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3:03:21

함안 말이산 고분군

말이산 고분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대성동 고분군

말이산 고분군

옥전 고분군

지산동 고분군

송학동 고분군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colbgcolor=#315288> 함안 말이산 고분군
咸安 末伊山 古墳群
Ancient Tombs in Marisan Mountain\, Haman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 경남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484 등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수량/면적 797\,282.5㎡
지정일 2011년 7월 28일
소유단체 함안군
관리단체 함안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가야고분군
Gaya Tumuli
Tumuli de Gaya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경상남도 함안군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1666
등재연도 2023년
등재기준 (ⅲ)[1] }}}
파일:말이산 고분군 전경.jpg
함안 말이산 고분군의 전경[2]

1. 개요
1.1. 고분의 명칭
2. 상세3. 주요 고분4. 사적 제515호
4.1. 사적 제84호(지정해제)4.2. 사적 제85호(지정해제)4.3. 경상남도 기념물 제226호(지정해제)
5. 여담6. 관련 영상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와 말산리 그리고 가야리에 일대에 위치한 안라국/아라가야의 대규모 고분군이다. 현재의 함안군 가야읍 일대는 옛 안라국의 중심지로 비정되며 인근에 안라국의 왕궁지로 추정되는 함안 가야리 유적이 있고 이 중심지를 방어하는 산성들이 가야읍 주변으로 분포한다.

1963년 1월 21일 함안도항리고분군(咸安道項里古墳群)과 함안말산리고분군(咸安末山里古墳群)이 각각 대한민국의 사적 제84호, 제85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같은 산의 능선에 안라국 세력이 순차적으로 조성한 유적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현대의 행정구역이 다르단 이유로 두 고분군으로 나눴기에 다소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었다. 결국 2011년 7월 28일 각 고분군을 사적에서 지정 해제한 뒤 하나로 묶어서 '함안 말이산 고분군'이라는 명칭으로 새로이 사적으로 지정하였다.[3]

또한 2021년 4월 27일에는 문화재청 문화재청공고제2021-187호를 통해 경상남도 기념물 제226호로 지정된 함안 남문외 고분군(咸安 南門外 古墳群)을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 추가할 것을 예고했다. 이는 남문외 고분군의 발굴 조사로 인해 두 고분군 사이의 역사적 연관성이 확인되어 결정된 사항이다. # 이후 2021년 7월 29일 함안 남문외 고분군을 경상남도 기념물에서 지정해제하고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편입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말이산 고분군의 지정 구역을 25만 1596 ㎡ 정도 확대하여 지정 면적이 총 77만 8820 ㎡로 늘어나 규모로는 경남에서 최대, 전국에서는 두 번째인 고대 무덤 유적이 되었다.

2023년 9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4]에서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북특별자치도 등에 소재한 여러 가야계 고대 국가의 고분군들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1.1. 고분의 명칭

과거에는 연구자와 연구 단체에 따라서 고분에 제각기 다른 번호를 부여하여 고분마다 부여된 번호가 아주 난잡했다. 현재는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호칭체계를 통일했지만, 불과 2000년대까지만 해도 말이산 고분군과 관련된 고분을 공부하려면 먼저 고분 번호부터 암기해야 했다. 말이산 고분군 명칭을 난잡하게 붙였다가 정리한 대강의 사정은 다음과 같다.

이후 말이산 고분군 발굴은 말이산 100호와 101호 부근으로 말이산의 남단까지 내려갔는데[9] 명칭 문제를 어느 정도 정리하였기 때문에 이후의 고분에는 호칭 문제가 거의 없다.

2. 상세

파일:도항리 고분군 위치.jpg
함안군 가야읍 일대 유적 분포도
함안군 가야읍 일대는 옛 안라국의 중심지로 왕궁지로 추정되는 함안 가야리 유적을 중심으로 안라국의 유적들이 산재해 있다. 특히 말이산 고분군은 크게 함안 가야리 유적 바로 아래에 서쪽 구릉(서말이산)에 위치한 옛 남문외 고분군 권역과 도항리와 말산리 일대에 동쪽 구릉(동말이산)에 위치한 옛 도항리고분군, 말산리 고분군 권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해발 60m 안팎인 낮은 봉우리들이 2km에 걸쳐 늘어선 산등성이 위에 지름 약 40m에 달하는 대형 고분들이 줄지어 있다.

