 적분

아래는 [math(k^{2}=0.9)]일 때, [math(F(\phi,\,k))]와 [math(E(\phi,\,k))]의 그래프를 [math([0,\,2\pi])] 영역에서 나타낸 것이다.

파일:namu_불완전타원적분_그래프_NEW.png

2.4.2. 완전 타원 적분

아래는 [math(\displaystyle K(k))]와 [math(\displaystyle E(k))]의 그래프를 [math(\displaystyle 0 \leq k \leq 1)]의 영역에서 나타낸 것이다.

파일:나무_타원적분_NEW.png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2.4.3. 완전 타원 적분의 극한값

2.5. 관련 공식


각 타원 적분의 르장드르 형태를 대입한 후 [math(k\sin\theta = \sin\phi)]로 치환하면 된다. 이 경우 [math({\rm d}k = \dfrac{\cos\phi}{\sin\theta} \,{\rm d}\phi)]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1 K(k) \,{\rm d}k &= \int_0^1 \int_0^{\pi/2} \frac1{\sqrt{1-k^2\sin^2\theta}} \,{\rm d}\theta \,{\rm d}k \\
&= \int_0^{\pi/2} \int_0^1 \frac1{\sqrt{1-k^2\sin^2\theta}} \,{\rm d}k \,{\rm d}\theta \\
&= \int_0^{\pi/2} \int_0^\theta \frac1{\cos\phi} \cdot \frac{\cos\phi}{\sin\theta} \,{\rm d}\phi \,{\rm d}\theta \\
&= \int_0^{\pi/2} \frac1{\sin\theta} \int_0^\theta {\rm d}\phi \,{\rm d}\theta \\
&= \int_0^{\pi/2} \frac\theta{\sin\theta} \,{\rm d}\theta \\
&= 2G \qquad \blacksquare
\end{aligned} )]

[math(\displaystyle \int_0^{\pi/2} \frac\theta{\sin\theta} \,{\rm d}\theta = 2G)]인 이유는 카탈랑 상수 문서의 항등식 문단에 증명되어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1 E(k) \,{\rm d}k &= \int_0^1 \int_0^{\pi/2} \sqrt{1-k^2\sin^2\theta} \,{\rm d}\theta \,{\rm d}k \\
&= \int_0^{\pi/2} \int_0^1 \sqrt{1-k^2\sin^2\theta} \,{\rm d}k \,{\rm d}\theta \\
&= \int_0^{\pi/2} \int_0^\theta \cos\phi \cdot \frac{\cos\phi}{\sin\theta} \,{\rm d}\phi \,{\rm d}\theta \\
&= \int_0^{\pi/2} \int_0^\theta \frac{1+\cos2\phi}{2\sin\theta} \,{\rm d}\phi \,{\rm d}\theta \\
&= \int_0^{\pi/2} \frac1{2\sin\theta} \biggl[ \phi +\frac12 \sin2\phi \biggr]_{\phi\to0}^{\phi\to\theta} \,{\rm d}\theta \\
&= \int_0^{\pi/2} \frac1{2\sin\theta} \biggl( \theta +\frac12 \sin2\theta \biggr) {\rm d}\theta \\
&= \int_0^{\pi/2} \frac{\theta +\sin\theta \cos\theta}{2\sin\theta} \,{\rm d}\theta \\
&= \frac12 \int_0^{\pi/2} \frac\theta{\sin\theta} \,{\rm d}\theta +\frac12 \int_0^{\pi/2} \cos\theta \,{\rm d}\theta \\
&= \frac12 \cdot 2G +\frac12 \cdot 1 \\
&= G +\frac12 \qquad \blacksquare
\end{aligned} )]

}}}||

3. 야코비 타원 함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코비 타원 함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math( \displaystyle \frac{\sqrt{a^2 b^2 + 1}}{b} \, E \biggl( \sqrt{1 - \frac{1}{a^2 b^2 + 1}} \biggr) )] }}}
이다. 코사인 곡선 또한 사인 곡선의 평행 이동이므로 [math(1/4)]주기의 코사인 곡선의 길이 또한 같다.

5. 관련 문서


[1] 다른 경우로는 지수 적분 함수, 로그 적분 함수, 삼각 적분 함수, 쌍곡선 적분 함수, 프레넬 적분 함수, 오차함수 등이 있다. [2] 즉, 미소 진동이 아닌 일반적 진동 상황을 고려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