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검정 고무신/주변인물
1. 개요
검정 고무신의 등장인물들을 정리해둔 문서.2. 기영이네 가족
이기영 가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조부모 | |||
이득촌 | 언년 | |||
부모 | ||||
이말룡 | 춘심 | |||
자녀 | ||||
이기만 (원작) |
이기철 | 이기영 | 이오덕 | |
애완동물 | ||||
땡구 | }}}}}}}}} |
2.1. 이기영
자세한 내용은 이기영(검정 고무신) 문서 참고하십시오.2.2. 이기철
자세한 내용은 이기철 문서 참고하십시오.2.3. 춘심
자세한 내용은 춘심 문서 참고하십시오.2.4. 이말룡
자세한 내용은 이말룡 문서 참고하십시오.2.5. 이오덕
자세한 내용은 이오덕(검정 고무신) 문서 참고하십시오.2.6. 이득촌/이또출
자세한 내용은 이득촌 문서 참고하십시오.2.7. 언년
자세한 내용은 언년 문서 참고하십시오.2.8. 이기만[1]
자세한 내용은 이기만 문서 참고하십시오.2.9. 땡구
자세한 내용은 땡구 문서 참고하십시오.2.10. 이지현
사진 오른쪽이 지현이. 왼쪽은 할머니 춘심이다.
성우는 어머니 경주, 큰아버지 이기철과 동일한 오인실.
기영이와 경주의 첫째 딸이자 장녀, 기철이와 오덕이의 조카.[2] 4기 26화에서 개그 콘서트의 봉숭아 학당(연변총각) 코너를 보고 할머니 춘심한테 연변이 환상과 모험의 나라라고 말하였다. 이후 춘심이 들려주는 옛날 그 시절 이야기를 듣게 된다.
나이가 나이인지라 할머니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는다. 이야기를 마치고 고모인 오덕이가 아니라고 하자 고모는 모른다고 반박한다.
작중 연변총각( 강성범이 연기)이 방영되는 점, 검정고무신의 시대적 배경이 1960년대 후반임을 감안할 때, 이지현이 나온 이 에피소드의 작중 시점은 2002년 ~ 2003년 때로 추정되니, 출생은 1994년~ 1996년생으로 추정된다. 기영이와 경주가 1960년생임을 감안하면 꽤나 늦게 본 편이다. 통상적으로 1960년생 남성의 첫째는 1980년대 후반, 1960년생 여성의 첫째는 1980년대 초중반에 태어났다.
3. 기영이네 셋방
셋방을 놓게 된 계기가 보릿고개 시련기와 약간 연관이 있는데[3], 원래는 기영이와 기철이가 같이 쓰던 방이었지만, 보릿고개의 여파로 세를 놓기 위해 두 형제의 방은 셋방이 되고 형제는 할아버지, 할머니와 같이 방을 쓰게 된다. 첫 세입자로 오려던 사람이 술집 여자여서 할머니의 강력한 반대로 안 들어왔고, 그 다음으로 똥퍼 아저씨가 셋방을 보러 왔고 여기서 "다른 곳은 애 딸린 홀아비라며 밥도 안 줬다"며 동정심을 사게 해서 그 후부터 기영이네 집에서 세입자로 들어오게 된다.3.1. 똥퍼 아저씨(성시경)
자세한 내용은 똥퍼 아저씨 문서 참고하십시오.3.2. 성근석&성삼례
자세한 내용은 성근석&성삼례 문서 참고하십시오.4. 기영이네 친척
4.1. 기영이네 친가
대부분 1회성 출연이며 애니판 기준 출연 순서대로 서술했다.4.1.1. 이육만
성우는 오세홍.[4]
기영이 아버지의 남동생이며, 기영 삼남매의 작은아버지. 이역만리 서독[5]에서 광부 근로자로 파견가서 그곳에서 번 월급들 중 1달 분으로 TV를 사서 기영이네에 보낸다. 마침 기영이가 위조 만화표[6]를 쓰다 만화방 주인에게 걸려 집안에 난리가 나는 바람에 기철이와 기영이가 크게 혼나던 직후였기에 매우 적절한 타이밍이었다.
