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03:21:11

남구(부산광역시)

부산 남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5007F>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청|
시청
]] 연제구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svg
기장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429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4290>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555555,#aaaaaa
감만동 문현동
용당동 용호동 우암동
}}}}}}}}}}}}}}} ||
부산광역시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南區
Nam-gu
}}}
<colbgcolor=#004290><colcolor=#fff> 구청 소재지 못골로 19 (대연동)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7[1]
면적 26.82㎢[2]
인구 255,096명[3]
인구밀도 9,511.40명/㎢[4]
구청장
오은택 (초선)
구의회
7석[5]

6석[6]
시의원
4석[7]

박수영 (재선)
상징 <colbgcolor=#004290><colcolor=#fff> 구화 목련
구목 은행나무
구조 비둘기
지역번호 05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6. 종교시설
6.1. 가톨릭6.2. 개신교
7. 인근 편의 시설8. 교통
8.1. 관내 철도 목록8.2. 항구, 어항
9. 상권
9.1. 금융
10. 문화/명소11. 교육12. 의료기관13. 정치14. 하위 행정구역15. 여담16. 자매 결연17.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남동부에 위치한 자치구.

부산 전체로 봤을 때 남부에 있긴 하지만, 이상하게도 중구 서구보다 북쪽에, 동구보다 동쪽에 있고 영도구, 사하구, 강서구(부산) 등 한참 남쪽인 곳이 꽤 있다. 그렇다 보니 서울의 강남과 비슷한 남부산권이라는 개념은 없고 남구는 수영구, 해운대구와 함께 동부산권[8]으로 보는 괴이한 상황이 생기고 있다. 이는 구한말 부산항 개항 이후 상징적으로 부산항을 비롯한 중구를 부산의 중심으로 행정구역을 동구, 서구 등으로 칭한 것.[9]

구의 상징물은 목련(Magnolia Kobus DC.), 은행나무(Ginkgo biloba Linne), 비둘기(Columba rupestris pallas)이다. 비둘기는 문현로에 곡물사료공장( 한탑)이 있다 보니 정말 많이 서식한다.

1996년 3월 12일 중국 허베이 성 친황다오(秦皇島)시와 우호친선교류협정을 체결했고, 2006년 3월 29일 전라남도 함평군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2. 상징

파일:attachment/htm_2008031301454130003700-001.jpg
부산광역시 남구청
파일:남구(부산광역시) 희망이 & 밝음이.svg
마스코트 희망이 & 밝음이
파일:pkJ_vy-Y.jpg
SNS 전용 마스코트 피피 & 망고

3. 역사

1975년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문현동, 범천제3동, 동래구 수영출장소, 동구 범일3동 일부를 합쳐서 신설되었으며, 1995년 3월 1일 수영구를 남구에서 분리시켰다.

수영구를 분리하기 전의 남구청사는 현재의 수영구 남천동[10]에 있었기 때문에 분리 후 수영구청사가 되었다. 그야말로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뽑은 것[11]'인데, 그 후로 남구청은 12년 6개월 동안 제대로 된 청사 없이 지내야 했다. 남구청은 1995년부터 4년 7개월간 경성대·부경대역 근처의 센추리빌딩 오피스텔의 7~11층을 임대해서 청사로 사용했고, 1999년부터 7년 11개월간은 현재의 청사 부지에 가건물을 지어 청사로 사용했다. # #

2005년 6월 17일 못골역[12] 근처 대연6동에 있는 16 034㎡의 부지[13]에 신청사 공사를 시작하여 연면적 22,097㎡(6,684평),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로 지어졌다. 2007년 9월 1일부터는 신청사에서 업무를 보기 시작했으며, 준공식은 조경공사가 끝난 2008년 3월 20일 열렸다.

