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
대명교통 차량 | 한일운수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09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대천동공영차고지) | 종점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신대리( 영남대동문)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평일] 22:21 / [토요일] 22:17 / [공휴일] 22:20 | 막차 | [평일] 22:16 / [토요일] 22:15 / [공휴일] 22:23 | ||
평일배차 | 14분(일 88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8분(일 68회) 토요일: 15분(일 79회) |
||
운수사명 | 경신교통, 대명교통, 영진교통, 우주교통, 한일운수 | 인가대수 | 21대[1][2] | ||
노선 | 대천동공영차고지 - 월배차량기지 - 달서자동차검사소 - 진천역 - 조암네거리 -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 서부정류장 - 성당시장 - 대명공연거리[3] - 청라언덕역 - 반월당역 - 수성구청 - 수성알파시티역 - 대구스타디움 - 신매초교 - 사월역 - 경산시장 - 영남대 - 영남대동문 |
중간 출발 정류소 | |
영남대동문 방면 | 구.남부정류장, 현대백화점.동아쇼핑, 서부정류장(관문시장), 월성2동행정복지센터평일, 토요일 |
대천동 방면 | 약령시입구, 구.남부정류장, 사월역 |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공영차고지(6)에서 중구 반월당역(0)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신대리 영남대동문(9)까지 가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0.6km.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8년 5월 5일 개편 전에 운행했던 일반버스 75번[4]과 좌석버스 375번이 609번의 모태다.
- 1990년대 중반에 신설된 375번[5]은 75번의 좌석버스 버전이었으며, 삼각지네거리를 경유했다는 점을 제외하고 75번과 노선이 100% 동일했다. 1990년대 중반 이전의 일반버스 75번은 삼각지네거리와 내당네거리를 1/2 분리 운행했고, 이후 삼각지네거리 경유 구간을 신설된 375번에 넘겼다. 이 당시에는 서부정류장 ~ 월성지구 구간이 편도운행 구간이었으며, 75번과 375번 모두 서부정류장 → 동본리네거리 → 대구공업대학교 → 송현여자중고교 → 월촌역 → 상인역 → 월성주공2단지 → 월성2동주민센터 → 올림픽기념관 → 남부교육청 → 구. 달성군청 → 서부정류장 구간을 편도운행했다. 375번 신설 이전의 75번은 동본리네거리(대구공업대학교)를 지나 남부교육지원청으로 바로 좌회전해서 구.달성군청으로 갔다. 다만 월성지구로 연장하면서 편도운행 구간이 길어졌다.
- 1998년 5월 개편 때 일반버스 75번은 906번으로, 좌석버스 375번은 609번으로 변경되었다. 이때 서부정류장 이후 편도운행 구간을 왕복운행 구간으로 정리했다. 좌석버스 609번은 서부정류장에서 구. 달성군청 ~ 남부교육지원청 ~ 올림픽기념관 구간을 왕복으로 운행했고[6], 일반버스 906번은 동본리네거리 ~ 송현여고 구간을 왕복으로 운행하게 되었다.[7]
- 2000년 906번은 신남네거리에서 서문시장, 섬유회관을 경유하여 반월당으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00년 노후 하수관 교체 공사 때문에 대구공업대학 앞쪽이 전면 통제되어 906번 월성동행은 본리네거리와 올림픽기념관을 경유해서 송현여고로 들어갔고, 영남대행은 그린맨션 2,3차 사이의 2차선 도로를 경유해서 구마로로 나오기도 했다. 뒤이어 송현여자중고교 앞 도로가 같은 공사 때문에 교통이 전면 통제되었을 때는 서부정류장에서 직진해서 송현역, 월촌역을 경유해서 상인역으로 들어가기도 했다. 당시 609번은 이 공사 때문에 임시우회운행을 하지는 않았다.
- 2001년 4월 23일 좌석버스였던 609번이 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9] 문제는 609번과 906번은 뿌리가 같은 노선이었는데, 609번까지 일반버스가 되면서 경쟁 노선이 되었다. 다만 906번의 배차간격(13분)보다 609번의 배차간격(9분)이 짧아서 609번이 경쟁에서 다소 유리했던 듯 했고, 906번은 2001년 4월 23일까지 노선이 단순한 편이라서 승객이 많았지만 609번의 일반버스 전환 후 승객이 많이 줄었다.
