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01:03:16

한국공학대학교/학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공학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캠퍼스 학사 제도 교통
학과 학생 활동 기타 정보
}}}}}}}}} ||
미래대학 SW대학 스마트기계융합대학 IT반도체융합대학
첨단융합대학 특성화학부 지식융합학부 기업인재대학
1. 개요
1.1. 상세
2. 학부
2.1. 미래대학
2.1.1. 자유전공학부2.1.2. 융합전공2.1.3. 마이크로디그리
2.2. SW대학
2.2.1. SW 자율전공2.2.2. 컴퓨터공학부2.2.3. 게임공학과2.2.4. 인공지능학과
2.3. 스마트기계융합대학
2.3.1. 스마트기계융합 자율전공2.3.2. 기계공학과2.3.3. 기계설계공학부2.3.4. 메카트로닉스공학부
2.4. IT반도체융합대학
2.4.1. IT반도체융합 자율전공2.4.2. 전자공학부2.4.3. 반도체공학부
2.5. 첨단융합대학
2.5.1. 첨단융합 자율전공2.5.2. 신소재공학과2.5.3. 생명화학공학과2.5.4. 에너지·전기공학부
2.6. 특성화학부
2.6.1. 경영학부2.6.2. 디자인공학부
2.7. 지식융합학부2.8. 국제학부
3. 기업인재대학
3.1. 조기취업학부
3.1.1.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3.2. 산학협력학부
3.2.1. 일반계약학과3.2.2. 중소기업 계약학과
3.3. 일학습병행학부
3.3.1. 일학습병행 계약학과
3.4. 재직자특별전형과정
3.4.1. 산업융합공학과3.4.2. 디지털경영학과

1. 개요

한국공학대학교의 학과 및 학부에 대해 소개하는 문서. 계약학과인 기업인재대학을 제외하고 일반학부는 총 5개의 단과대학, 3개의 독립학부[1], 9개의 학부, 5개의 학과, 22개의 전공[2]으로 이루어져 있다.

1.1. 상세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학과 / 학부 ( 2025 ~)
대학/독립학부 학과/부 전공
미래대학 자유전공학부
SW대학 SW 자율전공
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 전공
소프트웨어 전공
게임공학과
인공지능학과
스마트기계융합대학 스마트기계융합 자율전공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부 기계설계 전공
지능형모빌리티 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 전공
AI로봇 전공
IT반도체융합대학 IT반도체융합 자율전공
전자공학부 전자공학 전공
임베디드시스템 전공
반도체공학부 나노 반도체공학전공
반도체시스템전공
첨단융합대학 첨단융합 자율전공
신소재공학과
생명 화학공학과
에너지·전기공학부 전력응용시스템전공
미래에너지시스템전공
특성화학부 경영학부 경영 자율전공
경영학 전공
데이터사이언스경영 전공
IT경영 전공
디자인공학부 산업디자인 공학 전공
미디어디자인 공학 전공
지식융합학부[X]

2. 학부

2.1. 미래대학

미래대학
College of Mirae
학부/과 전공
자유전공학부
융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한국공학대학교 미래대학
신산업, 4차산업혁명을 이끌 미래 핵심 인재를 양성합니다.

2019년 9월에 설립된 한국공학대학교 일반학부 최초의 단과대학이다.[4] 학장은 심재홍 교수이다.

2.1.1. 자유전공학부

자유전공학부
Dept. of Liberal Studies
한국공학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연혁
2025 한국공학대학교 미래대학 자유전공학부
미래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

2025학년도부터 신설됐다. 1학년 이수 후 반도체시스템전공, 지능형모빌리티전공, 미래에너지시스템전공, 산업융합공학과, 디지털경영학과, 스마트전자공학과, AI소프트웨어학과, IT융합디자인공학과, 스마트그린소재공학과를 제외한 전 모집단위 선택이 가능하다. 체계화된 FYE(First Year Experience)교과로 입학생의 자기발견, 미래직업탐색 및 학업설계를 지원한다. 1학년 2학기에 밀알교과를 이수한다. 듀얼지도교수로 지도교수가 무려 최소 2명에서 최대 5명까지 배정된다. 1학년 1학기 기숙사 우선입주 특혜가 제공된다.

융합인재(서류 100%)와 논술로만 학부생을 모집하며 융합인재 80명 + 논술 51명 총 131명을 모집한다.