특히 말이산 고분군을 비롯한 안라국의 영역 또는 영향력 아래의 지역이었던 곳의 유적에서는 안라국 특유의 화염문투창고배로 대표되는 안라국 양식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말이산 고분군에서도 화염문투창고배가 많이 나왔다.[10] 그뿐만 아니라 안라국 특유의 오리나 새 모양 장식이 있는 유자이기(有刺利器)[11]가 출토되는 것이 특징이며 말이산 고분군의 대형분들을 비롯한 일대의 상위 신분의 무덤에서만 출토된다. 이 일대의 지명을 비롯해 왕릉급의 고분, 왕성의 존재[12], 양식화된 토기들, 정체성을 표상하는 유물들의 존재로 말미암아 안라국의 중심지로 보는 데에 이견이 없고, 그 중심에 말이산 고분군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말갑옷, 배모양토기, 집모양토기 등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이 출토된 곳이기도 하다.

3. 주요 고분

4. 사적 제515호

Ο 함안 말이산 고분군은 본래 함안도항리고분군(사적)과 함안말산리고분군(사적)으로 분리되어 있던 것을 2011년 7월 28일 역사적 특성을 고려하여 같은 산자락에 걸쳐 있는 두 고분군을 통합하여 함안 말이산 고분군(사적)으로 재지정한 것임

Ο 아라가야 왕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37기의 대형 고분들이 높은 곳에 열을 지어 위치하여 있는 이 고분군은 일제 강점기 때 처음 조사되었는데, 당시 34호분(현 4호분)은 봉토의 지름이 39.3m, 높이가 9.7m나 되는 큰 규모의 무덤이었음. 최근에는 8호분 조사를 통해 다섯 사람의 순장 인골이 확인되었음

4.1. 사적 제84호(지정해제)

삼한시대에 함안을 중심으로 한 변진의 안야국이 있던 이 일대는 낮은 평야가 펼쳐져 있는데, 그 뒤의 높은 지대로부터 남쪽과 동쪽으로 낮은 산등성이가 여러 갈래로 부채살같이 퍼져 있다. 그리고 낮은 산등성이에 동쪽으로부터 차례로 말산리·산음리·가야리에, 5∼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는 큰 무덤들이 산등성이를 따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1917년 일본인이 처음으로 조사한 뒤에 1992∼1994년까지 창원 문화재연구소가 3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내부구조를 하고 있는 113여 기의 무덤 안에서 많은 양의 각종 토기·철기·장신구와 사람의 뼈가 발견되었다.

발굴된 무덤의 내부구조는 덧널무덤(목곽묘)이 대부분인데, 덧널무덤의 중심연대는 4세기 중엽에서 5세기 후반까지로 추측할 수 있다. 무덤의 규모와 내부구조, 발견된 유물의 차이에 의해서 소형무덤과 대형무덤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무덤은 소형무덤이 먼저 만들어지다가 이후에 큰 규모의 대형무덤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함안을 중심으로 한 작은 가야국에서 보다 넓은 지역을 지배하는 아라가야 단계로 발전하였음을 보여준다.

4.2. 사적 제85호(지정해제)

함안지역은 삼한시대에 아라가야가 있던 곳으로 이 지역에 있는 무덤들은 5∼6세기경에 만들어졌다.

도항리고분군(사적 제84호)과는 같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 도항리고분군과 말산리고분군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대부분은 도항리고분군에 속하며, 이 고분군에 속하는 무덤은 1·4·9·10호의 4기 밖에 되지 않는다.

이 가운데 높이 9.7m, 지름 39.39m의 4호무덤은 가야읍 아라공원 안에 있는 무덤 가운데 가장 큰 무덤으로 1917년에 발굴조사되었다. 내부구조는 장방형의 반지하식 돌방을 가진 구덩식돌방무덤(수혈식석실묘)이다.

발견된 유물 가운데 수레바퀴 모양의 토기와 새모양 토기·말띠드리개가 특징적이며, 그밖에도 각종 토기류와 철제무기, 말장식류, 사람의 뼈 등이 발견되어 이 시대에 함안지역 문화를 밝혀줄 중요한 유적지로 평가된다.

4.3. 경상남도 기념물 제226호(지정해제)

함안 남문외 고분군은 가야읍 가야리 17-9번지 일원으로 남문마을의 맞은편 구릉지에 크고 작은 고분들이 20여기 이상 분포하고 있다.

