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d2273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군청
합천읍
|
|||
면 | 가야면 | 가회면 | 대병면 | 대양면 | |
덕곡면 | 묘산면 | 봉산면 | 쌍백면 | ||
쌍책면 | 야로면 | 용주면 | 율곡면 | ||
적중면 | 청덕면 | 초계면 | 삼가면 |
합천군의
면 쌍백면 雙栢面 | Ssangbaek-myeon |
|||
<colbgcolor=#ef312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합천군 | ||
행정표준코드 | 5480050 | ||
관할 법정리 | 13리 | ||
하위 행정구역 | 27행정리 51반 | ||
면적 | 63.30㎢ | ||
인구 | 1,694명[1] | ||
인구밀도 | 26.7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 |
|
김태호 (3선) | ||
경상남도의원 | 합천군 선거구 | |||
|
장진영 (초선) | ||
합천군의원 | 라 선거구 | |||
|
성종태 (초선) | ||
|
신경자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쌍백중앙로 63 (평구리 523-1) | ||
쌍백면사무소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합천군의 면, 대양면, 삼가면, 가회면, 의령군 궁류면, 봉수면과 맞닿아 있다.2. 역사
연혁 | 내용 |
1914년 | 상곡면(上谷面), 유린면(有麟面)의 양전동 일부를 병합 상백면(上栢面)이 됨 |
1929년 4월 1일 | 지방행정구역 변경으로 백산면(栢山面) 6개리를 병합, 상백(上栢)과 백산(栢山)의 두 백 자를 따서 쌍백면(雙栢面)으로 칭함 |
1969년 | 면청사 이전(쌍백면 평구리 533-2에서 평구리 523-1로 이전) |
1990년 | 현청사 신축(철근 콘크리트 2층 543㎡) |
3. 지명 유래
3.1. 평구리
평구1구 마을은 쌍백면 소재지 700m 동쪽에 위치하며 쌍백-봉수를 잇는 지방도 60호선과, 함안군 칠원읍 합천군 가회면 도탄리를 잇는 지방도 1041호와 접해 있으며 양지, 음지, 도란젙 3개(기본현황 표에는 2개임)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양지마을 : 국지도 60호선에 연접해있으며 해가 뜨면 햇빛이 바로 비치는 쪽 마을이라 양지 또는 양지담이라 한다.
* 음지마을 : 대곡천을 경계로 남동쪽에 위치하고 해가 뜨면 뒷산에 가려 햇빛이 늦게 들어 음지, 음달담이라 한다.
* 도란젙 : 지방도 1041호가 마을 앞을 지나며 대현천을 바라보며 남쪽을 향해 “돌아 앉았다”(토라졌다)라는 어원이 굳어져 도란젙이라 한다.
* 음지마을 : 대곡천을 경계로 남동쪽에 위치하고 해가 뜨면 뒷산에 가려 햇빛이 늦게 들어 음지, 음달담이라 한다.
* 도란젙 : 지방도 1041호가 마을 앞을 지나며 대현천을 바라보며 남쪽을 향해 “돌아 앉았다”(토라졌다)라는 어원이 굳어져 도란젙이라 한다.
평구 2구는 갈마골, 새터, 주막, 당진 4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쌍백면 소재지마을로 교통중심지이며 주막이라 하여 옛날에 행인들이 쉬어가는 곳이기도 하다.
* 갈마골 마을 : 소재지에서 약 300m 가량 떨어진 동남쪽 조그만 골짜기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 새터마을 : 소재지 북쪽에 위치한 신생 자연 마을로 옛날에는 하천이 대부분이고 밭이었다. 합천대로 변에 위치하고 있다.
* 주막마을 : 현재 면소재지 중심지에 위치한 마을이다. 옛날 주막이 한 두집 있던 것이 지금은 면내 주요기관, 상가, 학교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 당진마을 : 소재지 동북쪽에 위치한 자연마을로 일찍부터 발전해 왔다.
