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8:53:12

Mk.12 SPR

mk12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기관포에 대한 내용은 콜트 Mk.1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양용포에 대한 내용은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Mk.12 SPR
Mark 12 Special Purpose Rifle
특수목적용 소총
파일:mk12mod0 0.jpg
Mk.12 Mod.0
파일:mk12mod1 0.jpg
Mk.12 Mod.1
파일:mk12modh 2.jpg
Mk.12 Mod.H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지정사수소총
원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2002년~현재
개발 NSWC 크레인
미합중국 육군 제5특전단
미합중국 육군사격술훈련부대
생산 NSWC 크레인
사용국
[[미국|]][[틀:국기|]][[틀:국기|]]
기종
원형 M16A1
M4A1
파생형 Mk.12 Mod.0
Mk.12 Mod.1
Mk.12 Mod.H
세부사항
탄약 5.56×45mm NATO
급탄 20, 30발 STANAG 탄창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
노리쇠 회전식
총열길이 457mm
전장 952mm
중량 4.5kg
유효사거리 549m }}}}}}}}}
1. 개요2. 역사3. 특징4. 종류
4.1. 정찰용 소총4.2. Mk.12 Mod.04.3. Mk.12 Mod.14.4. Mk.12 Mod.H
5. 기타
5.1. 다니엘 디펜스 Mk.12
6. 등장매체
6.1. 영화6.2. 게임
7. 출처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Mk.12 Mod.0 재현품 리뷰 영상 Mk.12 Mod.1 운용 영상
Mk.12 SPR(Special Purpose Rifle, 특수목적용 소총)은 미군의 제식 지정사수소총이다.

2. 역사

파일:m4-recce_craig(nsw) 0.jpg
미합중국 해군특수전개발단 대원의 RECCE
걸프 전쟁이 마무리된 1991년, 미합중국 육군 록 아일랜드 조병창에 민간인 신분으로 고용된 마크 웨스트롬(Mark Westrom)[1] 특수부대는 물론, 민간 사격술사업에도 쓰일 수 있는 AR-15 계열 기반의 지정사수소총과 경기 등급의 탄약의 개발을 추진했었는데,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에는 여러모로 시간과 자금이 필요한데다 베트남 전쟁 이후에 나름대로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었던 M14 NM이 훨씬 월등하다는 세간의 인식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하지만 유동 총열 같은 고급 내외장 부품이 달린 윗총몸의 교체와 전용 탄약의 사용을 통해 명중률을 끌어올리는 발상은 얼마 지나지 않아 미합중국 육군 제5특전단에서의 수요로 다시 부활하여 각 운용처의 입맞에 맞게 개조된 정찰용 소총이 널리 쓰이게 되자 1998년에 이르러서는 크레인 미합중국 해군 해상전연구지부 관할의 제1차 특수작전용 소화기 개조사업의 품목 중 하나인 특수목적용 윗총몸(Special Purpose Reciever) 명칭으로 편입되었다.
파일:mk12mod1_sfg 0.jpg
네이비 씰 대원의 Mk.12 Mod.1
그로부터 1년 가량이 지난 1999년 부로 미합중국 육군 제5특전단 사격술훈련부대의 협업을 거치면서 그동안의 들쭉날쭉한 부품 구성이 통일되기 시작했으며, 9.11 테러로 촉발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벌어진 직후인 2002년에는 아예 별개의 기종으로 따로 떨어져나간 다음 각기 다른 사양의 Mk.12 Mod.0과 Mk.12 Mod.1가 동시에 채택되어[2] 테러와의 전쟁에 많은 수가 쓰이다가 2011년을 기해 Mk.20 Mod.0 SCAR-SSR에게 자리를 내주고 일선에서 물러났다.
파일:m38-anpeq16b_sheet 0.jpg
미합중국 해병대의 M38
2007년에 들어서는 미합중국 해병대 제2원정군 또한 아프가니스탄에서의 긴급 요청에 따라 기존의 SAM-R(분대용 발전형 지정사수소총, Squad Advanced Marksman Rifle) 외에도 Mk.12 Mod.1이 소수 운용되기도 했지만, 2023년 기준 M27 IAR M38 SDMR로 모두 대체된 상태에 있다.

3. 특징

파일:mk262mod0 0.jpg
Mk.262 Mod.1
M16A1의 아랫총몸과[3] M4A1의 윗총몸이 조합된 개조형 AR-15 계열 기종이며, 다양한 제조사의 내외부 부품과 보조장비가 적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소음기 사용을 염두에 둔 Mk.262 Mod.0/1 저격용 탄약으로 인해 유효사거리 면에서도 향상이 이루어졌다.

