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 사인검 · 월도 · 왜검 · 장검 · 창포검 · 환도 · 협도 · 쌍수도 | ||
창 | 당파 · 장창 · 낭선 · 기창 · 죽장창 · 요구창 · 겸창 · 이두표 · 표창 | ||||
둔기 | 도끼( 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 ||||
발사 무기 |
궁(弓)・ 시(矢) |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 장전, 편전(애기살) | ||
화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 지뢰 |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 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 ||
개인화기 | 조총, 천보총, 대조총, 일총통, 이총통, 승자총통, 사전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 ||||
화전・로켓 | 신기전 · 화차 | ||||
방어구 | 갑(甲)・ 군복 |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 납의 · 철릭 · 구군복 · 포졸복 | ||
주(冑) · 군모 |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 전립 · 주립 | |||
방패 |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 ||||
군장 |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 ||||
전차・육상병기 | 화차 · 비거 | 마름쇠 | |||
전선(戰船) |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 |
|
[clearfix]
1. 개요
문종과 성종 시대에 개발된 조선의 다연장 화포. 조선에서 자체 개발한 연발식 총포류로서, 세총통이나 승자총통처럼 작은 화살을 쏘는 소구경 화살탄을 연발로 쏘는 무기이다. 군더더기 없고 완성도가 매우 높은 기계적 구조 때문에, 조선 초기의 군사 기술력을 보여주는 화포로서 평가받고 있다.발사를 시작하면 수십초 동안 200여발의 관통탄을 쏟아붓으며, 1인 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발사 도중에도 사수가 직접적으로 방향을 변경하면서 어느정도의 조준 사격이 가능하여 중세시대의 원시적인 기관총을 현실적으로 구현하는데 성공했던 무기라고 보아도 무방하다는 의견도 있다.
2. 설명
당시 유행한 오르간 건이 변형된 무기이기도 하며, 최근에는 원시적인 기관총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을 정도로 발사시에 무려 50개의 발사관이 지연사격 되면서 수십초에 걸쳐서 200발에 달하는 관통력을 갖춘 탄환[1]을 근접한 거리에서 끊임없이 쏘아냈으며, 심지어는 1인 운용 화포로서 발사 도중에도 사수가 직접적으로 조준점을 바꿔가면서 화살비를 뿌려댈 수 있었다. 비록 원시적인 아이디어이지만, 현대의 경기관총과 유사한 효과 및 운용법이 실제로 사용되었던 중세시대의 화포였다.실질적인 개발연도는 문종 1년인 1451년으로서, 시대를 생각해도 상당히 선진적이고 독특한 무기임을 알 수 있다.
조선에는 이 총통기 이외에도 덕 풋 피스톨이나 오르간 건에 해당하는 십연자포, 오연자포와 같은 연발식 총포류가 있었다. 하지만 사용법이나 탄창의 개수에서 총통기는 굉장히 세련되고 완성도가 높은 형식이다. 가까운 중국이나 세계적으로 보더라도, 그 시대에 관통력이 충분한 탄환 200발을 연사하면서 직접적으로 방향까지 조준할 수 있는 원시적인 기관총 형태의 화약무기를 개발에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실전에 배치하고 오랫동안 써먹었던 나라는 전무하다.
또한, 의외로 경제적으로도 성능이 뛰어났다고 한다. 일종의 경기관총처럼 적의 진입로에 있는 경무장 보병들을 제압할 수 있는 이 화차를 산간 지역에 배치한다고 생각을 해보면, 최전선의 벽지에서 근무하는 상비군의 숫자를 줄이고, 위급시에도 병사들의 머릿수를 각 지역에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었다. 때문에, 많은 인력 숫자의 진입과 생활이 어려운 북방과 산악지역에서는 불필요한 군인들을 계속 추가하느라 그들이 먹는 식량과 보급품을 줄일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병사 수십명의 일제사격과 비슷한 수준의 대인 살상력을 지닌 경기관총 같은 화포를 상비하면 아군에게나 적들에게나 그곳으로 진입하기가 어려운 지형의 특성상 적은 병사들의 숫자로도 방어할 수가 있으니, 생활할 수 있는 사람들이 한정되어 있는 추운 지형 속으로 더 많은 군인들을 단순무식하게 계속해서 꼴아박아서 식량을 낭비하는 것보다는 경제적인 효과가 상당했다고 한다.[2]
한마디로, 중세시대에 맥심 기관총, 개틀링과 같은 기관총의 개념과 운용법을 현실적으로 구현해냈을 뿐만 아니라, 군사 전략적으로도 아군 병사들의 인명 손실을 방지하고 국가의 경제력에도 기여했던 선구자적인 무기 체계였다고 볼 수 있다.
3. 구조
10발의 소구경 총통을 5열로 늘어놓은 모양을 하고 있다. 즉, 한 번에 총통 50개를 사용하기 위한 무기로, 해당 총통이 4전총통[3]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한번 발사에 200발의 화살탄이 쏘아진다는 계산이 나온다.(...).다만, 사정거리는 짧은 편으로서, 주로 정면의 보병들을 발사가 완료되는 1분 내외의 시간 동안 벌집으로 만들면서 현대의 진짜 기관총에 비하면 원시적이고 위력도 많이 허술하지만, 최소한 운용과 사격이라는 측면에서는 매우 편리한 중세시대의 경기관총과 유사한 정도의 제압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보통 문종 타입 화차에 올려서 발사하는 총통기 화차로서 이름이 알려져 있다.
총통기의 구체적인 모양과 설계도는 이곳을 참조하자.
총통기 설계도
총통기 화차의 모습
[1]
총통기에 장착된 50개의 총통 하나당 대략 4개의 작은 화살을 쏘아내서 무려 200발을 20~30초 동안 발사하는데, 작은 화살들도 중세시대의 철환이 아니라 작은 화살촉이라서 현대의 관통력을 추구하는 자탄과 더욱 유사했다.
[2]
현대에도 사람이 살기 좋은 평지에는 수백만명이라도 효율적으로 살 수 있지만, 춥고 험난한 오지에는 소수의 군대를 5000명 정도만 배치하더라도 국가 예산급의 엄청난 경제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게다가 중세시절에는 사람을 죽일 수 있는 실력의 병사를 육성하려면 수십년이 걸렸고, 그런 병사들을 배치해놓더라도 적의 병사를 한명씩이라도 확실히 죽이려면 한참 시간이 걸리고 식량과 봉급을 매일매일 무지막지하게 퍼줘야 했던 시대였기 때문에, 이런 경기관총 같은 화포 하나를 산 위에 올려놓기만 하더라도 엄청난 경제력이 절약된다. 현대 국군이 최소 비용으로 수만명의 전투력을 커버할 수 있는
포방부,
화력덕후를 지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3]
한번에 4개의 화살을 장전해서 발사하는 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