2.1.2. 융합전공

융합전공
Convergence Major
벤처창업전공(경영학부+컴퓨터공학부+디자인공학부)
반도체소재전공(신소재공학과+생명화학공학과)
스마트팩토리전공(경영학부+메카트로닉스학부+게임공학과)
반도체소자 및 설계전공(나노반도체공학과+신소재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전공(기계설계공학부+컴퓨터공학부+기계공학과+전자공학부)
디지털엔지니어링전공(기계공학과+기계설계공학부+디자인공학부)
인공지능융합전공(컴퓨터공학부+메카트로닉스공학부)
지능형로봇전공(메카트로닉스공학부+기계설계공학부+전자공학부)
AI콘텐츠디자인전공(디자인공학부+게임공학과+컴퓨터공학부)
신재생에너지융합기술전공(나노반도체공학과+에너지·전기공학과)
이커머스전공(경영학부+디자인공학부)
지능형반도체설계전공(전자공학부+나노반도체공학과)
바이오메디컬융합공학전공(생명화학공학과+인공지능학과)
한국공학대학교 미래대학 융합전공 | (주관학과에 볼드처리)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융합전공 연혁
2017.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연계전공 신설 및 벤처창업전공, 정보소자재료전공 신설
2018.03 스마트팩토리전공 신설
2019.03 반도체디스플레이전공, 미래자동차전공 신설
2019.09 미래대학 설립
2020.03 제도 개편(연계전공→융합전공) 및 융합전공명 변경(정보소자재료→반도체소재)
2021.03 디지털엔지니어링전공, 인공지능융합전공, 지능형로봇전공 신설
2022.03 교명변경 및 메타버스디자인전공, 신재생에너지융합기술전공, 이커머스전공 신설
2023.09 지능형반도체설계전공 신설 및 융합전공명 변경(반도체디스플레이전공 → 반도체소자및설계전공)
2024.03 바이오메디컬융합공학전공 신설
2024.09~ 융합전공명 변경(메타버스디자인전공 → AI콘텐츠디자인전공)
사회진출에 대한 꿈과 비전을 높이는 융합전공

대학교 내에선 약칭 '융전'으로 불린다. 2017년에 신설됐고, 초기에는 연계전공이였다가 2020년에 융합전공으로 이름이 변경됐다. 35학점 이상 이수자에 한해 신청이 가능하다. 한마디로 미래대학 소속이지만, 신입생을 모집하는 곳이 아니며, 1학년은 이수가 불가능하다. 부 · 복수전공으로 이수가 가능하다. 1학기에는 주로 1~2월달에 신청을 받으며, 2학기에는 주로 7~8월달에 신청을 받는다. 반도체소재전공만 유일하게 주문식이다.

2.1.3. 마이크로디그리

마이크로디그리
Micro Degree
게임기획 마이크로디그리
Game Design Micro Degree
어카운팅데이터분석 마이크로디그리
Accounting Data Analysis Micro Degree
빅데이터분석 마이크로디그리
Big Data Analysis Micro Degree
반도체광소자 마이크로디그리
Semiconductor Photonic Devices Micro Degree
품질분석 마이크로디그리
Quality control Micro Degree
청정공정 마이크로디그리
Clean technology Micro Degree
반도체 디지털 집적회로설계 마이크로디그리
Semiconductor Digital IC Design Micro Degree
반도체 전공정 마이크로디그리
Semiconductor Chip Process Micro Degree
자율주행기술 마이크로디그리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Micro Degree
지능형 IOT 시스템 마이크로디그리
Intelligence IoT System Micro Degree
이커머스 상품기획자 마이크로디그리
e-Commerce Merchandiser Micro Degree
한국공학대학교 미래대학 마이크로디그리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마이크로디그리 연혁
2024.03 마이크로디그리과정 신설 (7개 과정)
2024.09~ 11개 과정으로 확대

실무능력향상과 융복합인재양성을 위한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소단위 전공과정으로 2024년 3월에 신설됐다.[5] 재학중 최대 3개 과정까지 이수가능하고, 9~15학점 으로 편성되며, 이수학점 기준은 마이크로디그리별로 상이하다. 열린전공과 병행하면 최대 9학점까지 인정해준다. 열린전공은 마이크로디그리가 신설됨에 따라 2027년부터 잠정 폐지된다. 융합전공과 비슷하게 주관학과/부가 존재하니 참고. 운영유형은 크게 3가지로 전공트랙형, 전공융합형, 자기설계형으로 나뉜다.

2.2. SW대학

SW대학
College of SW
학부/과 전공
SW 자율전공
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소프트웨어전공
게임공학과
인공지능학과
한국공학대학교 SW대학 홈페이지

한국공학대학교 출범 이후 설립된 최초의 일반학부 단과대학이다.[6] 여기서 SW는 Software에서 'S'와 'W'를 따왔다. 학장은 정성택 교수이다.[7]

2.2.1. SW 자율전공

SW 자율전공
SW Autonomous Major
한국공학대학교 SW 자율전공

2025학년도에 신설됐다. 1학년 이수 후 SW대학 소속의 전 학부/과 선택이 가능하다.

2.2.2. 컴퓨터공학부

한국공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소개영상
컴퓨터공학부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컴퓨터공학전공
Major in Computer Engineering
소프트웨어전공
Major in Software
한국공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연혁
199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1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 소프트웨어전공)
2022 한국공학대학교 SW대학 컴퓨터공학부(컴퓨터공학전공, 소프트웨어전공)
소프트웨어를 정복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하는 시대, 컴퓨터공학부를 꿈꾸는 자가 그 주인공

매년 입학생 수로만 따지면 전자공학과와 함께 학교 내에서 1~2위를 다툰다. 그 때문인지 타 학과에 비해 동기들 사이에 관계가 매우 끈끈해서 캠퍼스에서 우글우글 몰려다니는 부류는 컴공일 확률이 매우 높다. 가족같은 분위기 덕분에 타 학과에서 많이 부러워한다.

하지만 무엇을 하는 학과인지 자세히 모르고 들어와서는 1학년 때 접하는 Python[8]에 좌절하고 휴학, 편입, 자퇴하는 학생수가 상당히 많다. 고학년되면 거의 아는 사람이 없어진다.