반면에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고정식 개머리판이나 화약의 충분한 연소 시간에 필요한 긴 총열 때문에 비좁은 차량 헬리콥터 탑승이 빈번한 특수부대 사용자들에게서는 그리 환영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히려 도입 이전의 RECCE 형태의 운용이 계속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4. 종류

명칭 Mk.12 Mod.0 Mk.12 Mod.1 Mk.12 Mod.H
사진 파일:mk12mod0 0.jpg 파일:mk12mod1 0.jpg 파일:mk12modh 2.jpg
연도 2002년~불명 2002년~현재 불명~현재
재고번호 1005-LL-L99-1083(SPR)
1005-01-504-3275
1005-LL-L99-1083(SPR/A~B)
1005-01-504-3276
불명
윗총몸 콜트/디마코 M4A1 콜트/디마코 M4A1 콜트/디마코 M4A1
아랫총몸 콜트/ GM-HM M16A1 콜트/GM-HM M16A1 콜트/GM-HM M16A1
개머리판 콜트 A1~2
콜트 M4 3세대
LMT L7LA2BA
콜트 A1~2
콜트 M4 3세대
LMT L7LA2BA
콜트 M4 3세대
LMT L7LA2BA
에이스 SOCOM
총열 더글라스 배럴 18인치 더글라스 배럴 18인치 노브스키 16인치
총열덮개 PRI 1~3세대 KAC M4 매치 FF RAS PRI 3세대
소염기 OPS 12th 모델 SPR OPS 12th 모델 SPR OPS 12th 모델 SPR
부착대 ARMS #38 SPR MOD 없음 PRI 레키 레일

4.1. 정찰용 소총

파일:m4a1-recce_1sfodd 0.jpg
델타 포스 대원의 M4A1 RECCE
1990년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높은 명중률과 유효사거리를 가지면서도 근접전에도 쓰일 수 있도록 자동발사 기능이 유지된 CAR-15 계열의 원형. 이는 미합중국 육군 델타포스 미합중국 해군 네이비 씰 등에서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정식 사업과는 별개의 개조를 거쳤기 때문에 제각각 다른 모습을 하고 있으며, 정찰용 소총(Reconnaissance Rifle) 또는 속칭인 레키(RECCE)로 불리기도 한다.

4.2. Mk.12 Mod.0

파일:mk12mod0_sfg 2.jpg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 Mk.12 Mod.0
미합중국 육군 제5특전단에서 제시된 SPR 기반의 파생형. PRI(프리시젼 리플렉스, Precision Reflex Inc) 사의 1~3세대 원통형 총열덮개를 위주로 짜여져 있으며, 2002년부터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 제75레인저연대에서 운용되었다.

4.3. Mk.12 Mod.1

파일:mk12mod1_usmc 2.jpg
미합중국 해병대 Mk.12 Mod.1
크레인 미합중국 해군 해상전연구부문(NSWC Crane)에서 제시된 SPR/A~B 기반의 파생형. KAC 사의 M4 매치 FF RAS 총열덮개를 위주로 짜여져 있으며, 2002년부터 미합중국 해군 네이비 씰 미합중국 공군 특수전술대대를 중심으로 쓰이다가 2007년 미합중국 해병대 제2원정군에도 소량 도입되기도 했다.

4.4. Mk.12 Mod.H

파일:mk12modh_sfg 0.jpg
2021년 국제저격수대회에서의 Mk.12 Mod.H[4]
미합중국 육군 제5특전단 출신인 스티브 홀랜드(Steve Holland)[5] 상사가 직접 고안한 정찰용 소총(RECCE) 형태로, 노베스키(Noveske) 사의 16인치 총열과 프리시젼 리플렉스(PRI) 사의 레키 레일 부착대를 통해 식별이 가능하며, 이는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에서만 운용된다.

2021년에 개최된 미합중국 육군특수작전사령부 주관의 국제저격수대회에 SU-294/PVS S-VPS(분대용 가변배율조준경, Squad-Variable Power Scope)이 부착된 모습을 비추어 여전히 현용 상태에 있음을 알렸다.

5. 기타

5.1. 다니엘 디펜스 Mk.12

파일:external/files.harrispublications.com/twnd15-mk12-lead-682x383.1444157303.jpg
DD Mk.12
제2차 특수작전용 소화기 개조 사업에 포함된 RIS II 총열덮개의 제조사인 다니엘 디펜스 사의 Mk.12 윗총몸이 결합된 완성품. 2014년 SHOTSHOW에서 처음 공개되어 2023년에도 시판 중에 있으나 군경기관에 채택된 이력은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보인다.

