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3:07:37

경애왕릉

경애왕릉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경애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 서라벌 기습
관련 문서 경애왕릉
기타 포석정
}}}}}}}}} ||

신라 왕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혁거세왕릉(오릉)

파사왕릉(오릉)

지마왕릉

일성왕릉

아달라왕릉(배동 삼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미추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내물왕릉
황남대총(소수설)

황남대총(소수설)

황남대총(다수설)

황남대총(소수설)

천마총(소수설)

천마총(통설)

법흥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진평왕릉

선덕여왕릉

진덕여왕릉

무열왕릉

문무대왕릉(대왕암)

신문왕릉

효소왕릉

성덕왕릉

효성왕릉

경덕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원성왕릉(괘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헌덕왕릉

흥덕왕릉

희강왕릉

민애왕릉

신무왕릉

문성왕릉

헌안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헌강왕릉

정강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효공왕릉

신덕왕릉(배동 삼릉)

경명왕릉(배동 삼릉)

경애왕릉

경순왕릉
수장급 능묘

대릉원( 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
금척리 고분군 · 서악동 고분군
구정동 방형분 · 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
}}}}}}}}}}}}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1e1f,#fff>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남산 일원 |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불곡 마애여래좌상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칠불암 마애불상군 | 배동 삼릉 | 일성왕릉 | 정강왕릉 | 지마왕릉 | 경애왕릉 | 포석정지 | 서출지 | 나정
계림 | 월성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대릉원 | 오릉
황룡사지 | 분황사지 모전석탑
명활성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222호
<colbgcolor=#315288> 경애왕릉
景哀王陵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73-1번지
분류 유적건조물/무덤
면적 2,273㎡
지정연도 1971년 4월 28일
건축시기 신라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 Historic Areas
Zones historiques de Gyeongju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경상북도 경주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976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ii)[1], (iii)[2] }}}
파일:external/www.cha.go.kr/2016012713492200.jpg
[clearfix]
1. 개요2. 상세

1. 개요

景哀王陵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신라 55대 왕 경애왕의 무덤이다. 사적 제222호로 지정되었다. 경애왕은 신라 최말기의 왕으로 성은 박씨이고 휘는 위응으로 재위 4년 포석정에 유연할 때 불의에 후백제 견훤의 습격을 받아 비참한 최후를 마쳤다.[3]

2. 상세

경주에 만들어진 왕릉 중 마지막 왕릉이다.

일생을 마친 포석정에서 가깝다면 가까운 1.5km 정도 거리에 있다. 근처에 박씨 왕들의 왕릉인 배동 삼릉이나 오릉이 있어 경주 시가지 서남부의 이 지역이 박씨 왕조의 능원으로 조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주변에 송림이 울창하고 봉토가 일반 묘보다는 크므로 왕릉으로 구전되어 오고 있다. 릉은 평범한 원형 토분이고 표면에는 아무 시설이 없다. 릉 앞에 석상이 있으나 최근에 설치한 것이다.

경애왕의 최후와 당시 신라의 국세가 재기할 수 없을만큼 기울었다는 정세를 감안하더라도 왕릉으로서는 빈약한 편이다. 어쩌면 견훤이 고의로 저렇게 만들 것을 명령한 것일수도 있다. 자신이 죽인 왕의 무덤을 선대 신라왕급으로 화려하게 만들 경우 견훤 본인의 위상이 그만큼 추락하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일성왕릉으로 불리는 일성 이사금의 무덤을 경애왕의 진짜 무덤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신라왕릉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고고학적 지식이 부족하던 조선 시대에 비정된 것이기 때문에 경애왕의 진짜 무덤이 아닐 가능성은 충분하다. 삼국사기에서는 경애왕릉이 '해목령 아래'라고 했는데 해목령은 남산(경주)에 지금도 있는, 의 눈처럼 생긴 바위와 그 바위가 있는 고개를 말한다. 해목령은 경애왕릉보다 일성왕릉 쪽에 훨씬 가깝다. 그리고 일성왕릉은 신라 후기 양식이므로 일단 초기 신라 왕의 무덤일 가능성은 없기도 하다.
파일:배동 삼릉 묘비.jpg

경애왕릉에 묘비가 있는데 경애왕릉 입구에 세워져 있다.


[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3] 927년 포석정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회장에서 모두들 흥에 겨우고 있었는데 갑자기 견훤과 그의 군사들이 습격해 경애왕에게 자살을 명령하고 왕비와 궁녀를 견훤과 그의 군사들이 욕보이게 한 뒤 김부(56대 경순왕)를 왕에 자리에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