* 새터마을 : 소재지 북쪽에 위치한 신생 자연 마을로 옛날에는 하천이 대부분이고 밭이었다. 합천대로 변에 위치하고 있다.
* 주막마을 : 현재 면소재지 중심지에 위치한 마을이다. 옛날 주막이 한 두집 있던 것이 지금은 면내 주요기관, 상가, 학교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 당진마을 : 소재지 동북쪽에 위치한 자연마을로 일찍부터 발전해 왔다.
평구리에 속해 있는 안구마을은
합천대로 서쪽으로 약 300m정도 떨어져 있는 마을로 소재지에서 1㎞ 정도의 거리이다. 또 하안마을은 면 소재지에서 800m 정도의 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 안구(安邱) : 양천강변에 위치한 마을로 죽산박씨가 임진왜란 때 투거하여 집성촌을 이루었다.
* 하안(下安) : 면 소재지에서 800m 거리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국도 33호선에서 약 300m 정도 거리에 있는 마을이며, 안사이라고도 한다.
* 하안(下安) : 면 소재지에서 800m 거리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국도 33호선에서 약 300m 정도 거리에 있는 마을이며, 안사이라고도 한다.
3.2. 육리
육리(陸里)는 본래 삼가현 백동면(三嘉縣 栢洞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반개골, 향묵(香墨), 묵동(墨洞), 새터, 누우실, 어리골 등 여섯 개 마을을 병합하여 육리(陸里)라 해서 합천군 상백면(上栢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본 리동은 향묵, 묵동, 신기 등 3개의 행정리에 방가동, 숲동, 예산곡, 묵골, 통정, 새터, 먹곡, 누우곡, 어유곡 등 9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육리의 인구는 2015년 10월 1일 현재 119가구에 233명인데 남자가 95명, 여자가 138명이다.
- 향묵마을은 방가동, 숲동 2개 자연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 방가동 : 소재지 2㎞ 동북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일명 방개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 숲 동 : 소재지에서 2.5㎞ 동북쪽에 있는 자연마을로 마을 위쪽에 수백년 된 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어 일명 숲동이라고 한다.
- 묵동 마을은 예산곡, 묵곡, 2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예산곡 : 소재지에서 2.8㎞ 떨어져 있으며 묵곡마을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조그만 마을이다.
- 묵곡(墨谷) : 육리의 본 마을이며 소재지에서 3㎞ 동북쪽 지점이며 국지도 60호선과 연접해 있으며 오래전부터 초계정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마을이다.
- 신기마을은 통정, 새터, 누우곡, 어유곡의 4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위치는 육리마을 위 동쪽이며, 면소재지에서 4㎞지점에 있다.
- 통정(桶井) : 신기마을의 서쪽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 입구 통모양의 샘이 있어 이름을 따서 통샘이라고 한다.
- 새 터 : 새로 생긴 동네.
- 먹 곡 : 새로 생긴 골짝동네.
- 누우곡 : 신기마을 남동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 어유곡 : 신기마을 동쪽에 있는 마을
3.3. 대곡리
대곡(한실)리는 본래 삼가현 백동면(三嘉縣 柏洞面)의 지역으로서 큰 골짜기가 되므로 한실 또는 대곡(大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능동(陵洞) 일부를 병합하여 대곡이라 해서 합천군 상백면(陜川郡 上栢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에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대곡리는 대곡 1개의 행정리에 배재, 한실 2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15년 10월 1일 현재 32가구에 65명인데 남자가 27명, 여자가 38명이며, 대곡 마을은 배재, 한실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배재 : 면 소재지에서 6㎞ 동북쪽에 위치하여 교통이 불편한 오지이며, 군내버스가 하루 4회 운행되고 있다.
* 한실 : 한실마을은 면소재지에서 5.5㎞ 거리에 있는 마을로 대곡리 본동이다. 사방 산으로 싸여 있어 아주 아늑한 마을로 한때는 번창하여 쌍백, 의령 봉수면의 중심역할을 했다.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급격히 변해버렸다.