신청사는 '심플하고 다이나믹한 건물 외관에 현대적 재료 마감과 실내·외 투명 유리벽면, 누드 엘리베이터, 각층마다 다른 화장실 마감 등 기존의 딱딱하고 권위적인 관공서의 이미지를 탈피했다'라는 평가를 받으며 2007년 부산광역시가 주최하는 <부산다운 건축상> 우수디자인 부문 금상과 공공기여건축물 부문 은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커튼 월(속칭 유리궁전) 방식으로 지어졌기 때문에 냉난방 효율이 나쁘다는 것이 단점이다. 2010년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지자체 신축청사 에너지 효율 조사' 결과 동구청과 함께 최하 등급인 '등외' 판정을 받았다. 남구청은 냉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청사 2층 로비에 5천만원을 들여 공기의 흐름을 막는 차단막을 설치하기로 했다고 한다.

또한 신청사를 지을 때 89억 원의 지방채를 발행하며 400억 6,000만원에 이르는 예산을 들여 지었기 때문에 호화청사 논란을 빚었다. 돈이 많아서 호화청사를 지은 것도 아니고, 남구청은 재정상태가 별로 좋지 않다. 89억원의 지방채는 2005년부터 10년간 이자를 포함해 연간 9억여원씩 갚아나가고 있다고 한다. 남구의 재정자립도는 2006년 26.7%에서 2008년 22.6%, 2010년 18.2%[14]로 줄었다.

2010년 1월 남구청이 환경미화원 퇴직금과 직원 연가보상금 등 인건비를 지급할 돈이 없어서 시중은행에서 20억원을 대출받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직원 인건비 줄 돈이 없어서 기초자치단체가 빚을 낸 것은 1995년 지방자치가 시작된 이래 남구청이 전국 최초이며, 또한 기초자치단체가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공관리기금을 통해 지방채를 발행하는 대신 시중은행을 통해서 대출받는 것도 초유의 사태였다. 2010년 2월 4일 감사원에서 착수한 호화청사 감사의 24개 감사대상 지방자치단체 중에도 부산 남구청이 포함되어 있었다.

2012년 1월 2일 보도에 따르면 은행에서 빌린 대출금 20억원을 다 갚았고 2009년 말 119억원이던 채무도 69억원으로 줄였다고 한다. 재정자립도도 2010년 18.2%에서 2011년 23.6%로 상승했고, 2012년에는 다시 1.92%p 상승하는 등, 부산 내 상위권에 진입하였다.

4. 인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부산광역시 남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동구 범일제3동 일부 + 부산진구 범천제3동, 문현동, 대연출장소[15] + 동래구 수영출장소[16]남구 분리 승격
1975년 352,447명
1980년 467,638명
1985년 528,012명
1990년 547,630명
1995년 3월 1일 남구 일부지역[17] 수영구 승격 분리
1995년 320,745명
2000년 311,863명
2005년 302,257명
2010년 298,458명
2015년 283,101명
2020년 267,731명
2024년 10월 255,09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호제1동 42,917명
대연제3동 33,021명
용호제2동 19,526명
대연제5동 16,643명
문현제3동 16,416명
대연제1동 15,384명
대연제6동 14,778명
대연제4동 13,211명
우암동 12,314명
용호제3동 11,330명
문현제1동 11,055명
문현제4동 8,901명
감만제1동 8,892명
문현제2동 7,895명
용당동 7,883명
용호제4동 7,768명
감만제2동 6,535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법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연동 93,636명
용호동 81,347명
문현동 44,199명
감만동 15,093명
우암동 12,250명
용당동 7,823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그래프 최대 값은 9.5만 명
}}}}}}}}} ||

