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4 20:13:56

미국-발트 3국 관계

미국-발트 3국 관계 관련 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그린란드 기.svg
그린란드
파일:덴마크 원형.pn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다자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이브 아이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영국·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미국·캐나다·멕시코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미국·캐나다·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Quad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캐나다·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발트 3국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파일:ASEAN 깃발.svg
아세안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영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미일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중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중일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미소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미국-나치 독일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미국 국장.svg Foreign Relations of U.S.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다자관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발트 3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발트 3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루블린 삼각동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다자관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발트 3국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발트 3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다자관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발트 3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발트 3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 ||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1. 개요2. 미국-리투아니아 관계3. 미국-라트비아 관계4. 미국-에스토니아 관계5. 문화 교류6. 관련 문서

1. 개요

미국 발트 3국의 관계에 관한 문서이다. 미국은 전간기인 1922년에 발트 3국과 수교하였으며, 1990년에 소련으로부터 재독립 한 발트 3국과 다시 수교하였다. 1998년 미국에서 발트 3국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을 지원한 것을 계기로 발트 3국은 2004년부로NATO에 가입하였고, 미국은 북대서양 조약기구의 맹주국으로서 발트 3국과 협력하며 러시아를 견제하고 있다.

발트 3국 지역 중 리투아니아를 제외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는 미국과 긴밀한 사이는 아니였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발칸과 발트를 헷갈린 사례에서 보듯[1] 미국인 일반인 해당 지역에 대한 문화 교류나 정보가 다소 빈약한 편이다. 다만 발트해 리가 만과 인접한 발트 3국은 표트르 대제 대북방전쟁 이래 러시아의 주요 전략적 요충지였고, 소련 해체 이후 발트 3국이 NATO에 가입하면서 러시아의 해외 진출을 차단하는 형세가 되었다.

2022년초에 미국 국무부가 발트 3국을 통해 미국제 무기를 우크라이나로 보내는것을 승인했다. #

2. 미국-리투아니아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Jungtinės Amerikos Valstijos
리투아니아
Lietuva
Lithuania

미국이 독립하던 당시 18세기 말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폴란드 분할로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던 시기이기도 했고, 양국 사이의 공식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기 다소 힘든 시점이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사이에는 리투아니아인 가톨릭 신도 및 유대인 인구 상당수가 미국으로 이민하였는데, 오늘날 이들의 후손에 해당하는 수십만여 명의 리투아니아계 미국인들은 미국과 리투아니아 사이의 외교에서 다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과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과의 수교는 1922년 7월 28일에 이루어졌고 1990년에 다시 수교하였다. 미국은 소련의 리투아니아 합병을 인정하지 않고, 리투아니아 제2공화국이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이전의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을 계승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리투아니아 주재 미국 대사관은 수도인 빌뉴스에 있으며, 소련이 리투아니아를 점령하면서 폐쇄되었다가 리투아니아와의 재수교 이후 다시 열렸다.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인구 규모는 리투아니아 본토 인구(279만여 명)와 비교해보았을 때 결코 적지 않은 수준인데, 2019년 통계 기준, 미국에는 632,169명의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2023년 2월 22일, 기타나스 나우세다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미국 측에 하이마스 배치를 제안했다. #

3. 미국-라트비아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Amerikas Savienotās Valstis
라트비아
Latvija
Latvia

미국과 라트비아의 수교는 라트비아 제1공화국 시절 1922년 7월 28일에 이루어졌고 소련 해체 이전 1990년에 다시 수교가 이루어졌다. 라트비아인들은 19세기 후반부터 라트비아계 이민자라는 정체성을 내세우며 미국으로 이주하였고,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이나 소련의 라트비아 점령을 피해 라트비아인들이 이주하면서 라트비아계 미국인이 되었다.

2019년 통계 기준, 미국에는 85,723명의 라트비아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4. 미국-에스토니아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Ameerika Ühendriigid
에스토니아
Eesti
Estonia

미국과 에스토니아의 수교는 리투아니아나 라트비아와 마찬가지로 1922년 7월 28일에 이루어졌고 1990년에 다시 수교가 이루어졌다. 에스토니아인의 미국 이주는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어 에스토니아계 미국인들이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에스토니아계 미국인 공동체가 자리잡았다.

2019년 통계 기준, 미국에는 25,779여명의 에스토니아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5. 문화 교류

오늘날 미국 유대인 인구 상당수는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라트비아 출신(이른바 리트박 유대인)으로 미국 유대인 문화는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 문화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다.

다른 한편으로 고대 유럽의 청동기 시대, 발트어족 연구 관련하여 상당한 업적을 남기고 원시 인도유럽인 관련하여 쿠르간 가설을 제시한 마리야 김부타스가 유명하다. 나치 독일이 리투아니아를 점령하면서 그녀는 미국으로 망명하였고, 이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유럽 고대사 관련한 연구 및 강의를 진행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오늘날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를 포함한 발트어족 언어 및 고대 역사 문화 관련한 연구성과들은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김부타스의 기여에 힘입은 바가 크다.

소련 해체 이후 발트 3국 출신 패션 모델들이 미국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졌었다.[2] 에스토니아 출신 카르멘 카스나 리투아니아 출신 에디타 빌케비츄테, 기에드레 두카우스카이테, 라트비아 출신 예바 라구나 긴타 라피냐 등등. 다만 요즘은 패션모델 업계에서 정치적 올바름이 강요되는 사회 분위기와 맞물린 금수저 모델 붐 때문에, 특별한 빽 없는 모델들은 성공하기 힘든 분위기가 굳어지면서 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 모델들은 미국에서 자리잡기 어려워졌다.

6. 관련 문서



[1] 한국에서도 유사 사례가 있었는데 발틱 국가를 발칸 국가로 잘못 표기한 바람에 라트비아 대사가 대놓고 얼굴이 빨개진 상태로 외교부에 항의한 사건이 있었다. #1 #2 [2] 물론 미국에서만 활동하는 것은 아니고 패션 모델들은 대개 파리와 밀라노, 바르셀로나와 함부르크 등등을 돌면서 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