* 한실 : 한실마을은 면소재지에서 5.5㎞ 거리에 있는 마을로 대곡리 본동이다. 사방 산으로 싸여 있어 아주 아늑한 마을로 한때는 번창하여 쌍백, 의령 봉수면의 중심역할을 했다.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급격히 변해버렸다.
3.4. 대현리
대현리(大峴里)는 본래 삼가현 상곡면(三嘉縣 上谷面)의 지역으로서 한태재 밑이 되므로 한티, 한태 또는 대현(大峴)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대현리(大峴里)라 해서 합천군 상백면(上栢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대현리는 대현 1개의 행정리에 법수동, 골한태, 용계동 등 3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15년 10월 1일 현재 45가구에 65명인데, 남자가 28명, 여자가 34명이며, 대현마을은 법수동, 골한태, 용계동 3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법수동(法守洞) : 소재지에 6.5㎞ 동쪽에 위치하며 의령군 궁유면과 경계한 마을이다. 지리상으로 산곡 깊숙이 자리하여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 골한태 : 대현마을의 중심마을이며 면 소재지에서 5㎞거리에 위치하며, 의령군 궁유면과 접경하여 궁유면, 본면 대곡으로 넘어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 용계동(龍溪洞) : 용계동 마을은 아랫마을 안계(안동)와 접경한 동네로 안동 북쪽에 위치하며 동서로 흩어져 있는 마을이다.
* 골한태 : 대현마을의 중심마을이며 면 소재지에서 5㎞거리에 위치하며, 의령군 궁유면과 접경하여 궁유면, 본면 대곡으로 넘어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 용계동(龍溪洞) : 용계동 마을은 아랫마을 안계(안동)와 접경한 동네로 안동 북쪽에 위치하며 동서로 흩어져 있는 마을이다.
3.5. 안계리
안계리(安溪里)는 본래 삼가현 상곡면(三嘉縣 上谷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안동(安洞), 평지(平地) 등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안계리(安溪里)라 하여 합천군 상백면(陜川郡 上栢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안계리는 안계(安溪)마을과 월계(月溪)마을의 2개 행정리와 안동, 용계동, 온월, 막골 등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고 인구는 2015년 10월 1일 현재 68가구에 116명인데 남자가 53명, 여자가 63명이다.
* 안동, 용계동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안동(安洞) : 안계리 본동이며 면소재지에서 4㎞ 지점 동남쪽에 위치하며 김녕김씨가 수백년 동안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마을이다.
* 용계동(龍溪洞) : 안동마을 북쪽에 위치하며 동쪽은 대현리 용계동과 북쪽은 쌍백면 육리마을과 경계하고 있다. 거리는 면소재지에서 4㎞지점이다.
* 용계동(龍溪洞) : 안동마을 북쪽에 위치하며 동쪽은 대현리 용계동과 북쪽은 쌍백면 육리마을과 경계하고 있다. 거리는 면소재지에서 4㎞지점이다.
- 월계마을은 온월, 막골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온월(溫月) : 안계마을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면소재지에서 4㎞거리에 있다.
- 막골(幕谷) : 온월마을의 북쪽에 있으며 옛날 막사가 있어서 막골이라고 불린다.
3.6. 평지리
평지리(平地里)는 본래 삼가현 상곡면(三嘉縣 上谷面)의 지역으로서 평평한 땅이 되므로 평지(平地)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안동(安洞)일부와 백동면(栢洞面)의 평구동(平邱洞)일부를 병합하여 평지리(平地里)라 하고 합천군 상백면(陜川郡 上栢面)에 편입 되었다가 1929년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평지리는 중촌마을과 평지마을 2개의 행정리와 듬밑, 평지, 고정, 새터, 안담 등 5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고 인구는 2015년 10월 1일 현재 112가구에 205명인데, 남자가 93명, 여자가 112명이다.
* 중촌마을은 새터, 안담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새터 : 새로 터를 잡아 마을을 이루었다 하여 새터라 일컬었으며, 평지마을 동쪽에 위치하며 면소재지에서 3㎞ 지점이다.