부산 남구는 계속해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2010년대까지의 감소와 2020년대 인구 감소는 상황이 좀 다른데, 2010년대까지 남구의 인구 감소는 부산 전체가 감소하는 영향을 받았지만 2020년대의 인구 감소는 남구 전역에 대규모 재개발, 재건축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지면서 감소하는 것이다. 이 부산 남구 일대 재개발, 재건축의 입주 연도는 대부분 2026년부터 2032년까지 몰려 있어서 재개발이 어느정도 마무리 되는 2030년부터는 다시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행정동별 인구 #===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대연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대연동(법정동) → 대연동(행정동)
1966년 21,296명
1970년 7월 1일 대연동 → 대연제1동, 대연제2동 분동
1970년 46,164명(대연제1동 24,141명 +대연제2동 22,023명)
1975년 10월 1일
대연제1동대연제1동, 대연제3동 분동
대연제2동 → 대연제2동, 대연제4동 분동
1975년 46,100명(대연제1동 22,540명 +대연제2동 23,560명)
1979년 8월 8일
대연제1동대연제1동, 대연제5동 분동
대연제2동 → 대연제2동, 대연제6동 분동
1980년 25,619명(대연제1동 11,021명 +대연제2동 14,598명)
1985년 26,389명(대연제1동 11,713명 +대연제2동 14,676명)
1990년 26,146명(대연제1동 12,077명 +대연제2동 14,069명)
1995년 23,994명(대연제1동 11,857명 +대연제2동 12,137명)
2000년 21,844명(대연제1동 11,947명 +대연제2동 9,897명)
2005년 22,965명(대연제1동 14,768명 +대연제2동 8,197명)
2010년 21,920명(대연제1동 14,358명 +대연제2동 7,562명)
2013년 7월 1일 대연제1동 + 대연제2동 → 대연제1동 합동
2015년 21,462명
2020년 15,988명
2023년 8월 15,6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대연제3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대연제1동 → 대연제1동, 대연제3동 분동
1975년 15,832명
1980년 19,783명
1985년 23,833명
1990년 24,500명
1995년 23,692명
2000년 26,563명
2005년 30,552명
2010년 28,034명
2015년 35,151명
2020년 33,062명
2023년 8월 33,2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대연제4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대연제2동 → 대연제2동, 대연제4동 분동
1975년 18,531명
1980년 22,585명
1985년 22,449명
1990년 23,235명
1995년 19,013명
2000년 17,992명
2005년 15,509명
2010년 14,555명
2015년 11,176명
2020년 12,602명
2023년 8월 11,8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대연제5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8월 8일 대연제1동 → 대연제1동, 대연제5동 분동
1980년 16,081명
1985년 17,228명
1990년 16,425명
1995년 15,862명
2000년 13,320명
2005년 15,198명
2010년 15,737명
2015년 14,809명
2020년 16,877명
2023년 8월 16,7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대연제6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8월 8일 대연제2동 → 대연제2동, 대연제6동 분동
1980년 12,576명
1985년 16,283명
1990년 17,449명
1995년 15,323명
2000년 12,679명
2005년 11,606명
2010년 12,280명
2015년 8,319명
2020년 15,608명
2023년 8월 14,8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용호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용호동(법정동) → 용호동(행정동)
1966년 4,331명
1970년 7,815명
1975년 1월 1일 용호동 → 용호제1동, 용호제2동 분동
1975년 13,582명
1980년 31,483명
1982년 9월 1일 용호제1동용호제1동, 용호제3동 분동
1985년 23,282명
1990년 23,977명
1995년 21,678명
2000년 22,225명
2005년 41,718명
2010년 46,947명
2015년 44,440명
2020년 45,020명
2023년 8월 43,00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용호제2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월 1일 용호동 → 용호제1동, 용호제2동 분동
1975년 17,511명
1980년 27,172명
1983년 10월 1일 용호제2동용호제2동, 용호제4동 분동
1985년 21,437명
1990년 19,686명
1995년 18,603명
2000년 16,948명
2005년 12,507명
2010년 19,908명
2015년 20,569명
2020년 17,319명
2023년 8월 19,4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용호제3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용호제1동 → 용호제1동, 용호제3동 분동
1985년 16,283명
1990년 19,370명
1995년 22,861명
2000년 19,804명
2005년 16,942명
2010년 15,923명
2015년 14,171명
2020년 12,595명
