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4 16:15:30

북구 을(광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북구(광주광역시)/정치
,
,
,
,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남 갑 동·남 을 서 갑 서 을
정진욱 안도걸 조인철 양부남
북 갑 북 을 광산 갑 광산 을
정준호 전진숙 박균택 민형배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2 북구 을}}} (광주)
용봉동, 운암동, 동림동, 삼각동 등
北區 乙
Buk B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북구 을(광주).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202,572명 (2024)
상위 행정구역 광주광역시
관할구역
[ 펼치기 · 접기 ]
[[북구(광주광역시)|{{{#373a3c,#ddd 북구}}}]] 일부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신용동
신설년도 1992년
국회의원
전진숙

[clearfix]

1. 개요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에 신설된 선거구이다. 1992년 임동, 용봉동, 동운1동[1], 동운2동, 서산동[2],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3]이 분구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때 인구 과밀로 상대적으로 낙후된 임동과 오치1동, 오치2동이 북구 갑으로 이동했다.

북구 갑 지역에 비해 신규 주거 단지가 많고 전남대학교가 있어 민주당계 정당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다. 정확히는 을 지역구가 보수 정당 득표가 조금 더 높은 정도. 하지만 진보 정당의 영향력은 북구의회에 겨우 의석을 배출할 정도로 약하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다.

2. 광주광역시 북구 을의 저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광주광역시 북구 을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은 마지막 임기 종료 후 4년 이내에 사망했다는 좋지 않은 징크스가 있었다. 이런 현상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된 최경환 전 의원이 깨며 사실상 사라지게 되었다.

2.1. 사례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14대 이길재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16대 김태홍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18대 김재균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임내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최경환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 이형석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22대 전진숙
2024년 5월 30일 ~ 현재

3.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신안동, 용봉동,
동운1동, 동운2동, 서산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차상록(車相錄) 6,556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7.90% 낙선
2 이길재(李吉載) 71,022 1위


85.67% 당선
3 조영전(曺永詮) 2,619 4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3.15% 낙선
4 김철희(金哲熙) 2,70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25% 낙선
선거인 수 122,945 투표율
68.06%
투표 수 83,673
무효표 수 774

3.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신안동, 용봉동, 동운1동,
동운2동, 동운3동, 서산동, 오치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고귀남(高貴男) 6,129 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6.21% 낙선
2 이길재(李吉載) 88,310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89.53% 당선
3 유인상(柳寅相) 3,449 3위


3.49% 낙선
4 김천국(金天國) 739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0.74% 낙선
선거인 수 154,501 투표율
64.60%
투표 수 99,809
무효표 수 1,182

3.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서산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경구(姜景求) 2,108 3위

2.54% 낙선
2 김태홍(金泰弘) 73,483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88.49% 당선
3 김천국(金天國) 1,198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44% 낙선
4 손민영(孫敏榮) 6,24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52% 낙선
선거인 수 166,128 투표율
50.39%
투표수 83,705
무효표수 668

3.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최경주(崔京柱) 35,446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47% 낙선
3 김태홍(金泰弘) 57,317 1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55.71% 당선
4 김천국(金天國) 647 6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0.63% 낙선
5 최익주(崔翊柱) 226 7위

파일:구국총연합.png
0.73% 낙선
6 안영돈(安泳敦) 7,299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7.09% 낙선
7 손민영(孫敏榮) 1,164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3% 낙선
8 이인호(李仁鎬) 772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75% 낙선
9 지대섭(池大燮)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선거인 수 176,357 투표율
59.08%
투표 수 104,318
무효표 수 1,292

3.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재균(金載均) 62,567 1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79.23% 당선
2 김천국(金天國) 5,462 3위


6.92% 낙선
4 김현정(金賢貞) 9,643 2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21% 낙선
6 양길문(楊吉文) 1,295 4위


[[평화통일가정당|
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1.67% 낙선
선거인 수 205,050 투표율
38.87%
투표 수 79,707
무효표 수 740

3.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임내현(林來玄) 66,779 1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61.02% 당선
4 윤민호(尹敏皓) 20,200 3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18.45% 낙선
6 안영돈(安泳敦) 2,139 4위


[[진보신당|
파일:진보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5% 낙선
7 김재균(金載均) 20,31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56% 낙선
선거인 수 211,323 투표율
52.30%
투표 수 110,530
무효표 수 1,100

3.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인호(李仁鎬) 2,833 4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28% 낙선
2 이형석(李炯錫) 44,138 2위

35.55% 낙선
3 최경환(崔敬煥) 68,641 1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55.29% 당선
5 윤민호(尹敏皓) 4,957 3위


[[민중연합당|
파일:민중연합당 글자.svg
]]
3.99% 낙선
6 노남수(盧男洙) 2,551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5% 낙선
7 이영수(李永洙) 1,017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81% 낙선
선거인 수 198,674 투표율
62.94%
투표 수 125,036
무효표 수 899

3.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형석(李炯錫) 108,229 1위

78.82% 당선
3 최경환(崔敬煥) 15,281 2위


11.12% 낙선
6 황순영(黄淳英) 4,086 4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2.97% 낙선
7 윤민호(尹敏皓) 4,514 3위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3.28% 낙선
8 이재욱(李宰旭) 692 7위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0.50% 낙선
9 강휘중(姜煇中) 1,282 6위