성적 좀 좋고 전공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학생들은 다른 학교 대학원으로 진학을 많이 하는 추세다. 교수들도 다른 학교 대학원을 많이 권하고, 실제로 광주과학기술원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에 진학한 사례들이 있다.

소프트웨어 전공에는 정보보호론 관련 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으므로 정보보안기사 전산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현재 네카라쿠배를 비롯해서 삼성전자, KT 기술연구소, LG CTO 총괄과 같은 유명 기업체에서 일하는 동문들이 존재하고 있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컴공/소웨(공)'.

2.2.3. 게임공학과

한국공학대학교 게임공학과 소개영상
게임공학과
Dept. of Game & Multimedia Engineering
한국공학대학교 게임공학과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게임공학과 연혁
2002.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게임공학과
2013.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게임공학부(게임공학전공, 엔터테인먼트컴퓨팅전공)
2022.03~ 한국공학대학교 SW대학 게임공학과
인생은 길고 긴 게임, 첨단 산업 게임에 승부를 건다

학과 개설 초기에는 나름 높은 입풋을 자랑했었다가 IT/게임 업계의 거품이 빠지면서 잠시 하향 곡선을 그리더니 게임 회사들의 위상이 높아지고 모바일 게임이 흥하면서 학생들이 좋은 회사로 취업하는 사례가 많은 편이다.[9] 게임 개발에 관련된 공학을 연구하고, 아트나 기획 같은건 주로 맛보기 수준으로 배운다. 입학하면 C언어는 기본기를 확실히 다지는 게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이다.

전공 특성상 커리큘럼은 무시무시한 수준이기 때문에 자퇴율도 높은게 특징이다.[10][11]

2009년도, 학교 최초로 MIT 대학원 진학자가 나왔다. 게임공학과는 타 학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오덕 비율이 높은 학과고, 학생들을 한데 모으면 디씨의 각 갤러들이 다 모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2015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게임분야 최우수 대학에 선정되었으며 공학교육인증과 관련이 거의 없어 보이지만, 공학교육인증을 시행중이다.

2021학년도까지는 게임공학 전공과 엔터테인먼트컴퓨팅 전공으로 나누어진 게임공학부였으나, 2022학년도부터 게임공학과로 통합되었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겜공'.

2.2.4. 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학과
D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한국공학대학교 인공지능학과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인공지능학과 연혁
2023 한국공학대학교 SW대학 인공지능학과
첨단 IT지식과 창의적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춘 AI 전문 인재양성

2023년 신설된 학과. 원래는 융합전공 내 교육과정이였다가 정식 학과로 승격되었다.

2.3. 스마트기계융합대학

스마트기계융합대학
College of Smart Mechanical Convergence
학부/과 전공
스마트기계융합 자율전공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부 기계설계전공
지능형모빌리티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AI로봇전공

2.3.1. 스마트기계융합 자율전공

스마트기계융합 자율전공
Smart Mechanical Convergence Autonomous Major
한국공학대학교 스마트기계융합 자율전공

2025학년도에 신설됐다. 1학년 이수 후 스마트기계융합대학 소속의 전 학부/과 선택이 가능하다.

2.3.2. 기계공학과

한국공학대학교 기계공학과 소개영상
기계공학과
Dept. of Mechanical Engineering
한국공학대학교 기계공학과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기계공학과 연혁
199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계공학과
2022 한국공학대학교 기계공학과
2024 한국공학대학교 스마트기계융합대학 기계공학과
차가운 기계로부터 뜨거운 젊음의 열정을 배운다

규모가 큰 학과로, 인원수로나 입학생들의 포스로나 가장 크고 무시무시한 과. 주로 기계분야 전반에서의 공학교육을 커리큘럼화하고 있으며, 일반기계공학부터 기계 가공, 냉동공학과도 같은 폭넓은 공학교육을 통해 현장이 원하는 공돌이를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 하고 있다. 참고로 메카트로닉스와 함께 여학생들이 가장 적은 과들 중에 속한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기공'. 과장은 스마트기계융합대학장을 겸하고 있는 박승철 교수이며, 박철우 한국공학대학교 부총장 겸 교무처장도 기계공학과 교수이다. 여담으로 한국공학대학교 학부/과 중 유일하게 학과명이 변경된 적이 없고, 학부 및 세부 전공으로 개편된 적이 없는 유일한 학과이다.

2.3.3. 기계설계공학부

한국공학대학교 기계설계공학부 소개영상
기계설계공학부
Dept. of Mechanical Design Engineering
기계설계전공
Major in Mechanical Design
지능형모빌리티전공
Major in Intelligent Mobility
한국공학대학교 기계설계공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기계설계공학부 연혁
199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계설계학과
200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2022 한국공학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2023 한국공학대학교 기계설계공학부(기계설계전공, 지능형모빌리티전공)
2024 한국공학대학교 스마트기계융합대학 기계설계공학부(기계설계전공, 지능형모빌리티전공)
세상을 움직이는 새로운 기계를 창조한다

전체 과 중에서 가장 적은 정원을 모집하는 최약체 세력[12]이다. 인원이 적은 만큼 학생들끼리의 결속력도 나름대로 끈끈한 편이다. 인원이 모자라는 학과 치고는 항상 체전 중상위권을 차지하는 미스테리한 학과다. 또한 기계공학과하고 매우 비슷한 학과다보니 자주 비교가 된다.