4.1.2.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
증조할아버지: 멈춰라, 이 요망한 것!
검정고무신 1기 09화 조상님의 묘 중에서
할아버지와 큰할아버지의 아버지, 어머니이며 작중에서는 이미 고인.[7] 복장과 시대상, 등장인물들의 연령 등에서 유추해 보면 대략
19세기 중반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8] 사실상
신미양요세대다.[9] 기영이 아버지가
구미호에게 홀려 따라가자 춘심의
꿈에 나타나 여우 고기가 먹고 싶다며 깨워 구미호를 쫓게 만들었고, 기영이의 꿈에서 기영이 가족이 이 분들의 묘를 이장하러 선산에 왔다가 구미호[10]에게 간을 빼먹힐 뻔한 것을 멈춰라, 이 요망한 것!!!! 라는 대사로 폭풍간지를 선보이며 등장했으며 동시에 늑대들[11]을 데려와 구미호를 말 그대로 뼈만 남겼다. 다음 날 가족들이 무덤에 찾아가 보니 늑대들이 없었고 그 때문에 여우들이 파헤쳐 무덤은 난장판이 되었으나, 아무튼 유골을 수습해서 이장은 마친 듯. 성우는
이종구,
김정애.검정고무신 1기 09화 조상님의 묘 중에서
4.1.3. 큰할아버지
할아버지의 형이자 아버지( 말룡)의 큰아버지. 대략 1890년 전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2]
기영, 기철 형제가 여름방학에 방문했을 때 천자문을 가르쳐 주었다.[13] 기영이는 빨리 잘 외우고 영특해서 금방 나가서 놀 수 있었지만, 기철이는 심각한 돌머리인지라 도통 못 외워서 자꾸 혼만 났다. 그래서 기철이가 한문 공부를 빨리 마치려고 하루 만에 천자문을 다 외자 나라의 인재라고 논어, 맹자 등을 가르치려고 하자 기겁한 기철이는 줄행랑을 쳤다.[14] 성우는 문관일.
4.2. 기영이네 외가
기영, 기철 형제가 겨울방학에 방문했다. 애니판에서는 충청북도 영동군에 살고 있으며[15][16], 가족 구성원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외삼촌 부부와 그 아들인 춘식. 나중에 서울로 돌아갈 때 외할머니가 암탉을 챙겨주었는데, 그 암탉 덕분에 기영, 기철 형제가 불량배에게 당할 위기에서 벗어난다. 외할아버지의 머리가 기영이와 판박이인 것으로 보아 기영이의 특이한 헤어(?)스타일은 아마도 이 분에게서 격세로 유전된 듯. 이후 생각쟁이에서도 연재가 되었다.외할아버지, 외할머니는 원작 만화책에서 친할머니, 친할아버지처럼 손주 바보인 면이 많이 부각된다. 다만, 외할아버지는 손주들이 이웃 친구들과 도박을 했다는 걸 알고 격노하며 회초리로 때리는 등 불같은 모습도 보인다. 그리고 애니화된 에피소드[17]의 마무리 부분에서 기철이와 기영이가 밥을 더 달라 하는 부분에서 식충이들이라고 까기도 한다.
성씨는 나오지 않지만 기영이의 엄마 이름이 춘심이고, 사촌형은 춘식이니 춘씨 집안일 가능성이 있다.
4.2.1. 춘식
기영, 기철 형제의 외사촌. 나이는 기영이보다 많고 기철이보다 어리며[18] 연날리기를 잘한다. 코믹스에서는 실눈으로 나오지만 애니판에서는 초롱초롱한 둥근눈으로 나온다.
원작 만화책에서는 외갓집 에피소드가 애니메이션보다 조금 더 많아 다양한 면모가 부각된다. 이웃집 과채밭에서 서리하거나 기철이와 기영이와 함께 이웃집 닭을 훔치거나 동네 아이들과 도박(...)을 한다던지, 곱하기를 못해서 기영이한테는 놀림을 받고 엄마[19]에게 농사나 지으라는 소리를 듣고 서러워하는 등 애니메이션보다 아이같은 모습이 많이 보인다.
