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물 요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 | 감잣국 · 계란국 · 고사릿국 · 고지국 · 국밥 · 굴국밥 · 김칫국 · 다슬깃국 · 닭개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떡국 · 떡만둣국 · 매생이국 · 몸국 · 묵국 · 뭇국 · 미역국 · 배추속댓국 · 보말국 · 북엇국 · 사골국 · 선짓국 · 소머리국밥 · 솎음배춧국 · 쇠고깃국 · 수구레국밥 · 수제비 · 순댓국 · 술국 · 숭엇국 · 시래깃국 · 쑥국 · 아욱국 · 우거짓국 · 육개장 · 접짝뼈국 · 재첩국 · 조깃국 · 콩국 · 콩나물국 · 콩나물국밥 · 탕국 · 토란국 · 평양온반 · 해장국 · 호박국 · 홍어앳국 · 효종갱 · 뼈다귀해장국 |
탕 | 갈낙탕 · 갈비탕 · 감자탕 · 거갑탕 · 곰탕 · 꽃게탕 · 꿩탕 · 내장탕 · 누룽지탕 · 닭곰탕 · 닭도리탕 · 대구탕 · 도가니탕 · 들깨탕 · 매운탕 · 물곰탕 · 보신탕 · 삼계탕 · 백숙 · 새우탕 · 설렁탕 · 승기악탕 · 신선로 · 아귀탕 · 알탕 · 어탕 · 얼추탕 · 연포탕 · 오리탕 · 용봉탕 · 용압탕 · 임자수탕 · 잡탕 · 조개탕 · 짱뚱어탕 · 지리 · 초계탕 · 추어탕 · 추포탕 · 토끼탕 · 해물탕 · 홍합탕 | |
찌개 | 고추장찌개 · 김치찌개 · 동태찌개 · 된장찌개 · 닭한마리 · 부대찌개 · 비지찌개 · 순두부찌개 · 짜글이 · 청국장찌개 · 갈치찌개 · 막장찌개 | |
전골 | 어복쟁반 · 조방 낙지볶음 | |
냉국 | 가지냉국 · 더덕냉국 · 미역냉국 · 오이냉국 · 우무냉국 · 콩나물냉국 · 화채 |
|
고추장찌개 |
[clearfix]
1. 개요
한국 요리 중 찌개의 한 종류. 다른 이름으로 캠핑찌개. 충청도에서는 짜글이라고도 부른다.쉽게 말하면 된장찌개에 된장 대신 고추장이 들어갔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감자, 두부 등 부가 재료는 거의 비슷한데 추가로 소고기가 들어간다.
된장찌개와는 달리 인지도가 지역에 따라 매우 다르다. 경상도에서는 무척 생소한 음식으로, 경상도 사람들은 대부분 모르며 식당에서도 거의 팔지 않고 일부 고깃집에서만 판매하고 있다. 팔더라도 짜글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며, 높은 확률로 김치가 들어간다. 이는 이 음식이 과거 산업화 시절 고향을 떠난 전라남도 출신 노동자들과 함께 부산, 울산, 대구, 창원 등 공단지역으로 흘러들어왔기 때문에 짜글이란 이름도 같이 넘어왔던 것이다.[1]
경상도에서 고추장찌개 포지션은 순두부찌개가 차지하고 있다. 서울/ 경기 쪽 순두부찌개보다 훨씬 걸쭉하다. 실제로 부산에서 순두부 요리를 잘하는 집 가서 시켜보면 고추장찌개를 연상시키는 진하고 벌건 순두부찌개가 나온다. 이런 이유는 예로부터 고추장으로 유명했던 지역은 전라도와 경기 이북으로, 경상도는 고추장 양념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신 콩으로 만든 된장 양념을 더 선호한다. 이런 성향은 라면에도 영향을 미쳐서 경상도는 고추 베이스의 신라면보다 된장 베이스의 안성탕면이 인기 1위이다. #
애호박과 돼지고기를 넣어 끓인 일명 애호박찌개는 광주광역시의 향토음식으로 알려져 있는데, 광주 일대의 호남민들이 서울과 경기도로 대거 이주하면서 고추장찌개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역사 때문에 그렇다는 설이 있으나 전라도 애호박찌개는 원래 고추장을 넣지 않고 고춧가루와 젓갈을 쓰는 다른 요리이며, 오히려 고추장을 쓰는 전라도의 고추장찌개는 수도권에서 넘어왔다고 한다. 