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2 10:58:57

미국-티베트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티베트 관계 관련 틀 파일:티베트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그린란드 기.svg
그린란드
파일:덴마크 원형.pn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다자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이브 아이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영국·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미국·캐나다·멕시코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미국·캐나다·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Quad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캐나다·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발트 3국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파일:ASEAN 깃발.svg
아세안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영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미일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중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중일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미소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미국-나치 독일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미국 국장.svg Foreign Relations of U.S.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티베트|[[파일:티베트 문장.svg|width=35]]]] '''{{{#FFFF00 [[티베트|{{{#FFFF00 티베트}}}]]{{{#FFFF00 의}}} [[티베트 망명정부#외교|{{{#FFFF00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아메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과거의 대외관계
청나라 치하 티베트
}}}}}}}}}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중화권|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외교 미국-대만 관계( 2020년대),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1979년), 인도-태평양, 타이완 관계법, 타이완 동맹 보호법, 대만 보증법, 미국 재대만협회,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nopad> 사건사고 우궈전 사건
외교 미중관계, 닉슨-마오쩌둥 회담, 키신저-저우언라이 회담, 미중러관계, G2, 상임이사국, 주중미국대사관, 주미중국대사관
<nopad> 사건사고 6.25 전쟁, 중국과 NBA 간 갈등 사태, 하스스톤 홍콩 시위 지지 프로게이머 징계 사건, 미국-중국 패권 경쟁, 미국-중국 무역 전쟁,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 정찰풍선 사건
미국-홍콩 관계, 주 홍콩 · 마카오 미국 총영사관
미국-티베트 관계
미국-위구르 관계
기타
미국/외교, 중국/외교( 홍콩/대외관계), 대만/외교, 타이완 섬, 중화민족( 중화사상), 중국/경제( 홍콩/경제), 대만/경제, 미국/경제, 미군 vs 중국군 }}}}}}}}}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미국 티베트

United States–Tibet relations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3. 미국의 티베트 난민4. 문화적 관계5. 관련 문서

1. 개요

미국과 티베트 망명정부 및 자치구의 관계를 정리한 문서. 티베트 문제는 미중 패권 경쟁에서 주요한 소재 중 하나로, 국제관계에서 미국의 급소가 팔레스타인 문제라면 중국 측의 급소는 바로 티베트 위구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서울신문)티베트 분리독립 갈등… 당사자별 의미는

미국은 CIA를 통해 티베트 독립을 비밀리에 지원하였는데 티베트는 1960년대에 군사훈련, 군자금을 대대적으로 받아왔다. 심지어 비밀해제된 CIA 문서를 통해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망명하는 계기가 된 1959년 무장봉기도 배후에 CIA의 군수물자와 자금지원이 있었는데 당시 CIA는 티베트와 네팔 접경지역에서 반중국 무장투쟁을 벌이던 티베트 게릴라들에게 1969년까지 군수물자, 자금, 군사훈련까지 지원하였다.

망명한 인도 다람살라에 있는 티베트 망명정부도 1969년까지 CIA에게서 매년 수백만 달러를 지원받았다.

1979년에는 달라이 라마 14세가 미국을 방문하면서 각계로부터 큰 환영을 받기도 했다. 이 때의 반향으로 할리우드 영화계에서는 티벳에서의 7년 같은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했으나, 중국 경제가 개혁개방이 이루어진 이후 할리우드를 비롯한 미국 문화계에서 달라이 라마에 대한 언급은 사실상 금기시되어가는 상황이다.

1991년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공식적으로 티베트를 "점령된 국가(An Occupied Country)"라고 부르는 의회법에 서명하고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망명정부를 "티베트의 진정한 대표자"로 인정했다.

2.2. 21세기

2009년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은 "티베트는 중국의 일부분" 이라는 언급을 했다. # 그러나 2010년, 2011년, 2014년 오바마 대통령은 직접 티베트의 지도자 달라이 라마와 정상회담을 하며 티베트의 인권 문제를 거론했다. # 당연히 중국에선 티베트와 회담을 중지할 것을 요구했지만 미국은 그 요구를 무시했다. 이후 2020년, 중국이 외국인의 티베트 방문을 막자 미국 정부는 중국 관리들의 비자를 제한시키며 대응했다. #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티베트 문제 특별 조정관[1]을 임명하여 중국의 소수민족 인권 문제에 적극 개입을 하려는 조짐을 보였다. 그러자 중국은 티베트 문제의 외부간섭을 허용안한다며 미국에 티베트를 건들지 말라고 강력 항의했다. #