- 2005년 2월 개편[10] 때 906번이 609번에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통합 609번의 인가대수가 41대로 증차되었다.[11][12] 내당네거리와 삼각지네거리 구간, 서부정류장 이후 구간은 1/2 분리운행하는 방식으로 다녔다. 남천 분리노선도 609번으로 넘어갔다.[13][14]
- 2008년 6월 4일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의 확장 공사로 대건중고교 종점이 폐쇄됨에 따라 월배지구와 이마트 월배점, 진천역을 거쳐 대천동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2008년 10월에 한일운수 차량 1대가 449번으로 이동했다.
- 2009년 1월 17일 개편 때 송현주공아파트 방면(또는 상인네거리 방면)[15]을 운행하는 분리 노선과 남천지선은 분리 노선 통합으로 사라졌다.[16] 추가로 우주교통 10대[17]와 한일운수 4대[18], 총 14대가 감차되었다.
- 2010년 4월 개편 때 한일운수 차량 2대가 449번으로 이동했다.
- 2012년 6월 16일 개편 때 삼각지네거리, 양지로 방면으로 분리 구간이 통합되었다.
- 2012년 10월 20일 개편 때 신매역 대신 대구스타디움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노선이 길어졌지만 유니버시아드로는 달구벌대로에 비해 정체가 덜하고 신호도 적어서 운행 시간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았다. 2012년 9월 19일 2호선 경산 연장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면서 인가대수도 2대 감차되었다.[19] 배차간격이 11분에서 13분으로 대폭 늘어났다.
- 2014년 10월 개편 때 한일운수 차량 1대가 동구4-1번으로 이동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부터 우주교통 대신 대명교통이 609번 배차에 참여한다. 649번을 운행했던 2012년식 차량 3대가 모두 넘어왔다.
- 2017년 1월 21일 개편부터 진천역에서 유천교, 달서대로 대신 달서구자동차검사소와 월배차량기지사업소로 진입한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대명교통 소속 차량 1대가 726번으로 이동했다. 대신 한일운수에서 증차분 차량이 1대를 투입했다.
- 2019년 12월 9일 개편 때 조영동 회차지가 폐쇄되어 종점이 영남대로 임시 단축되었다. 영남대 정문 종점과 회차지인 갑제동(영남대 동문) 사이는 공차회송했다. 배차간격은 13분에서 14분으로 늘어났다.
- 2020년 2월 15일 개편 때 노선이 갑제동 회차지까지 연장되었다. 공차회송 구간이었던 영남대 정문 ~ 영남대 동문 구간도 승하차를 받는다.
- 2021년 4월 21일부터 중산하늘채퍼스트 서편 정류소도 정차한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4년 2월 15일부터 한일운수 차량 1대가 업체 내부사정에 따라 운행하지 않는다. 2월 16일 한일운수 감차분을 메우기 위해 대명교통에서 예비차량을 1대 차출하여 임시 운행했다.
- 2024년 2월 19일 인가대수 20대에 맞게 평일 시간표를 조정하면서 평일 배차간격이 15분으로 늘어났다. 임시 운행한 대명교통 예비차량 1대는 다시 예비로 내려갔다. 한일운수 차량 1대가 복귀하는 시기는 미정이다.
- 2024년 3월 18일부터 당초 감차된 1대가 복귀할 예정이었으나 실행에 옮기진 못했다. 되려 4월부터 문제가 더욱 심각해져 한일운수가 운행하는 타 노선인 449번, 909번 또한 감차 운행하게 되었다.
- 2024년 4월 21일 차량 매각 소식이 전해졌고 동년 5월 1일부터 경신교통, 우주교통, 영진교통에 각 1대씩 매각되어 5개의 업체가 운행하게 되었다. 우주교통은 본 노선에 9년 만에 다시 배차하게 되며 영진교통은 준공영제 고정배차제 이후 처음으로 경산시에 진출하게 된다.
