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티베트 |
위구르 |
몽골 |
||||
오키나와 |
베트남 |
캄보디아 |
필리핀 |
미얀마 |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
방글라데시 |
몰디브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카자흐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유럽 · 중부 유럽 |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네덜란드 |
독일 |
||||
폴란드 |
헝가리 |
오스트리아 |
체코 |
|||||
동유럽 · 북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발트 3국 |
||||
남유럽 | ||||||||
스페인 |
이탈리아 |
불가리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슬로베니아 |
||||
그리스 |
세르비아 |
코소보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바레인 |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시리아 |
예멘 |
||||
요르단 |
레바논 |
쿠웨이트 |
오만 |
이집트 |
||||
리비아 |
모로코 |
알제리 |
수단 공화국 |
튀니지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그린란드 |
과테말라 |
벨리즈 |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푸에르토리코 |
쿠바 |
아이티 |
도미니카 공화국 |
바베이도스 |
||||
바하마 |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
에콰도르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모리타니 |
라이베리아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
감비아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콩고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팔라우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나우루 |
솔로몬 제도 |
피지 |
사모아 |
통가 |
||||
다자관계 | ||||||||
파이브 아이즈 |
미국·영국·프랑스 |
미국·캐나다·멕시코 |
미국·캐나다·영국 |
Quad |
||||
미국·캐나다·프랑스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
아세안 |
미영일 |
한미일 |
||||
미중러 |
미중일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미소관계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대한민국 |
일본 |
미국 |
키리바시 |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
미크로네시아 연방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
1. 개요
미국과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관계.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다가 독립했으며, 공식 화폐도 미국 달러(USD)를 그대로 쓰고 있다.미크로네시아 연방은 이웃한 미국령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와는 달리 분명한 독립국인데, 정작 미크로네시아인들 중에는 아직도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미국으로부터 독립했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 하는 경우가 잦다.[1]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한 뒤, 남양제도에 속했던 지역들이 미국의 신탁통치에 들어갔다. 미국의 신탁통치하에서 미크로네시아는 미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지원도 많이 이뤄졌다. 미국의 신탁통치는 70년대까지 이어졌다. 그러다가 85년경부터 미국의 신탁통치에서 벗어날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미국측도 미크로네시아의 독립을 인정하기로 했다. 90년에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미국의 신탁통치에서 벗어나 독립국이 되었고 양국은 공식수교했다.2.2. 21세기
현재에는 친미성향이 매우 강하다. 국방을 미군이 담당하고 있고[2] 미국 정부도 미크로네시아 연방을 지원하고 있다. 그외에도 여러교류와 협력이 활발하다.2010년대부터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중국과 교류를 늘리면서 미국이 이를 견제하고 있다. 이미 CFA 3국중 유일한 대만 미수교국이며 여기에 더해 중국도 영향력 확대를 위해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고는 있지만 미국의 'CFA 국가간 이동의 자유 보장'을 압도하지는 못하고 있다.
2차 세계 대전 도중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원주민들이 미군을 열렬히 환영해준 답례로 크리스마스 공수 작전을 진행하고 있다.
2021년 12월 12일, 미국과 일본, 호주는 나우루, 키리바시, 미크로네시아 연방 등 3개국의 인터넷 환경 개선을 위한 케이블 설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
3. 문화 교류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미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영어가 공용어에 속해 있다. 그리고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쓰이는 영어는 미국식 영어가 주류를 이룬다.4. 관련 문서
[1]
이렇다 보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인식은 매우 좋지 않다. 미크로네시아인들 중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미국과 완전히 분리된 상태라는 점을 인식하지 못 하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미크로네시아인들의 의사와 무관하게" 본토의
화이트 트래시들끼리 모여서 찍은 게 도널드 트럼프라는 여론이 있다. 쉽게 말해, 자기들이 미국인인 줄 아는 거다. 이게 어느정도 사실이기는 한 것이 독립하면서 미국이 시민권을 빼앗아가지는 않았기에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는 미크로네시아인이 상당히 많다.
[2]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팔라우,
마셜 제도 등과 함께 미국과 자유연합협정(Compact of Free Association)을 체결했는데 해당 지역의 안보를 미국이 책임진다는 내용이 주된 골자이며 이 협정에 따라 이 국가들은 군대를 갖지 않고 미군이 방위해주고 경제적 원조와 함께
미국 노동시장을 개방해주는 대신에 외교권에 일부 제약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