2022학년도까지는 기계설계공학과였으나, 2023학년도부터 지능형모빌리티 전공이 신설되어 기계설계공학부로 확대되었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기설/지모'.

2.3.4. 메카트로닉스공학부

한국공학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소개영상
메카트로닉스공학부
Dep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Major in Mechatronics Engineering
AI로봇전공
Major in AI Robots
한국공학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연혁
199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자동화공학과
20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20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2022 한국공학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AI로봇전공)
2024 한국공학대학교 스마트기계융합대학 메카트로닉스공학부(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AI로봇전공)
메카트로닉스를 통한 다양한 제어시스템의 창의적 구현

처음 개설될 당시에는 자동화공학과였으나 제어계측공학과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과명을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는 학부. 전자공학 + 기계공학이 파이널 퓨전[13]한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다. 현재 커리큘럼은 제어 및 자동화를 목적으로 두고 있다. 진로는 자동화 제어 개발자, 임베디드 개발자, 로봇 개발자, 응용프로그램 개발자, 기계설계직 등 다양하다. 다만 학과 특성상 다양한 분야를 배우다 보니, 이것이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2학년때 빠르게 진로를 정해 타과 강의로 전문성을 기르는것이 좋다.

타 대학 통신공학과 출신이 메카로 편입해서 컴공/겜공을 복수전공한 뒤 SW연구원으로 진학한 사례도 있다. 기계공학과와 함께 여학생들이 가장 적은 과들 중 하나이다.

2021학년도까지는 메카트로닉스공학과였으나, 2022학년도부터 AI로봇 전공[14]이 신설되어 메카트로닉스공학부로 확대되었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메카'.

2.4. IT반도체융합대학

IT반도체융합대학
College of IT Semiconductor Convergence
학부/과 전공
IT반도체융합 자율전공
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
임베디드시스템전공
반도체공학부 나노반도체공학전공
반도체시스템전공

2.4.1. IT반도체융합 자율전공

IT반도체융합 자율전공
IT Semiconductor Convergence Autonomous Major
한국공학대학교 IT반도체융합 자율전공

2025학년도에 신설됐다. 1학년 이수 후 IT반도체융합대학 소속의 전 학부/과 선택이 가능하다.

2.4.2. 전자공학부

한국공학대학교 전자공학부 소개영상
전자공학부
Dept. of Electronics Engineering
전자공학전공
Major in Electronic Engineering
임베디드시스템전공
Major in Embedded System
한국공학대학교 전자공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전자공학부 연혁
199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전자공학과
201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전자공학부(전자공학전공, IT융합전공)
20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전자공학부(전자공학전공, 임베디드시스템전공)
2022 한국공학대학교 전자공학부(전자공학전공, 임베디드시스템전공)
2024 한국공학대학교 IT반도체융합대학 전자공학부(전자공학전공, 임베디드시스템전공)
디지털에도 36.5도의 뜨거운 피는 흐른다

기계공학과에 필적하는 규모를 가지고 있다. 공학관 C동을 사용하다 산학융합관 완공 후 그 건물로 이사를 갔다. 임베디드, 통신, 신호처리 테크트리로 기업체에서 원하는 공돌이 양성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교수님들이 시대에 맞는 인재를 배출하겠다면서 커리큘럼을 엄청 많이 변경하셨다.[15] 13~15학번들은 본인 세대가 마루타였다면서 억울해 한다. 하지만 그 후에도 매년 커리큘럼이 바뀌어서 억울한 세대는 없다. 전자공학부 내에 전자공학 전공과 임베디드시스템 전공이 있는데[16], 전자공학 전공은 공학인증이 필수지만 임베디드시스템 전공은 공학인증이 해당되지 않는다. 전자공학 전공은 정통 전자공학과 생각하면 되고, 임베디드시스템 전공은 기존 전자공학에 컴퓨터공학이 조금 더 가미 된 느낌이다. 주로 산학융합관을 많이 쓰기 때문에 비교적 다른 과 학생들에 비해서 신식 건물을 쓴다는 장점이 있다. 2학년부터 원서로 강의하시는 교수님들이 많아서 영어를 못하는 학생들은 힘들어 하기도 한다.

수강신청을 한다면 제발 커리큘럼에 맞춰서 듣자. 수강신청 할 때 재학중인 학생의 수보다 강의 최대인원이 적게 열려서 수강신청에 실패하는 학생들이 많다. 특히 임베디드시스템 전공은 재학 학생보다 강의 수가 적게 열려서 전공 필수인데도 수강신청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이 생긴다. 그럼에도 과 사무실에서는 4학년들 졸업시키기 위해 해당 학년이 우선이 아닌 고학번 학생 우선으로 증원신청을 받는다.

다른 과에 비해 학생 수가 많아 한 번 얼굴도 못보고 모르는 채로 졸업하는 학생들도 꽤 있다. 편입생과 전과생도 종종 보인다.