4. 특징
- 대명교통에서 운행하는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상인네거리( 상인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
대천동공영차고지 - 만촌네거리(
만촌역) 구간
조암로,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일대에서 서부정류장, 성당시장, 양지로를 거쳐 반월당역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609번 전 구간 중 수요가 가장 많은 구간은 조암로~반월당역 구간이며, 이 구간을 오가는 수요가 엄청 많다.[20] 남구1(-1)번과 함께 양지로 수요도 책임진다.[21] 남구(성당로, 양지로 구간)에서 경대사대부고로 오가는 통학 수요도 상당히 꽤 있다. 최근에는 신월성의 개발로 조암로 수요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22]
-
만촌네거리(만촌역) - 영남대학교 동문 구간
대구스타디움, 경산시장 등 2호선이 안 거치는 사각지대를 서로 연결하거나 사각지대와 2호선 역을 연결하고 있어서 해당 구간에서는 간선뿐만 아니라 지선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2012년 대구스타디움을 경유하여 시지지구 수요가 줄어들면서 609번 담티고개 서편~시지, 경산 수요는 다른 노선들보다 수요가 적다. 2호선과 다른 노선들과 중복 문제, 긴 배차간격과 굴곡 문제까지 있어 609번 수성구, 경산 구간은 잉여나 다름 없다. 대신 경산시에서 신매시장, 시지 안동네, 대구스타디움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 이 구간 내를 오가는 수요가 있다. 장거리 운행 여건, 저조한 수요 등으로 단축 여론이 많았던 노선이었지만, 449번과 909번의 폐지, 840번의 단축이 예고된 개편안이 공개되면서 단축 여론이 크게 감소하였다. 2025년 2월 버스 개편안에 따라 중복 노선들이 폐지되거나 단축된다면, 해당 구간에서 수요가 늘어날 수도 있다.
-
노선 변경 계획
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계획에 의하면 449번과 649번을 통합하여 새로운 노선으로 개통하려고 했다. 이들의 경산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609번을 1대 증차해서 영대에서 금구리까지 연장하려고 했다.[23]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때 909번과 통합해 금구리로 연장하고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경유로 변경하려 했으나 인가대수 등 문제에서 경산시가 반대해 무산되었다.
-
인가 대수 및 기타 특징
현재까지 이 노선의 인가대수는 무려 20대나 감차되었다. 물론 2008년 1대, 2009년 14대 감차는 인가대수가 여유 있었기 때문에 보통 수준으로 돌아가는 정도였지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시행한 감차가 문제다.
가스 충전은 대부분
신천동CNG충전소[24]를 이용한다. 장기정차지가 영남대동문이고
신천동CNG충전소 인근에 위치한 한일운수 차량들이 많아서 그런 듯 하다. 보통은 영남대동문에서 운행을 마치고
신천동으로 가서 충전한 후 영남대동문으로 돌아와서 운행을 시작한다. 가끔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임당역이나 경산시장으로 공차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그리고 가끔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한다.[25]
706번과 함께 서부정류장에서 문화예술회관으로 갈 때 한영한마음아동병원, 서부정류장 정류소에 모두 정차한다.[26] 한때, 한영한마음아동병원(당시에는 구.달성군청) 정류소만 정차하였다. 그러다가 월성동 주민들의 민원 때문에 두 정거장 모두 정차한다.
여담으로 노선번호판을 위아래를 바꿔서 끼워도 노선번호는 똑바로 나온다. 비슷한 노선이었던 906번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준공영제 이전에는 후면행선판을 위아래를 거꾸로 끼워서 행선판에 세로쓰기로 적힌 기, 종점은 물구나무서기를 하고 있는 중에도 노선번호는 똑바로 적혀 있는 모습이 종종 보였다.
한때는 과속, 난폭운전이 제법 심한 노선이었다. 2006년 준공영제 도입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영남대학교 ~ 반월당역을 40분대에 끊기도 했었지만, 2012년에 대구스타디움을 경유하면서 시간표가 널널하게 개정되었는지 과속, 난폭운전은 많이 사라졌다.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대명교통의 인가대수가 3대에서 2대로 줄어든 이후부터 공휴일에는 대명교통이 운휴하고 한일운수가 단독으로 운행한다.
한때 방학, 토요일에 무려 4대가 운휴했다. 지금은 긴 배차간격과 신월성 수요 증가 추세 때문인지 2대 운휴로 조정했다.
방학, 토요일은 차 한대 놓치면 다음 차를 20분 이상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평일에도 20분 이상 지나야 다음차가 오는 경우가 흔하다. 한일운수 1대가 운행 중지되어 배차간격이 15분으로 늘어난 날부터는 아예 30분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이따금 보이고 있다. 게다가, 두 대가 같이 정류장에 들어오는 경우도 이전보다 더욱 늘어났다. 원래부터 배차간격이 심하게 들쑥날쑥한 노선인데, 1대 감차 이후 들쑥날쑥한 배차간격 문제가 더욱 심해졌다.
