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5:24:40

그레고리오 알레그리

미제레레에서 넘어옴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파일:Gregorio_Allegri.jpg
Gregorio Allegri
출생 <colcolor=#000> 1582년
파일:교황령 국기(754-1803).svg 교황령 로마
사망 1652년 2월 7일 수요일 (향년 70세)
파일:교황령 국기(754-1803).svg 교황령 로마
직업 작곡가, 가수, 신부

1. 개요2. 생애3. 작품
3.1. <Miserere mei, Deus>
3.1.1. 가사
4. 관련 문서
▲애가 시작(Incipit Lamentatio).
▲군중이 보는 미사(Missa Vidi Turbam Magnam).

1. 개요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의 중간 시대에 위치하는 이탈리아 출신 작곡가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일화로 더욱 유명해진 인물.

2. 생애

로마에서 태어나 평생을 로마에 있으면서 교황 우르바노 8세를 위해 일했다. 9살부터 로마에서 소년 합창단원에 있었고 14세부터 22세까지는 로마의 산 루이지 데이 프란체시 성당에서 테너로 활동했다. 그 후 30살이 될때까지 작곡가 조반니 베르나르디노 나니노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1607년부터 21년까지는 페르모에서 가수 작곡가로 일했고 티볼리로 일터를 옮겼다. 후에 46세가 되던 1628년에는 로마의 산토 스피르토 성당의 악장직에 오른다. 그후 2년 뒤에는 우르바노 8세의 합창단에 들어갔으며, 많은 합창곡을 작곡하였다.

3. 작품

3.1. <Miserere mei, Deus>

미제레레 전곡. 옥스퍼드 대학교의 뉴 칼리지 합창단 노래.[1]

Miserere Mei, Deus <미제레레 메이, 데우스>[2]

시편 51편을 베이스로 한 성가로, 길이 15분에 이중 합창단을 사용한 장엄한 작품이다. 이 곡에서 5성 합창, 테너 솔로, 4성 합창이 나오고, 이 셋이 번갈아가며 미제레레의 각 구절을 부르는데 이것은 이탈리아 팔소보르도네(Falsobordone)[3]의 전통에 기반한 것이다. 또한 각 구절의 처음 몇 단어는 동일 화음으로 부르다가 그 후에야 다른 화성진행으로 움직이는 것 또한 팔소보르도네에 기반한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에 떠도는 악보들을 보면, 고전~낭만시대에 시스티나 성당의 연주를 들은 음악가들이 이 곡을 청음하여 베낄 때 연주의 리듬대로 정직하게 베낀 것에서 전승되어 그 동일 화음으로 부르는 부분의 리듬이 구체화되어 있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러나 원래 악보에는 리듬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배온음표(온음표 길이의 2배) 하나가 떡하니 있고 그 아래에 가사가 적혀 있다.

이 곡에 대한 전설이 많다. 시스티나 성당에서 이 곡의 외부 유출과 연주를 엄격히 금지했으며 경비까지 붙였다는 둥, 14세의 모차르트가 이 곡을 한두 번 듣고 완벽히 베껴냈다는 둥, 심지어는 교황이 그 필사본을 접하고 화내며 모차르트를 벌하려 했다는 둥...

그러나 이것은 모두 거짓 혹은 매우 의심스러운 이야기에 불과하다. 이 곡의 사본은 로마 내에서 구할 수 있었으며, 런던에서 1735년에 공연되었음이 기록으로 남아있고, 1760년대에는 ' Academy of Ancient Music'이라는 런던의 연주 단체[4]에서 주요 레퍼토리로 자주 연주되었을 정도였다. 아마 미제레레의 원래 악보에서는 볼 수 없으나 실제 연주에서 들어볼 수 있는 화려한 르네상스식 장식음들이 바티칸 외부에서는 잊혀진 상태였기에 이런 이야기가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애초에 뛰어난 음악가라면 누구든 그렇게 아름다운 음악을 귀로 듣고 옮기지 못할 이유가 없다. 멘델스존 리스트 또한 이 곡을 듣고 (일부를) 베낀 적이 있다.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1770년 4월 14일 아내에게 부치는 편지에서 "연주자들은 파문의 위험에 처하므로 이 곡을 반출할 수 없지만, 볼프강이 이 곡을 듣고 기억을 더듬어 적어냈다. 그러나 이 곡 그 자체보다는 실제 연주되는 방식이 더욱 중요하고,[5] 또 이 악보는 로마의 비밀 중 하나이므로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원치 않기에(파문당하지 않기 위해) 보내지 않는다" 라고 쓰고 있다. 그러나 14세의 모차르트가 미제레레를 듣고 베꼈다는 이야기의 유일한 근거인 이 편지 자체에 의문점과 모순이 많다는 점[6], 모차르트가 1764~65년에 방문했을 당시의 런던에선 이미 미제레레가 알려져 있었다는 점, 또 그가 로마로 가는 길에 당대 공인된 사본의 소유자 중 하나였던 작곡가이자 음악사가 파드레 마르티니[7]를 만난 적이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모차르트가 성 금요일에 다시 시스티나 성당에 가서 미제레레의 사본을 한 차례 더 수정했다는 이야기는 19세기에 만들어진 100퍼센트 허구이다.