2023년 8월 11,4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용호제4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용호제2동 → 용호제2동, 용호제4동 분동
1985년 9,090명
1990년 12,629명
1995년 11,604명
2000년 11,613명
2005년 9,838명
2010년 8,541명
2015년 9,822명
2020년 8,752명
2023년 8월 7,8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용당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용당동(법정동) → 용당동(행정동)
1966년 3,225명
1970년 6,883명
1975년 10,998명
1980년 9,500명
1985년 9,752명
1990년 9,942명
1995년 8,726명
2000년 7,552명
2005년 9,410명
2010년 10,044명
2015년 9,414명
2020년 8,158명
2023년 8월 7,9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감만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300명
1970년 20,664명
1975년 28,392명
1979년 1월 1일 감만동 → 감만제1동, 감만제2동 분동
1980년 22,716명
1985년 24,735명
1990년 26,127명
1995년 22,792명
2000년 22,485명
2005년 19,446명
2010년 18,660명
2015년 16,461명
2020년 13,850명
2023년 8월 9,39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감만제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1월 1일 감만동 → 감만제1동, 감만제2동 분동
1980년 11,629명
1985년 12,407명
1990년 13,042명
1995년 11,304명
2000년 11,299명
2005년 10,212명
2010년 8,476명
2015년 7,835명
2020년 7,037명
2023년 8월 6,5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우암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1966년 20,902명
1970년 27,051명
1975년 30,525명
1976년 11월 27일 우암동 → 우암제1동, 우암제2동 분동
1980년 28,827명 (우암제1동 11,716명 + 우암제2동 17,111명)
1985년 27,438명 (우암제1동 11,488명 + 우암제2동 15,950명)
1990년 28,883명 (우암제1동 14,813명 + 우암제2동 14,070명)
1995년 29,177명 (우암제1동 16,936명 + 우암제2동 12,241명)
2000년 26,566명 (우암제1동 17,623명 + 우암제2동 8,943명)
2005년 23,311명 (우암제1동 16,162명 + 우암제2동 7,149명)
2010년 21,495명 (우암제1동 15,224명 + 우암제2동 6,271명)
2013년 7월 1일 우암제1동 + 우암제2동 → 우암동 합동
2015년 18,751명
2020년 13,273명
2023년 8월 12,4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문현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문현동 → 문현제1동, 문현제2동 분동
1966년 16,679명
1970년 26,381명
1975년 10월 1일 문현제1동문현제1동, 문현제3동 분동
1975년 20,512명
1980년 20,665명
1985년 22,790명
1990년 23,610명
1995년 20,583명
2000년 20,951명
2005년 17,277명
2010년 17,821명
2015년 16,347명
2020년 14,053명
2023년 8월 11,1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문현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6,685명(문현제2동 16,799명 + 범천제3동 9,886명)
1970년 28,396명(문현제2동 19,369명 + 범천제3동 9,027명)
1975년 27,729명(문현제2동 18,195명 + 범천제3동 9,534명)
1980년 28,396명(문현제2동 17,239명 + 범천제3동 11,157명)
1982년 5월 1일 범천제3동 → 문현제5동 개칭
1985년 24,798명(문현제2동 14,807명 + 문현제5동 9,991명)
1990년 20,760명(문현제2동 12,746명 + 문현제5동 8,014명)
1995년 16,345명(문현제2동 10,300명 + 문현제5동 6,045명)
1999년 1월 1일 문현제2동 + 문현제5동 → 문현제2동 합동
2000년 11,360명
2005년 9,794명
2010년 9,781명
2015년 8,589명
2020년 8,835명
2023년 8월 7,9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문현제3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문현제1동 → 문현제1동, 문현제3동 분동
1975년 14,487명
1980년 19,677명
1982년 5월 1일 문현제3동 수영로 이남 지역 + 범일제3동 → 문현제4동 개편
1985년 23,299명
1990년 24,395명
1995년 22,446명
2000년 20,497명
2005년 14,957명
2010년 15,421명
2015년 14,368명
2020년 15,912명
2023년 8월 16,49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문현제4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동구 범일제3동 → 남구 신설로 편입
1975년 13,252명(범일제3동)
1980년 6,692명(범일제3동)
1982년 5월 1일 문현제3동 中 수영로 이남 지역 + 범일제3동 → 문현제4동 개편
1985년 8,497명
1990년 9,049명
1995년 7,775명
2000년 6,049명
2005년 12,792명
2010년 12,908명
2015년 11,417명
2020년 8,791명
2023년 8월 8,9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5. 지역 특징