타 과는 모르겠으나 전자과는 3.0룰이라고 하여 1,2학년 대상으로 한 반의 평균 학점을 3.0으로 맞추는 규칙이 있다. 그로 인해 플러스를 잘 채워주지 않으며, A0 범위에 들었음에도 B+을 주는 등 비율을 안 채우는 경우가 있다. 시행 이유는 학점 인플레를 막아 취업 시 학생들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이유이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전자/임베'.

2.4.3. 반도체공학부

한국공학대학교 반도체공학부 소개영상
반도체공학부
Dept.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나노반도체공학전공
Major in Nano & Semiconductor Engineering
반도체시스템전공
Major in Semiconductor System
한국공학대학교 반도체공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반도체공학부 연혁
20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나노-광공학과
202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나노반도체공학과
2022 한국공학대학교 나노반도체공학과
2024 한국공학대학교 IT반도체융합대학 나노반도체공학과
2025 한국공학대학교 IT반도체융합대학 반도체공학부(나노반도체공학전공, 반도체시스템전공)
나노의 한계를 넘어 미래 반도체 기술을 선도하는 인재 양성의 요람

2005년에 나노광공학과로 시작된 학부로, 후에 나노반도체공학과로 변경됐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의 엔지니어를 육성해야 한다는 필요성[17]에 의해 개설되었다. 기계설계공학과와 메카트로닉스과, 신소재공학과 소속 교수가 주축이 되어 개설된 이후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해당 분야 수요에 의한 학과 발전이 지속되고 있는 학과이다. 학과특성상 대학원 진학률이 높으며, 매년 졸업인원의 10~20% 정도가 대학원에 진학한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나노'.

2025학년도부터 나노반도체공학과가 반도체공학부 하위학부로 개편되고 반도체시스템전공이 신설됐다.

2.5. 첨단융합대학

첨단융합대학
College of Advanced Convergence
학부/과 전공
첨단융합 자율전공
신소재공학과
생명화학공학과
에너지·전기공학부 전력응용시스템전공
미래에너지시스템전공

2.5.1. 첨단융합 자율전공

첨단융합 자율전공
Advanced Convergence Autonomous Major
한국공학대학교 첨단융합 자율전공

2025학년도에 신설됐다. 1학년 이수 후 첨단융합대학 소속의 전 학부/과 선택이 가능하다.

2.5.2. 신소재공학과

한국공학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소개영상
신소재공학과
Dep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한국공학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연혁
199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재료금속공학과
200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22 한국공학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24 한국공학대학교 첨단융합대학 신소재공학과
세계최초의 신소재 개발, 그 꿈을 위해 멈추지 않는다

공학관 D동을 사용 중이다. 금속재료, 전자재료, 디스플레이 재료와도 같은 폭넓은 교육으로 범용성 높은 공돌이를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전공을 살려 연구원이 되고 싶다면, 대학원을 추천. 실제로도 대학원 진학률이 상당히 높다.[18][19] 대학교 내에선 약칭 '신소재'.

2.5.3. 생명화학공학과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소개영상
생명화학공학과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 Biotechnology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연혁
199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화학공학과
20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2022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2024 한국공학대학교 첨단융합대학 생명화학공학과
화학공학과 바이오공학의 융복합 인재를 배출하고 있는 HOT한 학과!!!

공학관 D동을 신소재공학과와 나눠쓰고 있는 학과. 학과 규모는 작은 편이나 경영학부와 디자인학부를 제외하고 여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과이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생화공'.

2.5.4. 에너지·전기공학부

한국공학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부 소개영상
에너지·전기공학부
Dept. of Energy & Electrical Engineering
전력응용시스템전공
Major in Power Application System
미래에너지시스템전공
Major in Future Energy System
한국공학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부 연혁
20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2022 한국공학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2024 한국공학대학교 첨단융합대학 에너지·전기공학과
2025 한국공학대학교 첨단융합대학 에너지·전기공학부(전력응용시스템전공, 미래에너지시스템전공)
세상을 움직이는 신 성장 에너지를 이끌어내다

2010년도에 설립되었다. 공학관 C동을 사용중이며, 학과 역사가 짧아 알려진것이 적다. 전기공학과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학문을 다룬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자기학 등 에너지부분보다 전기에 비중이 크다. 이는 아직 신재생에너지 관련 직종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 때문이다. 여학생 비율이 적지만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에전'.

2025학년도부터 세분화되어 전력응용시스템전공과 미래에너지시스템전공으로 나뉘어진다. 기존 에너지·전기공학과 재학생들은 전력응용시스템전공으로 소속된다.

2.6. 특성화학부

특성화학부
학부/과 전공
경영학부 경영 자율전공
경영학전공
데이터사이언스경영전공
IT경영전공
디자인공학부 산업디자인공학전공
미디어디자인공학전공

특성화학부는 모집단위상으로만 독립학부에 해당된다. 실질적으로 경영학부와 디자인공학부 그 자체가 독립학부이다. 따라서 특성화학부 자율전공이라는 것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며, 경영학부 자율전공이 따로 존재하며, 디자인공학부도 그 자체가 자율전공에 해당된다.