수도권에서는 고추장찌개가 보편적인 요리인데 반해 전라도 지방에서는 특정 지역의 비슷하지만 다른 요리이기 때문에 전라도에서 넘어 왔다는 것은 애호박을 넣어 매콤하게 끓인다는 점에서 생겨난 낭설일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으로 이주한 전라도 사람들 위주로 먹던 음식이 아니라 중부지방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먹었기 때문이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찍어먹는 소스 등으로 다른 지방과 달리 된장보다 고추장을 다소 더 쓰는 문화가 있었기에 그 문화를 기반으로 생겨난 찌개라고 봐야 한다. 물론, 수도권 특성상 다양한 지역에서도 모여들었기 때문에, 전통적인 서울ㆍ경기 사람이 개발했다고 이렇게 단정 짓기는 어렵고, 한 때 돌았던 소문처럼 전라도 출신이 처음 개발했을 가능성도 있다. 다만, 수도권에 거주하는 전라도 사람들이 먹던 음식은 아니었고 고추장 선호의 수도권 식문화를 배경으로 생겨나 퍼진 요리인 것은 확실하다. 수도권에서도 종종 맛보게 되는 애호박 찌개는 새우젓과 호박 위주의 맛이나는 요리로, 칼칼한 고추장 고기육수 맛의 고추장 찌개와는 전혀 다른 맛이다. 전 지역에서 먹는 된장찌개에도 애호박이 대부분 공통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애호박 찌개가 원조라는 것은 애호박을 넣고 끓인 매콤한 찌개라는 점에서 생긴 오해로 봐야한다.
다만 전라도에선 짜글이라는 거의 비슷한 음식이 지역의 대표적인 찌개 요리 중 하나이다.
2. 조리법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재료: 고추장, 애호박, 쇠고기( 돼지고기, 멸치), 대파, 된장 약간, 마늘, 양파, 감자, 두부, 표고버섯 등. 여기서 몇 몇 재료들은 변형하거나 추가, 빼는 경우도 있다.
윗줄에 언급된 재료를 사용한 일반적인 조리법: 먼저 고기와 고추장을 살짝 볶는다. 기호에 따라 참기름을 조금 넣어도 좋고, 된장을 반 숟갈 정도 넣고 볶아준 다음[2] 물과 손질한 야채를 넣고 끓이면 끝.
단, 양파와 애호박을 너무 많이 넣으면 단맛이 강해지므로 주의. 양파와 애호박은 푹 끓이면 거의 녹아버리므로 고기와 장 볶기 → 감자와 물 투입 → 익으면 양파와 애호박 투입 → 익으면 대파 넣고 살짝 끓여 완성의 순서를 추천.
3. 기타
끓이고 나면 그 모양이 어떤 의미로는 용암에 가깝다. 사람에 따라서는 고추장 맛 때문에 텁텁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칼칼하고 얼큰하며 동시에 애호박과 양파에서 우러나오는 달달함, 그리고 돼지고기로 끓일 경우 구수하고 기름진 맛까지 더해져 추운 겨울날 저녁상에 잘 어울리는 음식이기도 하다.기타 추가할 만한 옵션으로 두부나 미역을 넣기도 하며, 오징어를 넣어도 좋다. 무를 썰어 넣으면 넣은 육류가 연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텁텁한 국물 맛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된장을 약간 넣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 고추장만 넣지 않고, 고춧가루를 일정 비율 넣어주는 것도 괜찮다.
위에 언급된 재료들을 넣고 고추장찌개를 해 먹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추석이나 설날 같은 연휴 다음날 남은 전과 나물들을 모두 넣고 끓여 먹는 잔반 처리용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전과 나물들이 모두 기본적인 간은 됐으니 고추장과 물만 적당히 풀어 넣고 끓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런 공동 배식 고추장찌개는 말만 찌개이지 군대에서 자주 배식되는, 이른바 똥국 수준으로 맑은 고추장찌개가 나오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애호박찌개라는 향토음식과 혼용되어 사용되며, 그 일대에서 고추장찌개는 애호박과 돼지고기가 기본 재료이다.
가장 유사한 맛이 나는 음식은 의외로 떡볶이이다. 떡볶이도 고추장+물엿 베이스의 양념으로 조리하는 것을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