바다를 향해 남쪽으로 튀어나온 반도 형상을 하고 있다. 구의 북쪽에는 황령산이 있으며 황령산 너머로 연제구와 접한다. 서북쪽으로는 동천을 경계로 동구 부산진구와 접하며 동북쪽으로는 수영구에 접한다. 서남쪽, 남쪽과 동쪽은 해안이다. 남서쪽은 부산항대교 건너면 영도구에 접하고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부산항이 있는 부산만이 있고 남쪽 해안에는 신선대가 있으며 동쪽 해안을 따라 이기대가 있다. 이기대 남쪽에는 남구의 명물인 오륙도가 있고 오륙도와 승두말을 잇는 가상의 선은 남해 동해를 나누는 기준선[18]이다.

그 외에 우룡산 등 작은 산지가 구 곳곳에 드문드문 있다. 용호, 용당, 대연 등 못과 관계된 지명이 많은 걸로 보아 예전에는 호수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대연4동의 석포 일대는 현재는 내륙지역이지만 예전에는 부산박물관 근처까지 바다였다고 한다. 내륙인 대연4동 지역에 石浦(석포)라는 지명이 남아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남구는 용호동, 대연동, 문현동 일대와 우암동, 용당동, 감만동 쪽의 발전의 정도나 개발의 진행이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며, 과거에는 대연3동, 현재는 용호1동의 개발 수준이 가장 높다. 위 네 동네에 비해 우암동, 용당동은 주로 오래되거나 낙후된 주거지, 또는 부두나 공장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용당동 같은 경우는 인구가 1만명도 되지 않으며, 특히 우암동의 경우 동네 대부분이 개발이 덜 되었는데 아파트단지 몇 곳을 빼면 대부분 공장, 부두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2017년 들어서 우암동 재개발과 감만동에 뉴스테이[19] 아파트 단지가 추진 중이다. 특히 감만동에는 10,000세대가 넘는 뉴스테이 단지가 예정되어 있으며, 우암동에도 우암1구역과 2구역을 합해서 5,600세대 가량의 뉴스테이가 예정되어 있어서 점점 발전하고 있다. 2020년대에 들어선 후 재개발이 폭발적으로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구역이 지정된 곳도 많기에 향후 몇 년 간 낙후되었던 도심이 많이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일:SE-eadf6115-759a-45d7-91a9-e14f1471a4dc.png
남구는 부산광역시 전체에서 가장 재개발, 재건축 사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부산광역시 전체 재개발, 재건축 정비사업 중 20%가 남구 한 지역에 몰려 있다. 특히 남구에는 2020년대에 한꺼번에 재개발, 재건축 사업이 몰렸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세권 우암선 우암역, 신선대역 역세권이 활발하게 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우암선은 여객철도가 없는 화물철도 전용 노선이지만, 부산광역시 북항재개발에 감만부두, 신선대부두 재개발이 있어서 그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6. 종교시설