티베트 망명 정부의 전 총리 롭상 상가이는 인도 다즐링에서 티베트 난민 가정에서 출생한 인물로 티베트인 중에서는 최초로 하버드 대학교 박사 학위를 받은 인물이기도 하다. #

2020년에는 티베트 망명정부 총리인 롭상 상가이가 백악관으로 초청되어 회담을 가졌다. 티베트 망명정부 수장이 백악관에 초대받은 것은 60년만의 일이라고 한다. #

2020년 12월 23일에 미국 의회는 대만 보증법(Taiwan Assurance Act)과 티베트 정책 및 지원법(Tibet Policy and Support Act)을 통과시켰다. #

2021년 7월 28일에 인도를 방문 중이던 토니 블링컨 장관이 티베트 망명정부의 고위 당국자와 전격 회담했다. #

2021년 12월 24일에 달라이 라마가 우즈라 제야 미국 티베트 문제 특별 조정관에게 서한을 보내 티베트인들의 인권 개선에 더 많이 기여해주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2022년 5월 우즈라 제야 미 티베트 문제 특별조정관은 인도 북부 다람살라에서 만나 티베트 문화 보존의 중요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당시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달라이 라마와 제야 조정관과의 회동에 대해 "티베트는 중국의 일부이고, 티베트의 종교 문제는 중국 국내 문제"라며 "미국의 티베트 문제 특별 조정관 임명은 중국 국내 문제에 대한 간섭"이라고 비난했다. #

2022년 12월 12일, 미국 당국이 티베트인 탄압에 관여한 중국 관리 2명을 제재하자 중국이 미국을 비판했다. #

2024년 6월 12일, 티베트가 중국 영토라는 주장을 부정하는 법안이 미국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1 #2 19일. 미국 의회 여야 대표단이 중국의 강력한 반발 속에 다람살라에서 달라이 라마를 만났다. #

8월. 백악관과 국무부 고위 당국자들이 달라이 라마와 뉴욕에서 회동했다. #

3. 미국의 티베트 난민

미국에 정착한 티베트 난민들은 국제적으로 티베트 독립운동 관련하여 여러 목소리를 내는데 지원을 아끼지 않는 편이다. 오늘날 티베트 독립운동 관련하여 가장 큰 목소리를 내는 나라는 미국과 프랑스를 들 수 있다.[2] 그러나 미국에서 티베트인들은 공식적으로 난민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닌 " 무국적자"로 분류되는 상황이어서, 미국 내 티베트인들에 대한 지원이 상당히 빈약하고 관련 서류 절차가 굉장히 느리고 불편한 편이다. 이 경우 특별한 고학력 전문직이 아닌 이상 활동이 제약이 심각하게 많아진다. 이 때문에 티베트 망명정부에 공식적으로 티베트인으로 등록하는 경우보다는 차라리 중국인 국적의 난민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티베트 망명정부 측에서 티베트계 미국인에 대한 정확한 인구 추산이 힘들다고 한다. 티베트 망명정부 측에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으나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이 더욱 심해질 것을 우려한 미국에서 아직 여기에 대한 답변을 유보하고 있는 편이다.

중국이 경제 개발이 되기 전이자 아직 중국이 미국에 심각한 패권 위협이 되지 않던 무렵이던 1990년에는 티베트인 1천명에 미국 이민 비자가 발급되었는데 고학력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이었다고 한다.

다만 미국 민간에서는 티베트인들에 대한 이미지가 상당히 좋은 편인데, 이는 미국인 지식층 중 적지 않은 수가 티베트 불교 및 티베트 문화에 호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미국 내 거주하는 티베트인들은 주로 미네소타 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는데, 이미 티베트인 커뮤니티가 약소하게나마 존재하는 이유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미네소타 주 정부가 비교적 티베트인들의 비자 및 이주 정착에 호의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4. 문화적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티베토필리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문서



[1] 오바마 행정부가 끝난 2017년부터 공석이었다. [2] 여기에 일본도 있긴 하지만 일본의 경우 달라이 라마 14세에게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강요한 논란 등으로 아무리 국제관계가 실리를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해도 기본을 어겼다는 비판이 있기 때문에, 여기서 논외로 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