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6:47:59

계림

1. 鷄林

[[신라|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파일:투명.png
신라의 역사
新羅歷史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be6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4a2d5b; 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5d2,#ccc4a8> 시대 국가
고신라
(古新羅)
왕정 이전
진한 사로국
( 계림)
삼국시대 신라
신라
보덕국 | 계림대도독부
삼국 통일
통일신라
장안국
신라/후삼국시대
후고구려 | 후백제 | 후사벌국
중세 신라부흥운동
역대 왕조
주요 귀족
박씨 왕조 | 석씨 왕조 | 김씨 왕조
성골 | 진골 | 육두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탈해 이사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 생애 · 황산진구 전투
관련 장소 탈해왕릉
관련 문서 계림
}}}}}}}}} ||

九年春三月
알지가 태어나고 국호를 계림으로 고치다
탈해 이사금 본기

한국의 고대 왕조 국가인 신라의 다른 이름.

신라 초기에는 제3대 탈해 이사금부터 제15대 기림 이사금까지는 나라 이름을 계림으로 썼다고 되어 있고, 그 이후에도 신라라는 나라 전체 혹은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에는 한반도를 가리키는 별칭으로 사용되었다.

그 어원에는 두 가지 이설이 있는데, 원래는 1.1의,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 김알지가 태어났다고 알려진 장소의 이름이었지만, 후에 신라 전체를 뜻하는 이름이 되었다는 설이 일설이다.

혹은 높은 땅을 가리키는 '달'과 '서벌( 서라벌=경주)'이 합쳐지면 '달스벌/달스불'이 되고, 당시 닭(鷄)을 닥, 달 등으로 발음했기 때문에 '달스벌/달스불'을 각자 음차 및 훈차하는 방식으로 닭+수풀, 즉 계림(鷄林)으로 표기하였다는 설이 이설.[1] 일단 위키백과에는 두 번째 설이 정설로 소개되며, 경주 숲의 이름은 이후에 덧붙여진 것으로 소개된다.

지증왕 때 국호를 '신라'로 확정한 이후에도 별칭으로 계속 쓰였고, 삼국통일 이후에는 신라가 한반도 대부분을 차지했으므로 더 나아가 ' 한반도, 한국, Korea' 자체를 가리키는 별칭으로도 쓰였다. 심지어 신라가 멸망한 후 고려 시대, 조선 시대까지도 쓰였다.[2][3] 가령 고려시대 고려를 여행한 중국인의 여행기 제목이 계림유사라거나, 일본의 ' 조선정벌기'에서 이순신에 대해 '충성과 용맹이 계림에서 으뜸이었다'라고 쓰기도 했다. 당연히 이순신은 신라가 아닌 조선시대 인물이므로, '계림'을 '조선(한국)'을 가리키는 말로 쓴 것.

일본어에서는 鷄林을 '케리무' 혹은 '케이린'으로 읽었다. 앞의 독음은 고대 한국어 중고한어의 독음에 가까운 독법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1.1.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1e1f,#fff>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남산 일원 |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불곡 마애여래좌상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칠불암 마애불상군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배동 삼릉 | 일성왕릉 | 정강왕릉 | 지마왕릉 | 경애왕릉 | 포석정지 | 서출지 | 나정
계림 | 월성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대릉원 | 오릉
황룡사지 | 분황사 모전석탑
명활성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colbgcolor=#315288> 경주 계림
慶州 鷄林
Gyerim Forest, Gyeongju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구비전승지
면적 23,023㎡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제작시기 신라 탈해왕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 Historic Areas
Zones historiques de Gyeongju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경상북도 경주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976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ⅱ)[4], (ⅲ)[5] }}}
파일:경주 계림.png
경주 계림비각의 사진.

위에서 말한 김알지가 태어났다고 알려진 장소. 작은 소나무 이다. 원래 이름은 시림(始林)이었지만 김알지가 태어난 이후 계림으로 바꿨다고 한다. 김알지 탄생 설화에 대해서는 김알지 문서 참조.

첨성대 경주 월성, 한옥마을인 교동마을 사이 지나가는 길에 있어서 근처를 다니면 저절로 지나가게 된다.

다만 현재 알려진 계림은 사실은 경주 향교의 홍수 방지용 숲이고 실제 계림은 다른 곳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설도 있다.
[clearfix]

1.2. 계림대도독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계림대도독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번 항목의 계림을 따와 당이 신라에 붙인 명칭이다. 당이 고구려, 백제를 제거하고 마지막 신라까지 차지할 속셈으로 김인문을 계림대도독부의 도독부주로 삼았지만, 이름만 계림대도독부주이고 신라는 국가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나당전쟁에서 신라가 승리하자 없던 걸로 되었다. 말그대로 이름만 있었을 뿐.

1.3. 계림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종(고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려 숙종이 왕이 되기 전에 받은 작위가 계림공이었다. 계림은 봉국, 공은 공작위를 의미한다. 자세한 건 숙종(고려) 문서 참고.

1.4. 계림궁

고려궁궐 별궁이다.

1.5. 계림문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계림문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계림출판사에서 1974년부터 1990년대까지 발간한 세계문학전집.

1.6. 계림잡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계림잡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라의 사서.

1.7. 계림고등학교

경상북도 경주시 황성동에 위치해 있다. 1985년 개교하였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계림고등학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산스크리트어 굴굴타아람마의 음차

굴굴타아람마(屈屈吒阿濫摩, kukkuṭārāma)의 음차 표기. 계림(鷄林)·계원(鷄園)으로 번역된다.

본래 마우리아 제국 아소카왕이 수도 동남쪽에 지은 사원
이었으나 기원전 180년 슝가 왕조의 불사밀다라왕에게 파괴되었다.

2. 桂林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이린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국 광시좡족자치구의 지급시로, 카르스트 지형의 빼어난 풍경으로 유명하다. 일명 송곳산이 즐비한 동네. 버덕들에게는 계림 대우객차유한공사로 알려진 도시이다.

3. 계림동

3.1. 광주광역시 동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계림동(광주광역시 동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경상북도 상주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계림동(상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업


[1] 경주의 이칭이자 도성의 이름인 ' 월성'도 '달'을 '월'로 훈차하여 표기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2] 마찬가지로, '고려', '조선' 역시 해당 왕조 국가뿐만 아니라 '한국' 자체를 가리키는 별칭으로도 쓰였다. 신라(동음이의어), 고려(동음이의어), 조선(동음이의어) 삼한 각 문서 참조. [3] 비슷하게 중국 또한 ''이 당 왕조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중국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으로 계속 불렸다. 가령 조선 임진왜란 선조와 조정 대신들이 명나라 원군을 ' 당군'이라 부른 기록도 있으며, '중국식 면'이라는 뜻의 ' 당면'도 그 잔재(당면은 청나라 때 조선으로 전래됐다). [4]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 [5]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