6.1. 가톨릭

6.2. 개신교

7. 인근 편의 시설

8.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429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4290>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4290> 8 <colbgcolor=#ffffff,#191919> 8부두로
고동골로
남동천로
당산로 · 동명로 · 동제당로 · 동항로
못골로 · 못골번영로 · 무민사로 · 문현금융로 · 문현로
백운포로 · 북항로 · 분포로
석포로 · 솔밭로 · 수영로 · 신선대산복로 · 신선로
양지골로 · 오륙도로 · 용소로 · 용주로 · 용호로 · 우암로 · 우암번영로 · 우암양달로 · 유엔로 · 유엔평화로 · 이기대공원로
자성로 · 자유평화로 · 장고개로 · 전선등로 · 조각공원로 · 지게골로 · 진남로
천제등로
홍곡로 · 황령산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구를 관통하며 그 위를 지나가는 수영로와 함께 남구 교통의 중심축을 이룬다. 역명삽질로 유명한 경성대·부경대역 대연동에 있는데 이용객 숫자 자체는 2호선 역들 중에서도 손꼽히는 수준이다. 향후 경성대·부경대역에서부터 용소로 용호로를 따라서 6호선 경전철(트램)이 건설될 계획이다. 용호동 일대는 경성대·부경대역에서 용호동 오륙도 SK뷰까지 약 4km 구간을 무려 6개의 버스노선[20]이 정확히 같은 노선으로 운행하는데도 가축수송이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남구2번 버스 LG메트로시티 단지 안의 도로를 통과한뒤 용호동 가장 안쪽인 오륙도 SK뷰로 향한다.

구의 서남부에는 화물철도인 우암선이 있으며, 수영구 남천동과 인접하고 있다보니 광안리 지역으로도 금방 갈 수 있다. 또 대연동 용호동 일대에서 광안대교를 통해 해운대구 우동으로 짧은 시간에 직행할 수 있으며, 대연힐스테이트푸르지오 아파트 부근에 있다면 황령터널을 통해 전포동, 서면으로 갈 수 있다. 동서고가로를 이용해 사상이나 서부산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고, 부산항대교 를 통해 영도구 지역과도 연결된다.

남구의 주요 도로는 다른 구에 비해 정체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중부산과 동부산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가 남구를 통과하고 있는데 황령대로, 수영로, 용호로, 우암로, 신선로, 유엔로, 석포로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편이다. 특히 유엔교차로, 대연사거리, 용소삼거리, 대남교차로, 남부운전면허시험장교차로, 동명오거리, 도시가스교차로, 문현교차로는 정체가 발생하면 신호 두번 또는 세번 이상을 받아야 겨우 통과할 수 있다.

그 외에 용호동 LG메트로시티 바로 맞은편에 남부운전면허시험장이 있다. 대연3동의 부경대 바로 남쪽 부지에는 TBN부산교통방송국, 도로교통공단 부산광역시지부가 나란히 있다. 그 바로 옆에는 원래 부산광역시 차량등록사업소도 함께 있었으나 2005년 12월 강서구 명지동으로 옮겼고, 그 부지에 2011년 3월 3일 부산예술회관이 개관했다.

부산의 도시고속도로 번영로 구간을 이루는 터널이 개나 있다고 한다.[21]

해상 무역 교통망으로도 아직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항 내항에 해당하는 감만부두, 신선대부두,용호부두가 남구 소재이기 때문이다.

8.1. 관내 철도 목록

8.2. 항구, 어항

9. 상권

대연3동의 경성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형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번화가는 2개의 대학교를 끼고 있는 남구 최대의 번화가로 경대거리, 경대앞 등으로 부른다. 경대거리에는 구의 유일한 멀티플렉스 영화관인 CGV 대연이 있다. 전형적인 대학가 분위기로 식당과 술집, 카페, 서점 등의 점포가 있다. 경성대·부경대역의 3,5번 출입구로부터 용소로를 기준으로 부경대 정문까지는 서쪽 골목은 빌라촌, 동쪽 골목은 상권들이 들어차있다.

재래시장도 적지 않아서 못골골목시장, 감만시장, 대연시장, 용호시장, 우암골목시장, 남광시장, 용호골목시장 등이 있다.