* 안담 : 중촌마을 본동이며 일찍부터 마을을 이루어 살고 있었으며 소재지에서 3㎞지점에 있는 마을이다.
* 안담 : 중촌마을 본동이며 일찍부터 마을을 이루어 살고 있었으며 소재지에서 3㎞지점에 있는 마을이다.
- 평지마을은 듬밑, 평지, 고정 3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듬밑 : 듬밑마을은 평지마을의 동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작은 채봉듬이 있어서 마을 이름을 듬밑이라고 한다.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2.8㎞ 지점이다.
- 평지(平地) : 평지리의 본동이며 소재지에서 2.5㎞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임진왜란때 군사지로 가마솥을 걸어서 군사들 밥을 지어서 먹는 곳이라 하여 부동이라고도 한다.
- 고정(高井) : 고무샘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고정이라 이름지어졌다. 평지마을의 서쪽에 위치하며 소재지에서 1㎞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3.7. 외초리
외초리(外草里)는 본래 삼가현 상곡면(三嘉縣 上谷面)의 지역으로 사인(士仁) 바끝사인 또는 외초동(外草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외초리(外草里)라 해서 합천군 상백면(陜川郡 上栢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외초리는 현재 행정리인 어파마을, 내초마을, * 외초마을에 어파, 사인, 숲동, 외담, 내담 등 5개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117가구에 199명인데 남자가 96명, 여자가 103명이다.
* 외초마을은 사인, 숲동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삼가면 동리 남동쪽에 있으며 쌍백면 소재지까지는 6㎞거리에 있으며 함안이씨, 김녕김씨 양성의 집성촌이다.
* 사인 : 외초리의 중심마을로 소재지에서 6㎞거리에 남동쪽에 자리 잡고 있는 마을, 함안이씨가 집성을 이루어 수백년 동안 대를 이어 온 마을이다.
* 숲동 : 사인마을과 인접한 마을로 김녕김씨가 주로 집성을 이루고 있다. 마을 숲이 좋아 숲동이라고 한다.
* 어파 : 어파마을은 외초리에 속해 있는 마을로 옛날부터 어파못이 있어서 어파라고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삼가면 동리마을의 동북쪽에 있으며 소재지에서 5㎞거리로 예로부터 곡부공씨의 집성촌이다.
* 숲동 : 사인마을과 인접한 마을로 김녕김씨가 주로 집성을 이루고 있다. 마을 숲이 좋아 숲동이라고 한다.
* 어파 : 어파마을은 외초리에 속해 있는 마을로 옛날부터 어파못이 있어서 어파라고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삼가면 동리마을의 동북쪽에 있으며 소재지에서 5㎞거리로 예로부터 곡부공씨의 집성촌이다.
- 내초마을은 외초리에 속해 있는 행정리 마을로 외담, 내담의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위치는 면소재지에서 6.5㎞떨어져 있는 아주 깊은 골짜기 마을이다.
- 외담 : 내초 마을의 입구에 있는 자연마을로 바깥쪽에 위치하여 외담 또는 바깥담이라고 한다.
- 내담 : 내담은 내초마을의 안쪽에 위치한 자연마을로 안쪽에 위치하여 내담, 또는 안담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3.8. 죽전리
죽전리(竹田里)는 본래 삼가현 백산면(三嘉縣 栢山面)의 지역으로서 대나무 밭이 많았으므로 대밭 또는 죽전(竹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백전면(栢田面)의 안구(安邱)등을 병합하여 죽전리(竹田里)라 해서 합천군 백산면(陜川郡 栢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죽전리는 행정리인 죽전마을과 이암마을에 골담, 죽전, 새터, 귀바위 등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15년 10월 1일 현재 58가구에 117명인데, 남자가 51명, 여자가 86명이다.