- 청라언덕역 정류장부터 수성알파시티역 정류장까지 대구 2호선을 따라가는 선형이기 때문에 대구 2호선과 연계가 괜찮은 편이다.
- 대명교통 기사 교대는 대천동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한일운수 기사 교대는 영남대동문 종점 남쪽의 평산동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 후 차고지 앞에서 한다. 이 때 평산동차고지 동쪽의 신천동CNG충전소로 가서 가스를 충전하는 경우가 있다. 교대한 뒤에 영남대동문 회차지로 돌아와서 운행을 재개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09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8,769명 | - |
2015년 | 8,509명 | ▽ 260 |
2016년 | 8,980명 | △ 471 |
2017년 | 8,692명 | ▽ 288 |
2018년 | 7,705명 | ▽ 987 |
2019년 | 8,019명 | △ 314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5,013명[28] | ▽ 3,006 |
2022년 | 6,522명 | △ 1,509 |
2023년 | 7,683명 | △ 1,161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진천역, 서부정류장역, 반월당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 반월당역, 경대병원역, 대구은행역, 범어역, 수성구청역, 만촌역, 담티역, 연호역, 수성알파시티역, 사월역, 임당역, 영남대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남산역, 청라언덕역
- 일반 철도역: 경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
609번 관련 둘러보기 틀 |
{{{#!folding [펼치기•접기] |
구 906번 관련 둘러보기 틀 |
{{{#!folding [펼치기•접기] |
[1]
대명교통 2대 / 한일운수 16대 / 경신교통, 영진교통, 우주교통 각 1대
[2]
방학, 토요일은 19대, 공휴일은 16대로 운행
[3]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현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의 수성알파시티 이전 직전까지 정류장명은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이었다. 609번은 지금도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을 경유한다.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신사옥으로 가려면 수성알파시티 정류장(
수성IC 근처)에서 하차하면 된다.
[4]
경산 시민들, 특히 영남대학교 인근 주민들이 말하는 75번 종점은 영남대학교 정문을 조금 지나서 있는
삼천리버스 차고지 겸 조영동 종점을 말한다. 2012년에 내당네거리 분리 노선까지 사라져서 75번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진 뒤에도 여전히 옛 번호를 따서 75번 종점이라고 부르고 있다. 1998년 개편 이전의 일반버스 1번이 현재 909번인데 909번의 종점인 압량면 금구리 종점을 아직도 1번 종점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다.
[5]
1997년 1월에 375번 관련 기사가 있는 것을 보아 개업 년도는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
[6]
당시 609번은 대건중고교로 들어가지 않았다. 올림픽기념관에서
달서구청을 거쳐 월성주공2단지 옆 도로에서 대기했다가, 다시 출발해 월성2동주민센터를 경유해서 올림픽기념관으로 나왔다. 즉 편도운행 구간이 있었다.
[7]
906번도 편도운행 구간이 존재했다. 대건중고교 방향으로 운행할 때는 송현여자중고교에서 효성초교, 월촌역, 상인역을 경유했다. 영남대 방향으로 운행할 때에는 대건중고교 종점에서 출발하여 월성2동주민센터, 달서구청, 보성은하타운, 달서공고(현 대구하이텍고)를 경유해 송현여자중고교로 갔다. 당시에는 상인네거리에서 월촌역 방향으로 좌회전이 되지 않았기에 편도운행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에 대건중고교 종점을 출발해 월성2동주민센터에서 달서구청으로 나가는 구간은 직선화됐다.
[8]
자인행은 경산오거리까지 본선과 노선이 동일했고 경산시청~삼풍동~자인정류장으로 2대가 운행했다. 현재
경산 990번 노선과 경산오거리에서 경산시청~삼풍동~대구미래대학입구~자인정류장 구간이 완전히 동일했다.
[9]
1998년 개편이나 2006년 개편이 아닌 때에 형간 전환한 노선은 609번과 더불어서 극히 드물다.
[10]
2006년 준공영제 시행 1년전의 개편이다. 이 때 같이 개편된 것은
309번과
936번의 형간전환이다.