4.2.2. 외삼촌
자세한 내용은 외삼촌(검정 고무신) 문서 참고하십시오.4.2.3. 이상원
5.18 만화에서 나오는 외삼촌의 외아들. 이후 도청을 지키다가 살해당한 듯 하다. 이름을 잘 생각해 보면 어떤 사람이 생각날 수 있다.4.2.4. 당숙[20]
성우는 이종구
기영이 아버지의 사촌이자 기영이 할아버지의 조카. 당시 시대상 상당한 기업체를 운영하는 부자다. 할아버지와 할머니까지 혀를 찰 정도로 구두쇠이다. 거기다 치사하게 희망고문을 한다.[21] 기영이네 집에 찾아왔을 때 용돈으로 1원만 주려다가 기영이와 친구들, 그리고 기철이까지 재롱을 떨어서 벌벌 떨며 거금 10원씩, 도합 20원을 내놓고야 만다.
4기 6화에서도 재등장했는데, 설정이 외당숙으로 바뀌었다. 다만, 기영이가 외당숙을 보고 누구냐고 물어본 것으로 보아 캐릭터 디자인만 재탕했을 뿐 설정상 위의 구두쇠 당숙과는 별개의 인물이거나 4기에서 흔하게 발생한 설정 오류 일수도 있다. 이쪽은 구두쇠인 위의 당숙과 다르게 기영이에게 아이스케키라도 사먹으라며 후하게 10원이나 주었다.
여름방학 편에 나오는 큰할아버지의 아들인 듯 하다. 사촌동생, 작은 아버지, 그리고 본인의 아버지도 머리카락이 있는데 왜 이 사람만 다 벗겨진 건지 의문이다.
4.2.5. 춘심의 첫째 언니
춘심 위의 첫째 언니 원작에서만 잠깐 언급된다.4.2.6. 또남
원작에만 등장하는 인물. 기남, 기철, 기영, 오덕에게는 이모가 되는데 그들의 어머니인 춘심의 바로 위 언니이다. 작중 시간대에서는 이미 고인으로, 춘심은 처음에 "위로 언니 한 명만 있다"고 하였지만 선녀보살이 "어디서 거짓말인가? 그 사이에 언니 한 명이 더 있지 않느냐? 인간인 나는 속여도 신의 눈은 못 속인다!"라고 벽력같이 호통을 치자 크게 놀라며 비로소 "마, 맞아요! 사실은 작은 언니가 있었는데, 어렸을 때 돌아가셔서..."라고 실토한다. 이를 들은 선녀보살이 "그럴 만도 하네. 너무 어렸을 때 죽어서 기억에 이미 잊혀졌다시피 했으니..."라고 달래주고 또남의 죽음을 언급하는데, 또남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 회충으로 인해 엄청나게 고생하는 바람에 부모, 즉 기철, 기영의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가 걱정 끝에 또남에게 시도때도 없이 회충약을 먹인 일이 있었다. 당시 외할머니는 "이렇게 많이 먹여도 괜찮을까요?"라 걱정했고 외할아버지는 "아무리 그래도 회충이 저 정도로 많으니... 일단은 먹이는 게 좋을 것 같아."라고 하며 강행했는데, 알다시피 회충약은 이런 정체의 약이기 때문에 많이 먹으면 절대 좋지 않다. 결국 또남은 회충약 과다복용으로 독극물 중독 비슷하게 사망했다. 향년 4세. #
또남의 죽음은 한국 사회의 옛 문화와 어두운 면이 있는데, 춘심이 어렸을 적의 한국 사회에서는 천연퇴비를 이용하여 회충이 들끓었고 이 때문에 아이들이 회충에 시달리는 일이 많아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회충약을 많이 먹이는 등 회충을 쫓아내려 했지만 당시 위험성을 고지하지 않는 일로 많은 아이들이 회충약 중독으로 사망하는 일이 많았다.