이 고분들은 지방도로로 인해 두 무리로 갈라져 있으며, 대부분의 땅이 개인소유로서 경작되어 봉토가 많이 깍인 상태이다.

대부분 삼국시대의 석실묘(돌방무덤) 및 석관묘(돌널무덤)로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에는 도항 · 말산리 고분군과 봉화산성, 전(傳) 아라왕궁지 등이 분포하고 있어 삼국시대 함안지역의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학술적 자료로 2000년 8월 31일 기념물 제226호로 지정되었다.

5. 여담

6. 관련 영상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가야의상징이라고칩시다심볼할게없네.png 가야의 중심 고분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금관가야
(금관국)
김해 대성동 고분군
거칠산국 부산 복천동 고분군
부산 연산동 고분군
대가야
(반파국)
고령 지산동 고분군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다라국 합천 옥전 고분군
아라가야
(안라국)
함안 말이산 고분군
소가야
(고자국)
고성 송학동 고분군
비화가야
비지국
창녕 교동 고분군
성산가야
벽진국
성주 성산동 고분군
하기문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6가야
6가야 이외의 가야
가야권 국가 자체의 논란이 있는 고분군
}}}}}}}}}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2] 왼쪽의 가장 큰 무덤이 현재 4호분(舊 34호)으로 불리는 무덤이고 그 오른쪽 능선으로 8, 6, 6-1호가 위치한다. [3] 지정될 당시 사적 제515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문화유산에 번호를 매기는 것이 유산의 중요도로 오인될 수 있음을 고려해 따로 번호를 매기지 않고 있다. [4] 2023년 9월 10일~9월 24일 [5] 창원대(原大)의 昌 [6] 현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 2005년 8월 16일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로 개편되었다가 2007년 11월 30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로 개편되었다. 이후 2024년 7월 1일 문화재 명칭이 국가유산으로 바뀌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7] 문화재연구소(化財硏究所)에서 발굴했다는 의미 [8] 現 6호분은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했는데 대형분이므로 굳이 동 6호로 부르진 않았다. 다만 현 6호분 앞에 또 작은 무덤들(...)이 있는데 그런 고분을 말할 때 동 ○호라는 식으로 부른다. [9] 어쩌다 보니 말이산 고분군의 발굴조사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졌다. [10] 사실 화염문투창고배보다 다른 안라국 양식 토기들이 훨씬 많이 출토되었다. 다만 화염문투창고배 그 자체만으로도 안라국의 정체성을 나타낸다고 할 만큼 대표성이 있다. [11] 정확한 기능을 몰라서 '찌르기 용이한 철기'라는 뜻으로 한자를 조합해 명칭을 만들었지만, 지금은 한자의 의미를 무시하고 관용적으로 이러한 유물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한다. 순우리말 용어로는 '미늘쇠'라고 하는데, 아마 태극기의 국기봉 같은 기능을 했으리라 추정한다. 참고로 옥전 고분군에도 특유의 유자이기가 출토된다. [12] 실제로 왕성인지는 다소 재론의 여지가 있다. 토성이라고 여긴 흙무더기를 조사해보았더니 일제강점기에 만든 제방이었다. [13] 또한 남문외 고분군이 말이산 고분군에 포함되면서 설사 마갑총이 보존되었다고 하더라도 최북단이 아니게 되었다. [14] 문서 상단 '함안 말이산 고분군의 전경' 사진 속 왼쪽에 있는 대형분이다. [15] 원래 '감실'은 유교에서 위패를 모셔두는 작은 나무장을 말한다. 여기서는 정말로 위패는 아니겠지만, 뭔가 작은 것을 올려놓거나 보관하기 딱 좋은 어떤 공간을 현대의 학자들이 임의로 감실이라 부를 뿐이다. 실제로는 개석을 받치는 시설을 위한 공간이라는 견해가 많다. [16] 문서 상단 '함안 말이산 고분군의 전경' 사진 속 4호분 뒤 산등성이 가운데에 있는 고분이다. [17] 문서 상단 '함안 말이산 고분군의 전경' 사진 속 4호분 뒤 산등성이 좌측 고분이다. [18] 비슷하게 유적 관리가 허술하던 과거에는 고대 국가의 고분이나 토성 등의 인근에서 학교를 나온 경우 흔하게 경험하는 일이었다. 최근들어 유적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면서 점차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가 풍납토성 서울풍납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