[11]
당시 609번은 무려 인가대수 37+4대, 배차간격 5분으로
빗자루질하는 노선이 되었다. RH 시간에도 2대가 한꺼번에 들어오는 경우가 허다했고, 심지어 RH 시간대가 아니면 3대까지도 같이 들어오는 경우가 허다했다.
[12]
1998년 개편 이후 2006년 개편 전까지 노선번호를 일반버스는 푸른색으로, 좌석버스는 붉은색으로 적었다. 609번은 2006년 전까지도 측면 행선판 번호가 붉은색으로 적혀 있었다. 이는 아직도 구 행선판을 사용하는 일부 예비차에서 볼 수 있다.
[13]
남천행은 2006년 고정 배차 전환 후 우주교통 2대, 한일운수 2대가 배차했다. 그리고 내당네거리, 서문시장을 경유했으며, 경산시장~백천동~원리 구간으로 하루 14회 운행했다. 경산시장까지는 영남대학교 방면과 동일했지만, 경산시장 이후로는 경산오거리부터 방향이 완전히 달랐다. 경산오거리에서 영대행 609번은 중방네거리 방면으로 좌회전, 남천행 609번은 백천동으로 우회전했다. 이 때문에 경산 쪽에서 무심코 609번을 탔다가 '남천' 행선표를 보지 못하고 잘못 탄 승객이 '왜 영대 안 가고 다른 방향으로 가느냐' 고 항의하다 중간에 내리는 일도 꽤 자주 있었다. 또한 영남대행 609번은 신남네거리에서 바로 반월당 방향으로 우회전했지만, 남천행 609번은 구 906번의 구간인 서문시장으로 직진했다. 때문에 '내가 차를 잘못 탔나'하면서 혼란스러워하는 승객들의 모습도 자주 보였다.
[14]
경산시에서는 자기들이랑 협의 없이 대구광역시에서 임의로 노선을 조정했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다만 아무 문제 없이 다녔던 걸 보면 경산시가 소송에서 이기지 못한 듯하다.
[15]
대구공업대학교 ~ 송현2동주민센터 ~ 송현여중고 ~ 송현초교 ~ 경북기계공고 ~ 롯데백화점상인점 ~ 영남고교 ~ 송일초교
[16]
롯데백화점 상인점에서 영남중고고로 우회전하는 구간이 사라져 송현초에서 경북기계공고로 우회전하는 구간에서 민원이 있었다. 송현초교 구간으로는
653번이 있지만, 653번은 송현초등학교에서 달서공고로 우회전했다. 즉, 송현초교 구간 이후로는 완전히 다른 노선이었다.
[17]
356번에 2대, 706번에 4대,
달서1번에 4대가 이동하였다.
[18]
신설된
303(-1)번에 투입되었다.
[19]
이 때 개편으로
급행4번을 신설했다.
세한여객이
527번에서 4대를 급행4번에 투입했고, 이를 메꾸기 위해 우주교통이 609번에서 4대를 빼내 527번에 투입했다. 한일운수에서는 303번, 303-1번 차량 1대씩 609번에 투입했다.
[20]
출퇴근 시간에는 당연히
가축수송, 심지어 주말에도 만석이거나 가축수송을 자랑한다.
[21]
808번은 구남보건고 방향 한정으로 편도 운행한다.
[22]
달서4(-1)번이 들어오기 전에는 조암로 구간을 실질적으로 혼자 책임졌다.
[23]
다만 금구리 구간은 840번, 909번 등 수많은 중복노선이 있다. 즉, 609번이 정평동 직선화로 변경하지 않는 이상 의미 없다.
[24]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이 아닌,
경상북도
경산시 원효로 456(
신천동 73) 소재.
대구한의대학교 입구 삼거리와
경산버스 차고지(
압량읍 당리리) 사이에 있다.
[25]
예전에는 승객이 없다 싶으면 중간에 이마트 월배점 쯤에서 끊고
대곡동공영차고지에 가서 충전했다. 다만 대곡동공영차고지가 현재 극심한 포화 상태가 되어 대천동공영차고지로 가는 노선들은 대천교를 거쳐 성서산단의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그래도 못 버티는지,
356번은
조야동에서
신천대로를 통해 상리동CNG충전소에서 충전한다.
[26]
이들을 빼고 한영한마음아동병원 정류소에 정차하는 노선들은 문화예술회관 방면 한정으로 모두 서부정류장 정류소를 무정차 통과한다.
[27]
그 전에는 대건중고교로 표기되었다.
[28]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