만들어진 신화에 더해 더 심각한 것은, 오늘날 이 곡에서 가장 유명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는 High C 음이 원곡에는 없다는 것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있긴 있었다. 근데 음고와 위치가 잘못됐다. 1880년 '그로브 음악사전'에서 음악학자였던 윌리엄 스미스 록스트로(William Smyth Rockstro)는 미제레레에 대한 항목을 작성하면서 이 곡 자체보다 그 연주에서 가미되는 장식음들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장식음이 가미된 버전의 악보 일부를 삽입하였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명백한 실수를 저지른다. 록스트로는 라이프치히에서 공부하던 시절 자신의 스승이었던 멘델스존이 이 곡을 듣고 베낀 일부분을 가져와 기존 악보에 추가하려 했다. 멘델스존이 베낀 부분은 1번째 구절의 일부였다.[8] 그런데 문제는, 시스티나 성당 오르간의 음고가 보통보다 몇 도 높게 만들어져 있다는 사실이었다. 멘델스존은 그냥 자신이 들은 대로 썼을 뿐이므로, 원래 악보보다 4도 높게 기록하였다. 그래서 본디 g minor인 해당 부분을 c minor로 기록하였는데, 록스트로는 이를 고려하지 않았고, 4도 아래로 이조하지 않은 그대로를 옮겨버렸다. 최악인 것은 록스트로가 이 부분을 콰이어 2가 부르는 3번째 구절의 일부의 변형(장식)이라고 착각했다는 점이다. 결국 그는 3번째 구절에 멘델스존의 사본을 삽입했고 해당 부분은 완전히 다른 화성 진행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이 곡의 합창에서 한 구절이 g minor의 종지가 아닌 c minor의 종지로 끝나는 것은 이 부분이 유일하다.

또한 본디 콰이어 1의 구성은 SATTB로 테너가 둘이었는데, 18세기 어느 시점부터인가 테너 하나가 한 옥타브 올려졌고 이 곡은 현재까지도 콰이어 1이 SSATB인 상태로, 록스트로의 오류를 포함한 버전으로 공연되곤 한다.

3.1.1. 가사

Miserere mei, Deus. secundum magnam misericordiam tuam;

Et secundum multitudinem miserationum tuarum dele iniquitatem meam

Amplius lava me ab iniquitate mea et a peccato meo munda me.

Quoniam iniquitatem meam ego cognosco, et peccatum meum contra me est semper.

Tibi soli peccavi et malum coram te feci, ut justificeris in sermonibus tuis et vincas cum judicaris

Ecce enim in iniquitatibus conceptus sum, et in peccatis concepit me mater mea.

Ecce enim veritatem dilexisti incerta et occulta sapientiae tuae manifestasti mihi.

Asperges me hysopo, et mundabor; lavabis me, et super nivem dealbabo.

Auditui meo dabis gaudium et laetitiam, et exsultabunt ossa, humiliata

Averte faciem tuam a peccatis meis et omnes iniquitates meas dele.

Cor mundum crea in me, Deus, et spiritum rectum innova in visceribus meis.

Ne proiicias me a facie tua et spiritum sanctum tuum ne auferas a me.

Redde mihi laetitiam salutaris tui et spiritu principali confirma me.

Docebo iniquos vias tuas et impii ad te convertentur.

Libera me de sanguinibus Deus, Deus salutis meae, et exsultabit lingua mea justitiam tuam.

Domine, labia mea aperies, et os meum annuntiabit laudem tuam.

Quoniam si voluisses sacrificium dedissem utique holocaustis non delectaberis

Sacrificium Deo spiritus contribulatus; cor contritum et humiliatum, Deus, non despicies.

Benigne fac, Domine in bona voluntate tua Sion, ut aedificentur muri Ierusalem.

Tunc acceptabis sacrificium justitiae, oblationes et holocausta; tunc imponent super altare tuum vitulos.

[ 원문인 시편 51장, 노바 불가타 및 전례 시편 ]
발췌: CBCK & 불가타
Miserere mei, Deus, secundum misericordiam tuam; et secundum multitudinem miserationum tuarum dele iniquitatem meam.
하느님, 당신 자애로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
당신의 크신 자비로 저의 죄악을 없애 주소서.

Amplius lava me ab iniquitate mea et a peccato meo munda me.
제 허물을 말끔히 씻어 주시고
제 잘못을 깨끗이 지워 주소서.

Quoniam iniquitatem meam ego cognosco, et peccatum meum contra me est semper.
제 죄악을 제가 알고 있사오며
제 잘못이 언제나 제 앞에 있나이다.