* 죽전마을은 골담, 죽전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면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2㎞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 골담 : 이 마을은 죽전마을 한복판 깊은 골에 인가가 형성되어 있어 집단적으로 살고 있다. 그 골짜기 마을을 골담이라고 부른다
* 죽전(竹田) : 죽전마을은 골담외의 전체마을이며, 죽전리의 중심마을이다. 옛날 대나무가 많이 있어 대밭 또는 죽전이라고 한다.
* 골담 : 이 마을은 죽전마을 한복판 깊은 골에 인가가 형성되어 있어 집단적으로 살고 있다. 그 골짜기 마을을 골담이라고 부른다
* 죽전(竹田) : 죽전마을은 골담외의 전체마을이며, 죽전리의 중심마을이다. 옛날 대나무가 많이 있어 대밭 또는 죽전이라고 한다.
- 이암마을은 새터, 귀바위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위치는 면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3.5㎞거리에 있고 죽전마을과 삼리마을 중간에 위치한 마을이다. 이암이라는 유래는 동네 부치박골에 있는 바위모양이 미륵불 귀같이 생겼다하여 귀바위라고 불리어지고 있다.
- 새터(신기) : 이암마을에 속해 있는 새로 생긴 마을이며 새로 터를 잡아서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새터라고 한다.
- 귀바위(이암) : 길가 큰 밭에 돌부처가 있는데 바위 모양이 큰 귀같이 생겨 귀바위라고 이름 붙여졌다.
3.9. 삼리
삼리(三里)는 본래 삼가현 백산면(三嘉縣 栢山面)의 지역으로서 거창(居昌), 합천(陜川), 산청(山淸)으로 가는 세 갈래의 길이 있으므로 삼거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삼리(三里)라 해서 합천군 백산면(陜川君 栢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삼리는 삼리마을 1개의 행정리에 삼거리 1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40세대 61명(남 26명, 여35명)이다.
- 삼거리 : 면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6㎞거리에 있는 깊은 골짜기이다. 가회면, 용주면, 삼가면과 연접하는 마을이다.
3.10. 하신리
하신리(下新里)는 본래 삼가현 백산면(三嘉縣 栢山面)의 지역으로서 새마을 아래쪽이 되므로 하신(下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술곡동(述谷洞), 운곡동(雲谷洞)일부와 백동면(栢洞面)의 평구동(平邱洞)일부를 병합하여 하신리(下新里)라 해서 합천군 백산면(陜川郡 栢山面)에 편입되었다. 하신리는 하신마을과 술곡마을 2개의 행정리에 높은 한길, 새터, 숲실, 담안 등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고 있고, 인구는 84가구에 136명인데, 남자가 62명, 여자가 74명이다.
* 행정리 하신마을은 높은 한길, 새터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치는 면소재지에서 2㎞지점이며, 국도 33호선 상에서 1㎞ 정도 떨어져 있으며 본동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신이라고 부르고 있다.
* 높은 한길 : 이 마을은 하신 본동으로 위치는 면소재지에서 북쪽으로 2.5㎞지점에 있으며 인천이씨의 집성촌으로 이루어져 있다.
* 새터 : 새로 터를 잡아 이룬 마을로 새터라고 부르고 있다.
* 새터 : 새로 터를 잡아 이룬 마을로 새터라고 부르고 있다.
- 술곡마을은 숲실, 담안의 2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위치는 하신리의 서쪽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면소재지에서 3㎞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 숲실 : 술곡의 원마을이다. 아주 깊은 골짝마을로 밖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숲이 아주 좋고 많은 곳으로 숲실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 담안 : 숲실 안쪽에 있는 마을이다.
3.11. 운곡리
운곡리(雲谷里)는 본래 삼가현 백산면(三嘉縣 栢山面)의 지역으로서 음트골 또는 음기(音基), 운곡(雲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백역동(栢亦洞)일부를 병합하여 운곡리(雲谷里)라 해서 합천군 백산면(陜川郡 栢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에 쌍백면(雙山面)에 편입되었다. 운곡리는 현재 운곡마을과 원전마을 2개의 행정리에 원운곡, 평촌, 비아동, 원앞, 논골 등 5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고, 인구는 2015년 10월 1일 현재 64가구에 108명인데, 남자가 47명, 여자가 61명이다.