문현동에는 국제금융센터가 있어 그 주변 사무실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상권도 존재한다. 사실 여기는 서면 상권의 말단이라고 볼 수도 있다.

9.1. 금융

부산 남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중앙은행
한국은행 (1)
국가기관
남부산우체국 (6)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한국수출입은행 (2)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중앙회) (3)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4)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2)
국민은행 (3)
지방은행
부산은행 (14)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남부산농협 (6) 부산우유농협 (1) 부경양돈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부산시수협 (1) 대형선망수협 (1)
새마을금고
문현새마을금고 (2) 문현3동새마을금고 (1) 문현4동새마을금고 (1) 대연중앙새마을금고 (1)
남부중앙새마을금고 (2) 우암동새마을금고 (2) 대연6동새마을금고 (1) 용주새마을금고 (2)
대연새마을금고 (3) 감만동새마을금고 (1) 용당동새마을금고 (2) 남부새마을금고 (2)
용호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부산시중앙신용협동조합 (3) 부산동부신용협동조합 (1)

10. 문화/명소

11. 교육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남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대남초등학교 대연초등학교 대천초등학교
동천초등학교 동항초등학교 문현초등학교
백운초등학교 분포초등학교 석포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성천초등학교 신연초등학교
연포초등학교 오륙도초등학교 용당초등학교
용문초등학교 용산초등학교 용소초등학교
용호초등학교 우암초등학교 운산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남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감만중학교 남천중학교 대연중학교 대천중학교 동항중학교
문현여자중학교 분포중학교 석포여자중학교 성동중학교 오륙도중학교
용문중학교 용호중학교 해연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남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대양고등학교 대연고등학교 동명공업고등학교 동천고등학교 문현여자고등학교
배정고등학교 배정미래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중앙고등학교 분포고등학교
성지고등학교 세연고등학교 예문여자고등학교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한얼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국립대인 국립부경대학교(대연3동의 대연캠퍼스와 용당동의 용당캠퍼스), 사립대인 경성대학교(대연3동), 동명대학교(용당동), 부산예술대학교(대연5동)가 위치해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도 우암동에 있었지만 2014년 2월 금정구 남산동으로 이전했다.

원래 남구에는 국립부산수산대학교와 국립부산공업대학교가 있었고[25] 이 두 대학이 1996년 통합되면서[26] 만들어진 것이 지금의 국립부경대학교다. 국립부산수산대학교는 지금의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가 되었고 국립부산공업대학교는 지금의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가 되었다.

학군 해운대구, 수영구, 동래구와 함께 부산에서 최고 수준이다. 참고로 남구에 있는 남부교육지원청은 동구, 부산진구도 함께 관할한다. 인접하고 있는 동구, 수영구, 부산진구, 해운대구 등의 고등학교 배정은 거리가 가깝다보니 남구나 수영구에 있는 학생이 해운대구의 학교로 가는 경우도 많고 해운대구나 수영구에 있는 학생이 남구로 오는 경우도 많다. 특히 고등학교 수가 적은 동구나 부산진구에서 남구의 고등학교로 오는 경우는 꽤나 흔하다.

관내 특수학교는 아래와 같다.

12. 의료기관

종합병원으로는 부산성모병원(375병상) 하나 뿐이다. 부산가톨릭의료원에서 운영하는 병원이기는 하나 대학병원은 아니다. 그래도 남구 유일의 종합병원으로 위상은 상당히 크다.