2.6.1. 경영학부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 소개영상
경영학부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경영 자율전공
Management Autonomous Major
경영학전공
Major in Business Administration
데이터사이언스경영전공
Major in Data Science Business Administration
IT경영전공
Major in IT Administration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 연혁
20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201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경영학부(경영학 전공, e-비즈니스 전공)
2016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경영학부(산업경영전공, IT경영전공)
2022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산업경영전공, IT경영전공)
2023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경영학전공, IT경영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
2025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경영 자율전공, 경영학전공, IT경영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
경영과 IT 서비스 융합 역량을 갖춘 4차 산업혁명시대의 리더

IT경영 전공은 컴퓨터공학과 경영학을 접목한 전공이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영학적 전공 지식과 프로그래밍(Java),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등 컴퓨터 공학적 전공 지식을 학습한다. 종종 이 전공에서 아에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하는 학우들을 볼 수 있다.

남초 일색인 한국공대에서 여성 비율이 높은 축에 속하는 학부. 공학관 G동을 사용하고 있다.

2023학년도부터 산업경영 전공이 경영학 전공으로 이름을 변경하며, 데이터사이언스경영 전공이 신설되었다.

2025학년도부터 경영 자율전공이 신설되며 1학년 이수 후, 경영학부 내 전공에 한해서 선택이 가능하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경영'.

2.6.2. 디자인공학부

한국공학대학교 디자공학부 소개영상
디자인공학부
Dept. of Design Engineering
산업디자인공학전공
Major in Industrial Design Engineering
미디어디자인공학전공
Major in Media Design Engineering
한국공학대학교 디자인공학부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디자인공학부 연혁
20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디자인공학과 신입생 입학
2013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디자인공학전공, 융합디자인전공)
202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디자인공학부(산업디자인공학전공, 미디어디자인공학전공)
2022 한국공학대학교 디자인공학부(산업디자인공학전공, 미디어디자인공학전공)
공학의 세계를 나만의 아름다움으로 디자인한다

디자인학과로는 모험인 무실기전형으로 재학생을 선발하고, 졸업학위 또한 공학사를 수여함으로써 소속이 공과대임을 강조한다. 핀란드식 공과대학의 컨셉을 가지고 개교한 학교 소속답게 로봇디자인과 제품, 산업, IT기기 디자인에 쏠림현상이 심하며, 최근 들어서는 공공디자인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교수들이 실제 기업 실무담당자 출신이며 몇몇 교수들은 각자의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강의들이 실무에 입각한 수업을 진행한다.

2013년도 학부개편으로 이전까지는 공학사학위를 수여했지만 2013년도부터는 디자인학사학위가 수여된다. 한때 여성비가 가장 높은 과였지만 현재는 남녀성비가 1:1수준까지 올라갔다고 한다. 비실기로 학생들을 선발하기 때문에 수업은 기초적인 스케치나 2D조형부터 시작하며 그 과제량이 어마어마 하다. 2021년을 기점으로 다시 세부 전공을 개편했다.

2025학년도부터 세부 전공들은 유지하되 자율전공이 없는 대신 디자인공학부로 통합해 신입생들을 선발하며, 1학년 이수 후 디자인 학부 내 세부 전공들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바뀌었다. 대학교 내에선 약칭 '디자인/산디/미디(공)'.

2.7. 지식융합학부

지식융합학부
Dept. of Liberal Arts
한국공학대학교 지식융합학부
논리적인 사고력,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전문지식의 교양인 양성

학부생을 모집하지 않으며, 교양 과목을 운영하는 학부이다. 한국공대같이 학과가 적은 공과대학교의 경우 교양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들이 소속될 수 있는 학과가 개설되지 않기 때문에, 지식융합학부라는 별개의 학부를 만들어 교양 과목 담당 교수들을 소속시켰다. 경영학부, 디자인공학부와 더불어 학교 내 유일한 독립학부이다.[20]

2.8. 국제학부

국제학부
Dept. of Global Convergence Engineering
스마트자동화트랙
Smart Automation Track
컴퓨터 SW트랙
Computer SW Track
한국공학대학교 국제학부
YOUR FUTURE BEGINS HERE!
한국공학대학교의 무한에너지가 더 큰 미래를 만듭니다!

한국공학대학교의 외국인 유학생 전담 학과로써, 중소 및 중견기업의 각 분야에서 실무능력을 갖추고 근무할 수 있는 청년 인재를 양성하는 학부이다. 원래는 글로벌융합공학과로 시작했지만, 2025년부터 국제학부로 변경됐다. 현장에서 스마트 자동화 구축과 컴퓨터를 활용한 앱 및 웹 활용 전문가 또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업현장에서 최적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자동화 트랙, 컴퓨터 SW트랙 등 2가지 전공트랙을 운영하고 있다.