Tibi, tibi soli peccavi et malum coram te feci, ut iustus inveniaris in sententia tua et aequus in iudicio tuo.
당신께, 오로지 당신께 잘못을 저지르고
당신 눈앞에서 악한 짓을 하였사오니
판결을 내리셔도 당신은 의로우시고
심판을 내리셔도 당신은 떳떳하시리이다.

Ecce enim in iniquitate generatus sum, et in peccato concepit me mater mea.
보소서, 저는 죄 중에 태어났고
허물 중에 제 어미가 저를 배었나이다.

Ecce enim veritatem in corde dilexisti et in occulto sapientiam manifestasti mihi.
그러나 당신은 가슴속 진실을 기뻐하시고
남몰래 저에게 지혜를 주시나이다.

Asperges me hyssopo, et mundabor; lavabis me, et super nivem dealbabor.
우슬초로 정화수를 뿌리소서. 제가 깨끗해지리이다.
저를 씻어 주소서. 눈보다 더 희어지리이다.[9]

Audire me facies gaudium et laetitiam, et exsultabunt ossa, quae contrivisti.
기쁨과 즐거움을 맛보게 하소서.
당신이 부수신 뼈들이 춤을 추리이다.

Averte faciem tuam a peccatis meis et omnes iniquitates meas dele.
저의 허물에서 당신 얼굴을 돌리시고
저의 모든 죄를 없애 주소서.

Cor mundum crea in me, Deus, et spiritum firmum innova in visceribus meis.
하느님, 제 마음을 깨끗이 만드시고
제 안에 굳건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Ne proicias me a facie tua et spiritum sanctum tuum ne auferas a me.
당신 앞에서 저를 내치지 마시고
당신의 거룩한 영을 제게서 거두지 마소서.

Redde mihi laetitiam salutaris tui et spiritu promptissimo confirma me.
구원의 기쁨을 제게 돌려주시고
순종의 영으로 저를 받쳐 주소서.

Docebo iniquos vias tuas, et impii ad te convertentur.
저는 악인들에게 당신의 길을 가르치리니
죄인들이 당신께 돌아오리이다.

Libera me de sanguinibus, Deus, Deus salutis meae, et exsultabit lingua mea iustitiam tuam.
하느님, 제 구원의 하느님, 죽음의 형벌에서 저를 구하소서.
제 혀가 당신 의로움에 환호하오리다.

Domine, labia mea aperies, et os meum annuntiabit laudem tuam.
주님, 제 입술을 열어 주소서.
제 입이 당신을 찬양하오리다.

Non enim sacrificio delectaris; holocaustum, si offeram, non placebit.
당신은 제사를 즐기지 않으시기에
제가 번제를 드려도 반기지 않으시리이다.

Sacrificium Deo spiritus contribulatus; cor contritum et humiliatum, Deus, non despicies.
하느님께 드리는 제물은 부서진 영.
부서지고 뉘우치는 마음을
하느님, 당신은 업신여기지 않으시나이다.

Benigne fac, Domine, in bona voluntate tua Sion, ut aedificentur muri Ierusalem.
당신의 자애로 시온을 돌보시어
예루살렘의 성을 쌓아 주소서.

Tunc acceptabis sacrificium iustitiae, oblationes et holocausta; tunc imponent super altare tuum vitulos.
그때에 당신이 의로운 희생 제사, 제물과 번제를 즐기시리이다.
그때에 사람들이 수소를 당신 제단 위에 바치리이다.

4. 관련 문서


[1] 조금 짧은 버전도 있다 # [2] 직역하면 "주여,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라는 뜻 이다. [3] 영국의 Faburden, 프랑스의 Fauxbourdon(포부르동)과 어원이 같다. 뜻은 셋 모두 상이하지만. [4] 훗날 이 단체는 크리스토퍼 호그우드에 의해 재창단된다. [5] 르네상스의 전통을 유지하여 장식음을 추가해 부르는 것이 관행이었다. 물론 사본의 수가 워낙 적어서 부르는 다른 방식이 있었는지 알기 힘들기도 하고, 18세기 내내 같은 형태의 장식음만을 사용해 연주되었기 때문에, 그 성악가들이 실제 르네상스 시절의 관행을 내적으로도 이해했다고 보긴 어려울 수 있다. 단지 그 형태 그대로 장식음이 전승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6] 11번 각주 참고 [7] 본명은 조반니 바티스타 마르티니(Giovanni Battista Martini) 혹은 잠바티스타 마르티니(Giambattista Martini) [8] 전술한 대로, 이 곡은 콰이어 1 - 테너 독창 - 콰이어 2 - 테너 독창 - 콰이어 1 - ... 과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즉 1번째 구절이면 5성 합창인 콰이어 1이 부른다. [9] 현재 가톨릭에서는 성수예절의 구절로 쓰인다. 쓰일 때는 Asperges me, Domine, 로 형식을 바꿔서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