13.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구(부산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구(부산광역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여담

16. 자매 결연

17.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 6개 법정동, 17개 행정동 [2] 오세아니아의 소국인 투발루의 면적과 거의 같다. [3]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4] 2024년 10월 기준. [5] 남구 가선거구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서성부
남구 나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김철현
남구 다선거구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 이종현
남구 라선거구 (대연1동, 대연3동): 박창현
남구 마선거구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고선화, 박미순
남구 비례대표: 박경숙
[6] 남구 가선거구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박구슬
남구 나선거구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 허미향
남구 다선거구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백석민
남구 라선거구 (대연1동, 대연3동): 김근우
남구 마선거구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박찬
남구 비례대표: 이영경
[7] 남구 제1선거구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조상진 (초선)
남구 제2선거구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정태숙 (초선)
남구 제3선거구 (대연1동, 대연3동): 성현달 (초선)
남구 제4선거구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김광명 (재선)
[8] 동부산권과 서부산권을 나누는 기준은 현재 원도심 - 서면 기준으로 분류된다. [9] 다만 부산시민들도 중, 동, 서구는 구도심이였으니 대부분은 이해가 되지만 남구가 대체 왜 남구인지 이해가 안되는 사람들도 많다. 심지어 수영구 분구이전 수영구 지역도 남구였다. 2024년 6월 구청장이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라는 상징성과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 재한유엔기념공원이 있다는 이유로 유엔구 명칭을 제안하긴 했는데 # 외래어라 다르게 정할 가능성이 있다. [10] 그런데 1975년 남구 설치 이전에는 수영구 대부분이 속했던 동래구 수영출장소가 아닌 남구가 속했던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관할이었다. [11] 같은 날 사상구 북구에서 분리될 때도 비슷한 일이 일어났다. 부산북부경찰서가 사상구 분리로 본의 아니게 사상구 관할에 들어가자 이 북부경찰서를 부산사상경찰서로 바꾸고 북부경찰서 새 건물을 당시 한창 신도시 개발 중이던 화명동에 세운 것이다. 서울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다. 대표적인 경우로 성동구. 1995년 성동구에서 광진구가 분리되었는데 그 당시 성동구청은 자양동에 있었다. 그런데 자양동 일대를 포함해 광진구가 분리되어 구 성동구청을 현재까지 광진구는 구청으로 사용하고 있고, 성동구는 마장동 서울시설관리공단 건물에 임시청사를 차렸다가 행당동 구청을 신축해 이전해야 했다. 강북구 분구 후의 도봉구도 마찬가지. [12] 못골역의 부역명은 남구청 [13] 현재의 남구의회와 남구보건소 위치까지 舊 부산공업대학 부지였으나 시와 토지 교환을 했다. [14] 부산의 16개 기초자치단체 중 당시 12위 [15] 남천동, 대연동, 용호동, 용당동, 감만동, 우암동, 적기1가~4가(적기5가는 일자불명으로 폐지된지 오래였으며, 나머지 적기1가~4가 역시 1982년 5월 1일 행정구역 개편 때 인근 법정동으로 폐합되어 사라짐.) [16] 수영동, 망미동, 광안동, 민락동 [17] 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광안동, 민락동 [18] 국립해양조사원 기준. 여담으로 남해 동해의 경계가 어디냐를 놓고 해운대구가 태클을 걸어본 적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오륙도 기준이 상식선에서 거의 정착된 상태다. [19] 기업형 임대아파트. [20] 20번, 22번, 24번, 27번, 39번, 131번 [21] 광안터널은 남구와 수영구를 이어주는 터널.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5] 각각 수산대와 부산공전으로 불렸다. 지금도 어르신들 중에서는 부경대는 모르시면서 수산대나 공전이라고 말하면 알아듣는 분들이 왕왕 있다 [26] 전국 최초의 국립대간 통합 [27]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프로리그 결승이 매번 열렸기 때문이다. 심지어 스타 2 맵 중에 광안리라는 맵도 있다. [28] 박정태의 친누나가 추신수의 모친 박유정 씨다. [29] 4선 때까지는 여기가 지역구였으나 5선, 6선 때는 옆 동네인 중구·영도구에서 활동했다. [30] 지역구는 경기도 오산시 [31] 다만, 출생 때부터 4살 때까지는 울산광역시에서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