鷄 닭 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鳥,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1획
|
||||
중학교
|
|||||||
鶏
|
|||||||
일본어 음독
|
ケイ
|
||||||
일본어 훈독
|
にわとり, とり
|
||||||
鸡
|
|||||||
표준 중국어
|
j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鷄는 '닭 계'라는 한자로, ' 닭'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닭 |
음 | 계 | |
중국어 | 표준어 | jī |
광동어 | gai1 | |
객가어 | kiê | |
민북어 | gái | |
민동어 | giĕ | |
민남어 | ke[文] / koe[白] | |
오어 | ji (T1 | |
일본어 | 음독 | ケイ |
훈독 | にわとり, とり | |
베트남어 | kê |
뜻을 나타내는 鳥(새 조)와 소리를 나타내는 奚(어찌 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갑골문에서는 닭이다.
이체자로는 隹(새 추)를 의부(義符)로 가지는 雞[3]가 있다. 대만, 홍콩 등 정체자(번체자)를 쓰는 지역에서는 이쪽을 표준자형으로 삼고 있다.
HSK1급에 속한 기초한자이다. 닭이란 뜻으로 많이 쓰이지만 남성기를 뜻하는 한자 屌대신 완곡하게 표현할 때는 이 한자를 주로 사용한다.
3. 자형
갑골문 | 금문 | 소전 |
4. 용례
4.1. 단어
- 계간(鷄 姦)
- 계관(鷄 冠)
- 계란(鷄 卵)
- 계란골(鷄 卵 骨)
- 계란구(鷄 卵 灸)
- 계란반(鷄 卵 飯)
- 계란선(鷄 卵 膳)
- 계란세례(鷄 卵 洗 禮)
- 계란소(鷄 卵 素)
- 계란장(鷄 卵 醬)
- 계란주(鷄 卵 酒)
- 계란죽(鷄 卵 粥)
- 계란지(鷄 卵 紙)
- 계란채(鷄 卵 菜)
- 계란탕(鷄 卵 湯)
- 계란포(鷄 卵 包)
- 계란형(鷄 卵 形)
- 분말계란( 粉 末鷄 卵)
- 계명(鷄 鳴)
- 계육(鷄 肉)
- 기스면(← 鷄 絲 麪)
- 금계( 金鷄)
- 깐풍기(← 乾 烹鷄)
- 라조기(← 辣 子鶏)
- 삼계탕( 蔘鷄 湯)
- 목계가( 木鷄 歌)
- 양계( 養鷄)
- 영계(영鷄): '영' 자가 한자가 아니다. '어린 닭'이라는 뜻에서 '어리다'의 영어 young으로 오해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사실이 아니다. 영계는 원래 '연계(軟鷄)'로, 軟(부드러울 연)을 쓴다. 즉, '부드러운 닭'이라는 뜻이다.
- 오골계( 烏 骨鷄)
- 유린기(← 油 淋鷄)
- 지파이(鷄 排)
- 창계( 鶬鷄)
- 투계( 鬪鷄)
- 폐계( 廢鷄)
- 소계계( 小鷄鷄): 문자 그대로 직역하면 작은 닭, 병아리지만 실제로는 음경을 이르는 중국어권의 속어로 중국어 발음으로는 '샤오지지'이다. 자지 초( 屌)와 달리 비속어적인 어감보다 한국의 고추, 일본의 친친, 영어권의 willy, wiener 정도의 어감이다.
4.2. 고사성어/ 숙어
- 계구우후(鷄 口 牛 後)
- 계란유골(鷄 卵 有 骨)
- 계륵(鷄 肋)
- 계명구도(鷄 鳴 狗 盜)
- 계전적성(鷄 田 赤 城)
- 계창(鷄 窓)
- 군계일학( 群鷄 一 鶴)
- 목계양도( 木鷄 養 到)
- 옹리혜계( 甕 裏 醯鷄)
- 우도할계( 牛 刀 割鷄)
- 웅계야명( 雄鷄 夜 鳴)
- 차계기환( 借鷄 騎 還)
- 촌계관청( 村鷄 官 廳)
- 축계견첨리( 逐鷄 犬 瞻 籬):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듯.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雞(닭 계)
- 谿/ 𥡙[⿰奚禾](시내 계)
- 䫣(바르지않을 혜)
- 𪓷[⿰奚黽](청개구리 혜)
- 㰿(탄식할 혜, 한숨쉴 희)
- 𦫬[⿰奚色](황달의안색 혜)[4]
- 𪥣[⿰奚荒]
- 𫰄[⿰奚哥]
- 𤕂[⿰奚芻]
- 𦫑[⿰奚良]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𡿙[⿱山鷄](계/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