3. 기업인재대학

기업인재대학
School of Applied Industrial Technology
독립학부 독립학과 학과
조기취업학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스마트전자공학과
AI소프트웨어학과
IT융합디자인공학과
스마트그린소재공학과
산학협력학부 일반계약학과 기계제조공학과
기계설계⋅시스템공학과
AI컴퓨터전자융합공학과
환경안전경영학과
기업경영학과
중소기업 계약학과 반도체기계시스템공학과
메카트로닉스시스템공학과
스마트컴퓨터융합공학과
일학습병행학부 일학습병행 계약학과 컴퓨터전자공학과
로봇메카트로닉스공학과
재직자특별전형과정 산업융합공학과
디지털경영학과
한국공학대학교 기업인재대학
TU KOREA, in preparation for Ambition
기업을 품는 혁신인재 양성의 메카

2009년 계약학과로 시작했다. 2015년 3월 1일 설립되었다. 재직자대상의 재교육형 학위과정(계약학과, 특성화고졸 재직자전형)을 단과대학 내 편제하고 학사제도와 행정지원을 체계화하여 인근 중소·중견기업 기술인력 업그레이드, 청년취업 활성화 등의 선순환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학장은 양해정 교수이다. 일반 대학 학부와는 별개로 운영된다. 산학협력학부, 일학습병행학부, 조기취업학부를 산하에 두고 있다. 학교 최초의 단과대학이다.

3.1. 조기취업학부

한국공학대학교 조기취업형인재양성사업단에서 운영한다. 전담부서는 교육부, 전문기관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운영기관은 한국공학대학교이다. 사업총괄 사업단장 한민섭 교수 밑으로 사업운영팀, 대외협력팀, 교학팀이 포진해 있다.

3.1.1.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한국공학대학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홍보영상
조기취업형계약학과
스마트전자공학과
Dept. of Smart Electronics Engineering
AI소프트웨어학과
Dept. of AI Software
IT융합디자인공학과
Dept. of IT Convergence Design Engineering
스마트그린소재공학과
Dept. of Smart Green Materials Engineering
한국공학대학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 전체 참여기업 목록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교육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사업』의 지원으로 운영하며, 채용조건형 3년 11학기제로 운영되는 학사학위 과정이다. 1학년은 선발된 학생을 대상으로 기업이 요구하는 맞춤형 집중교육을 하고, 2/3학년은 취업 후 대학과 기업에서 이론 및 현장실무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과정별 실무교육을 진행한다.

수도권(서울 포함) 내 4년제 대학 중 한국공학대학교 포함 가천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한양대학교 에리카가 유일하게 조기취업형 계약학과가 설치돼있는 학교이다.[21]

3.2. 산학협력학부

3.2.1. 일반계약학과

일반계약학과
기계제조공학과
Dept. of Mechanical & Manufacturing Engineering
기계설계⋅시스템공학과
Dept. of Production and Mechanical Design Engineering
AI컴퓨터전자융합공학과
Dept. of AI Computer Electronic Convergence Engineering
환경안전경영학과
Dept. of Environment and Safety Management
기업경영학과
Dept. of Cooperate Management
한국공학대학교 일반계약학과
맞춤식 직업교육체제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도입하여, 산업체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거나 소속직원의 재교육 및 직무능력향상을 위해 산업교육기관(대학)이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산업체 등과 계약하여 설치/운영하는 학위과정입니다.

채용조건형과 재교육형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채용조건형은 산업체(기업) 등이 채용을 조건으로 학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지원 계약을 체결하고 특별한 교육과정의 운영을 요구하는 경우이다. 교육대상자는 계약체결 산업체 채용 예정자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비용(등록금)은 기업이 50%이상 학교에 지불해야 한다.

재교육형은 산업체 등이 소속직원의 재교육, 전직교육, 직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여 교육을 의뢰하는 경우다. 이는 계약체결 산업체 재직자에 한해 가능하다. 등록금은 산업체 등이 50%이상 지원한다.

학교와 계약이 가능한 산업체도 조건이 있다.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 상시근로자 5인(사업주 포함) 이상인 사업체, 의료기관, 군부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단체로서 산업체가 구성원인 단체만 가능하다. 또한 동일 광역 행정구역(시, 도단위) 내 또는 대학과 산업체 등과의 거리가 직선거리 50km이내에 위치해야 한다. 한국공학대학교는 근처에 시화공단이 위치해있기 때문에 안성맞춤이다.

3.2.2. 중소기업 계약학과

중소기업 계약학과
반도체기계시스템공학과
Dept. of Mechanical System Engineering for Semiconductor
메카트로닉스시스템공학과
Dept. of Mechatronics System Engineering
스마트컴퓨터융합공학과
Dept. of Smart Computer Convergence
한국공학대학교 중소기업 계약학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계약학과이다. 대학, 기업, 학생이 계약을 체결하고 대학은 기업이 요구하는 학위과정을 운영한다. 그리고 학생은 일정기간 의무근무를 해야한다. 산업체는 주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해당하며, 이 학과도 재교육형과 재교육형의 동시채용형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재교육형은 중소기업에 한해 등록금의 65~85%정도의 정부보조금이 나온다. 다만 중견기업은 정부보조금이 등록금의 최대 40%까지만 나오고 만약 중견기업의 매출액이 3천억 이상이면 정부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또한 학교 졸업후 최소 1년이상 기업에서 의무근무를 해야한다.

재교육형의 동시채용형의 경우 정부에서 등록금을 전액지원해준다. 또한 졸업후 최소 2년이상 기업에서 의무근무를 해야 한다.

입학구분은 특이하게 편입으로 기록되며, 의무근무 요건 미준수 및 정부보조금 처리기준 부합 시 정부보조금이 환수되니 유의해야한다.