6. 등장매체

6.1. 영화

파일:LFDH-Mk12SPR-3.jpg }}} ||
매튜 패럴을 향한 저격 장면
* 다이 하드 4.0 - 랜드(시릴 라파엘리 분)가 Mk.12 Mod.0을 사용한다.
파일:800px-Lone65.jpg }}} ||
마커스 러트렐의 교전 장면
* 론 서바이버 - 마커스 러트렐( 마크 월버그 분)과 매튜 액셀슨( 벤 포스터 분)이 Mk.12 Mod.1을 사용한다.
파일:external/www.imfdb.org/AmericanSniper_Mk12_%281%29.jpg }}} ||

6.2. 게임


7. 출처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8, XM29, LSAT
지정사수소총 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MSG90, SIG716
저격소총 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Mk.22, RC-50, XM109
산탄총 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 M3A1, MP5A3, MP5A5, MP5K, MP5SD3, M635, APC9K, MPX, P90 TR
권총 리볼버 M15, GS32N
자동권총 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 M60, M134, M240
중기관총 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 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 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 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 M3, M3A1, M67, M136
박격포 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 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A1 URG-I, N4, M723, M727, M733,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 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 M25, M91, Mk.15, Mk.21, TAC-338, LRP-07, RPR
기관단총 MP5-N, MP7A1, UMP45
권총 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 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 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 수류탄 살상탄 M67, M111, Mk.3, Mk.21, ET-MP
섬광탄 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 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 M100
지뢰 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 총검 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 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 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 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 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 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스토너 계열 총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2a4e> AR-10 SR-25, Mk.11, M110, MARS-H, RSASS, HK417, OBR, MRGG, G28, M110A1, LR-308, FD338, ULR 338, ALR-338, SIG716, Mk.18 Mjolnir, DRD Kivaari, BT-6, Mk.47, MPT-76, REC10, M23
AR-15 <colbgcolor=#002a4e> 미군 <colbgcolor=#002a4e> 돌격소총 M16, M16A1, M16A2, M16A3, M16A4, M4, M27, M231, Mk.18, CAR-15, XM177, GAU-5, M733, Noveske N4
지정사수소총 M655/656, Mk.12, SAM-R, SDM-R, RECCE
미국 돌격소총 M6, 허니뱃저, M16A2E2, LR-300, CM901, IAR, MARS, REC7, ACR, SR-47, XM-15, SIG M400, SIG516, KAC PDW, KAC SR-15, KAC KS-1, FAXON ARAK, BCM RECCE, STR-15S, URG-I, Radian Model 1, MARS-L, M&P15, MOE Carbine
기관단총 M635, AR-57, Mk.57, CMMG FourSix, UDP-9
권총 OA-93
기관총 CMG-1, 아레스 슈라이크 5.56 시스템
캐나다군 돌격소총 C7, C8, IUR
지정사수소총 C7CT, C8CT, C20
캐나다 돌격소총 SA20, SA15.7
기관총 C7 LSW
유럽 HK416, NARP, STM556, WAC-47, STM-9, ADAR 2-15
동아시아 K13, DSAR-15PC, T65, T86, T91, CQ 5.56, CAR816, T112
그 외 G5, KH-2002, UTAS XTR-12, Safir Arms T-14, Gilboa DBR Snake
AR-16 AR-18, M17S, T2, 89식 소총, SA80, SAR-80, SR-88, SAR-21
기타 AR-1, AR-3, AR-5, AR-7, 스토너 63, KAC ChainSAW, 아레스 FMG
}}}}}}}}} ||


[1] 연방 살상용 무기 금지법안이 통과된 1994년에 아말라이트 사를 인수한 인물이기도 하다. [2] 이러한 배경에는 운용처 간의 알력 다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PRI 사의 Gen I~III 총열덮개 공급이 실전에서의 수요를 못따라가면서 택한 대안이 KAC 사의 M4 매치 FF RAS였다는 시각도 있다. [3] 개중에는 제너럴 모터스 사의 하이드라매틱 부서의 것도 있다. [4] 특이하게도 해당 사수는 부무장으로 제식이 아닌 FN 아메리카 사의 FN 509 Tactical FDE를 장비했다. [5] 본 SPR 사업의 중심에 있는 인물 중 하나이며, 사거리 및 명중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6.8mm SPC 탄약 개발까지 관여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