0.93% 낙선
10 노남수(盧男洙) 2,691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5% 낙선
11 김원갑(金源甲) 522 8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38% 낙선
선거인 수 208,908 투표율
66.55%
투표 수 139,020
무효표 수 1,723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 21대 총선 광주 북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민생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이형석 최경환
득표수
(득표율)
108,229
(78.82%)
15,281
(11.12%)
+92,948
(△67.70)
139,020
(66.54%)
용봉동 78.01% 11.53% △66.48 59.50%
운암1동 76.93% 14.39% △62.54 70.28%
운암2동 79.10% 12.19% △66.91 62.77%
운암3동 76.28% 14.64% △61.63 66.76%
동림동 81.35% 9.79% △71.56 63.24%
삼각동 77.60% 10.72% △66.88 63.65%
일곡동 76.65% 10.69% △65.96 65.50%
매곡동 79.35% 10.63% △68.73 70.86%
건국동 80.78% 10.16% △70.62 59.27%
양산동 79.09% 11.21% △67.88 60.39%
후보 이형석 최경환 격차
거소·선상투표 68.31% 14.80% △53.51
관외사전투표 79.81% 9.58% △70.23
재외투표 84.46% 5.82% △78.64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형석 후보가 전진숙 후보와의 경선에서 승리하여 공천을 받았다.

민생당에서는 현역 최경환 전 의원이 재선에 도전한다.

정의당에서는 황순영 광주시당 여성위원장이 출마했다.

민중당에서는 윤민호 광주시당 위원장이 북구 을에 3번째 출마를 하였다.

미래통합당에서 김무성 전 의원을 공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김무성 전 의원의 부친인 김용주가 회장이었던 전남방직이 이 지역구에 위치해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호남에 상징적인 인물을 배치해야 한다는 전략적인 이유도 있었다. 하지만 황교안 전 대표가 직접 요청하면 응할 생각이었던 상황에서 황교안 전 대표가 요청을 따로 하지 않음으로서 무산되었다.

결과는 이형석 후보가 108,229표를 얻어 92,948표차로 최경환 후보를 꺾고 당선됐는데, 이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최다 득표수와 최다 득표차 당선이다.

그리고 윤민호는 이번에도 낙선하면서 총전적 5전 5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게다가 본인이 소속된 민중당마저도 울산광역시 동구에서 김종훈이 낙선하여 원외 정당으로 전락하면서 정치적으로 앞날이 어둡게 되었다.

3.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신용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전진숙(田珍淑) 99,993 1위

72.11% 당선
2 양종아(梁種兒) 9,877 3위


7.12% 낙선
6 박병석(朴丙石) 4,674 4위

3.37% 낙선
7 김원갑(金原甲) 1,444 5위

1.04% 낙선
8 윤민호(尹敏皓) 22,664 2위


16.34% 낙선
선거인 수 202,572 투표율
69.22%
투표 수 140,230
무효표 수 1,578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152484><bgcolor=#152484> 22대 총선 광주 북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전진숙 윤민호
득표수
(득표율)
99,993
(72.11%)
22,664
(16.34%)
+77,329
(△55.77)
140,230
(69.22%)
용봉동 71.25% 15.03% △56.22 59.96%
운암1동 72.40% 13.51% △58.89 72.05%
운암2동 76.54% 12.13% △64.41 64.81%
운암3동 72.07% 15.95% △56.12 68.81%
동림동 74.50% 14.38% △60.12 65.14%
삼각동 68.45% 20.72% △47.73 64.64%
일곡동 66.33% 23.53% △42.80 68.29%
매곡동 68.91% 21.92% △46.99 71.57%
건국동 72.60% 16.82% △55.78 63.98%
양산동 71.24% 18.25% △52.99 62.66%
후보 전진숙 윤민호 격차
거소·선상투표 69.18% 6.39% △62.79
관외사전투표 76.43% 11.21% △65.22
재외투표 81.90% 4.02% △77.88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북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전진숙 윤민호 격차
전체 67.5% 20.3% 47.2%p
현역 이형석 전 의원이 전진숙 전 광주광역시의원에게 패해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전진숙 전 시의원이 후보자로 나서게 되었다.

국민의힘에서는 광주MBC 아나운서 출신의 양종아가 전략 공천되었다.

이에 호남에서는 보기 드문 여성 후보 간 대결이 성사되었다. 선거 결과는 전진숙 전 시의원의 완승으로 끝났으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광역시 당선인 중에 유일한 여성 당선인이 됐다.

[1] 1993년 동운3동이 분리되었고, 이후 동운1동, 2동, 3동이 운암동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운암3동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동림동이 떨어져 나갔다. [2] 1994년에 오치동, 1997년에 매곡동이 떨어져 나간 이후, 2003년에 삼각동과 일곡동으로 분리되면서 서산동이란 이름은 사라졌다. [3] 1998년에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이 합쳐져 건국동이 된 다음, 2013년에 양산동, 2021년에 신용동이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