* 운곡마을은 원운곡, 평촌, 비아동 3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치는 면소재지에서 4㎞ 북서쪽에 있으며 과거 백산면 소재지 마을이다.
* 원운곡(原雲谷) : 운곡리마을의 중심마을이며 위치는 면소재지에서 4㎞지점에 있다.
* 평촌 : 원운곡 옆에 있는 조용한 마을이다.
* 비아동 : 운곡마을 북동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다.
* 평촌 : 원운곡 옆에 있는 조용한 마을이다.
* 비아동 : 운곡마을 북동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다.
- 원전마을은 원앞 논골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위치는 면사무소에서 3㎞ 국도 33호선에 연접한 마을이다.
- 원앞 : 원전의 중심마을로 면소재지에서 북쪽으로 3㎞지점에 있다.
- 논골 : 원앞마을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3.12. 백역리
백역리(栢亦里)는 본래 삼가현 백산면(三嘉縣 栢山面)의 지역으로서 잣나무가 많으므로 자시 또는 백역(栢亦)이라 하며 합천군 백산면(陜川郡 栢山面)에 편입되었다. 백역리(栢亦里)는 현재 백역(栢亦)마을과 하허(何許)마을 2개의 행정리에 자시, 백역, 먹골 등 3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고, 인구는 67가구에 114명인데 남자가 46명, 여자가 68명이다.
* 백역마을은 자시, 백역 2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자시 : 원 시초에 생긴 마을 이름으로 개정지이라 하기도 하고 면소재지 5.5㎞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 백역 : 잣나무가 많이 있어 백역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하며, 면소재지에서 약 5.5㎞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 백역 : 잣나무가 많이 있어 백역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하며, 면소재지에서 약 5.5㎞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 하허마을은 먹골 자연마을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 먹골 : 백역리에 속하는 마을로 면소재지 약 5.5㎞지점에 있고 북쪽에 위치한 깊은 골짜기 마을이다.
3.13. 장전리
장전리(長田里)는 삼가현 백산면 (三嘉縣 栢山面)의 지역으로서 긴 밭이 있으므로 진밭골, 또는 장전(長田), 장전동(長田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멱곡동(覓谷洞)을 병합하여 장전리(長田里)라 해서 합천군 백산면(栢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29년 쌍백면(雙栢面)에 편입되었다. 장전리는 현재 장전, 멱곡마을 2개의 행정리에 장승배기, 진밭골, 멱실, 주막등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고, 인구는 50가구에 103명인데 남자가 55, 여자가 48명이며, 장승배기, 진밭골 2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장승배기 : 이 마을은 면소재지에서 4㎞거리에 있는 마을로 국도 33호선과 연접해 있는 마을이다.* 진밭골(長田) : 장전리의 제일 큰 마을로 북쪽 골짜기에 형성되어 있다.
- 멱곡마을은 멱실, 주막 2개의 자연마을로 나누어 형성되어 있다.
- 멱실 : 멱곡마을의 본동이며, 면소재지에서 6.5㎞거리에 있으며 전시에 피난지로 알려져 있다.
- 주막 : 국도 33호선 도로변에 있어 지나가는 행인들 휴식처로 주막 역할을 하여 이름 지어졌다.
4. 특징
면소재지는 평구리이다. 33번 국도 변에는 합천관광휴게소가 있다. 다행히 이 면은 33번 국도, 60번 지방도, 1041번 지방도 등이 지나가기 때문에 교통에 대한 어려움은 없는 편이다. 또한 과거 상백면과 백산면이 통합해 쌍백면으로 개칭이 되었다. 원래는 쌍백면이 둘로 나뉘어져 있었다.5. 교통
33번 국도, 60번 지방도, 1041번 지방도가 지나간다. 또한 시외버스, 시내버스 등이 운행중이다.6. 교육
초등학교 - 쌍백초등학교 (공립)7. 출신 인물
[1]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