3.3. 일학습병행학부

독일, 스위스식 도제제도 및 호주의 신도제 등 선진국의 일 기반 학습을 한국 현실에 맞게 도입한 것이다. 4년제 대학 학사과정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과정으로 주간에는 근로자로 근무하고 주말에는 대학에서 수업을 받아 일정 시간의 일학습병행 훈련을 이수하고 대학 졸업 이수학점을 충족하여 훈련성과에 관한 평가를 통해 자격과 학위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지원자격은 재직자(신규 입사자 및 1년 이내 입사자) 및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동등 수준의 학력소지자다. 참여기업으로는 상시근로자 20~50인 이상 기업, 신용등급 B등급 이상인 기업 등이 참여한다. 학사과정, 편입과정, 석사과정 모두 존재하며 공학사 및 공학석사가 학위로 부여된다. 등록금 및 훈련비용도 지원해준다.

2014년 듀얼산업학부로 시작했다가 2018년 기업인재대학 학부제 전면 개편으로 일학습병행학부로 변경됐다.

3.3.1. 일학습병행 계약학과

일학습병행 계약학과
컴퓨터전자공학과
Dept. of Computer and Electronics Engineering
로봇메카트로닉스공학과
Dept. of Robot-Mechatronics Engineering
한국공학대학교 일학습병행 계약학과

3.4. 재직자특별전형과정

재직자특별전형과정
산업융합공학과
Dept. of Industrial Convergence Engineering
디지털경영학과
Dept. of Digital Business
한국공학대학교 재직자특별전형과정

특성화고졸 재직자전형이라고도 한다. 야간 과정도 있다.

3.4.1. 산업융합공학과

산업융합공학과
Dept. of Industrial Convergence Engineering
한국공학대학교 산업융합공학과
공학과 산업경영지식을 겸비한 인재 양성

3.4.2. 디지털경영학과

디지털경영학과
Dept. of Digital Business
한국공학대학교 디지털경영학과
디지털 시대에서의 기업 경영을 책임질 "기술력과 경영능력을 갖춘 차세대 리더" 양성


[1] 모집단위에 따르면 경영학부와 디자인공학부는 특성화학부에 소속돼있기 때문에 지식융합학부와 더불어 2개의 독립학부이지만, 학교 홈페이지나 조직도에 따르면 경영학부와 디자인공학부는 그 자체로 독립학부이기 때문에 3개로 간주된다. [2] 융합전공 및 마이크로디그리 제외. [X] 학부생을 모집하지 않으며, 교양 과목 운영을 위해 개설된 학부이다. [4] 학교 전체로 보자면 두번째이다. 첫번째는 2015년에 설립된 기업인재대학이다. [5] 신청은 2023년부터 받았다. [6]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시절까지 따지면 3번째다. 첫번째는 2015년에 설립된 기업인재대학이고, 두번째는 2019년에 설립된 미래대학이다. 일반학부 과정으로만 따지면 미래대학에 이어 두번째가 된다. [7] 인공지능학과장을 겸하고 있다. [8] 17학번부터 1학년 1학기 과정에 C프로그래밍 언어 대신에 파이썬 언어를 배운다. C언어는 1학년 2학기부터 배운다. [9] N으로 시작하는 유명한 게임회사들은 이제는 대기업이다. [10] 학과장 오피셜에 따르면 1년에 평균 50명이 자퇴한다고 한다. 그 중 1학년이 35~40명 나머지가 234학년과 편입생이다. [11] 졸업을 하기 위해서는 팀을 구성해 게임을 만들어 평가받아야 하는데, 이때 팀에 해를 끼치는 내부의 적 때문에 제대로 된 작품이 나오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다. [12] 하지만 몇몇 학과가 학부로 바뀌고 하위학과로 세분화되어서 그 정도까지는 아니게 되었다. [13] 기계공학보다 전자과에 좀더 가깝다. 본디 기계에 더 무게를 두었으나 본래 있었던 기계공작 실습을 폐지하고 3D 프린터 실습으로 대체하는 등 점차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14] 원래는 융합전공 내 교육과정이였다가 임베디드시스템전공과 함께 정식 학부 전공으로 승격되었다. [15] 하지만 아직도 커리큘럼에 대해 아쉬워하는 교수님이 계신다. 시대에 맞게 반도체 트랙을 탈 수 있는 커리큘럼이 부실하고 거의 정보통신 위주로 개설되어 정보통신학과라고 불려도 무방할 정도다. [16] 원래는 융합전공 내 교육과정이였다가 AI로봇전공과 함께 정식 학부 전공으로 승격되었다. [17] 신소재공학과에서는 보통 금속, 반도체, 디스플레이를 다뤄서, 신소재공학과와 상당부분이 겹친다. [18] 10명 중에 3~4명이 간다. [19] 신소재공학과 특성상 넓은 분야를 배우는 것이 장점이자 동시에 단점이 된다. 즉, 여러 분야에 진출할 수 있지만 넓은 분야를 다루다보니 학부때는 깊게 다루지못하여 선택한 분야를 더 깊게 다루기 위해 대학원을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20] 특성화학부는 모집단위 편의상 디자인공학부와 경영학부를 묶어둔 것이다. 학교 홈페이지 조직도에서도 특성화학부가 아닌 디자인공학부와 경영학부를 따로 표시해두고 있다. [21] 전문대 포함 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명지전문대학교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