1970년대가 되어서야 화학비료가 등장해 회충이 줄어들었지만, 시골에서는 천연퇴비를 이용해 아이들이 회충에 시달리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5. 주변 인물
검정 고무신/주변인물 문서 참고.6. 단역 인물
검정 고무신/단역인물 문서 참고.7. 내레이션
1~3기 강구한[22], 4기 최정호.
[1]
원작에서만 등장했으며 현재 실종된 상태다.
[2]
크림빵 에피소드에선 장남이자 본인의 동생인 이민기가 있는데, 아버지 이기영과 닮았다. 또한, 코믹스 검정고무신 2부에서는 경주와 닮은 여자 아이가 등장한다. 이 여자아이가 본인과 동일인물인지는 불명.
[3]
셋방 놓는 에피소드가 아예 보릿고개 바로 다음 에피소드이자 3기 마지막 에피소드다. 작품 내적으로 시간적 배경은 봄날의 향기 편과 연결되는 듯하다.
[4]
형과 중복이다.
[5]
작중 시대만 하더라도
독일은
동독과 서독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독일 통일은 약 21년 후의 일이었다.
[6]
만화책 한 권 빌릴 때마다 한 장씩 받으며, 열 장을 모으면 만화방에서 TV를 볼 수 있다. 근데 기철이가 기영이와 도승이와 성철이의 만화표들을 나중에 갚는다며 모조리 뺏고 tv를 보는데 쓴다. 그러다 우연히 만화방 주인이 만화표 만들때 쓰는 도장을 보고 만화표를 똑같이 집에서 만들었다. 즉 기영이는 기철이가 만들어준 위조 만화표를 쓰게 된 것이다.
[7]
대략 손자
이말룡의 유아기, 10대 때 사망한 듯 보인다.
[8]
1894년생인 할아버지 위에 형이 있는 것으로 보아 최소
1890년경에
결혼을 했다는 소리가 된다.
조혼이 만연하던 시대임을 감안해도
1870년대 초중반생 정도가 한계다.
[9]
대략 같은 나이로는
알버트 아인슈타인,
블라디미르 레닌 등이 있다.
[10]
선산을 관리하는 산지기의 딸이 구미호였다고 나오는데 물론 기영이의 꿈이었지만, 마지막에는 꼬리를 보이며 뒷산으로 사라지면서 진짜로 구미호라는 것이 확인이 된다.
[11]
이름이 늑돌이, 늑순이다.
[12]
한문 공부를 시킬 때 천자문을 내놓는 것만 보면 확실하다. 이분의 청소년 내지는 청년기 즈음에 신식 공부가 도입되었을 테니.
[13]
여름방학 시작 전 손자들이 한자 신문을 너무 못 읽어서 할아버지가 부탁한 것이다.
[14]
사실은 진짜로 외운 것이 아니라 큰할아버지의
정자관 위에
천자문을 적어서 붙여놓는 치사한
부정행위를 한 것이었다.
[15]
원작에서는
전라남도
목포시로 나온다.
[16]
여기서 옥의 티가 있는데, '외갓집 여행 하'편 시작할 때 배경으로
바다 같은 게 보인다. 일단은 '서울 오는 길' 편에서
영동역과
대전역이 나오는 걸로 봐서 아무래도 영동이 확실히 맞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알다시피 충청북도는
남한에서 유일하게 바다에 인접하지 않은 대표적인 내륙 지역이다.
[17]
외갓집 여행(하). 연을 갖고 놀거나 기영이가 시골 소녀인 돌순과 노는 에피소드이다.
[18]
12~13세 정도로 추정된다.
[19]
기철이, 기영이한테는 외숙모
[20]
부모의 4촌을 뜻하는 말. 촌수로 5촌이다.
[21]
1,000원짜리를 주고(2024년 현재 가치로 약 30만원) 100원짜리로 바꿔오라고 하고 갔다오니 다시 10원짜리로 바꾸라고 한다음에 1원짜리라고 바꿔오라고 한다.
[22]
당시 할아버지 역과 동시에 다수의 단역들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