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2:37:48

총석정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 강서삼묘 (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경희궁 후원
인경궁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강선루
육승정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옥호정 ·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압구정 ·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울진 삼척 강릉
월송정 망양정 죽서루 경포대
양양 고성 통천
낙산사 청간정 [[고성군(북한)|
]] 삼일포
총석정
[[북한|
: 북한소재
]]
}}}}}}}}}


1. 개요2. 상세3. 정철의 가사 관동별곡 수록4. 관광5. 관련문서

1. 개요

/ Chongsŏkjŏng

파일:총석정.png

파일:김홍도필 금강사군첩 총석정.jpg
금강사군첩 총석정, 김홍도 작.

관동( 강원도)의 8가지 명승지인 관동팔경 중 하나이다. 총석정이라는 것 자체는 이 일대에 세워진 정자를 뜻하지만, 대체로 넓은 의미에서 주상절리로 이루어진 기둥들과 절벽까지 포함한다. 북한의 북한 명승지 제13호와 천연기념물 제214호로 지정되었다.

2. 상세

북한 강원도 통천군에 소재하며 관동팔경 중 1위였다.[1]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신라 시대에 네 명의 화랑( 신라사선)이 와서 놀았다는 전설이 내려와 사선봉으로 불렸다고 한다.

파일:44641_43727_1515.jpg
참고로 주상절리 기둥들 뿐 아니라 총석정이라는 이름의 본래 주인인 정자도 남아 있다.[2]

대한민국 환화 신(新) 십환권(1953.03.17 발행) 뒷면 도안이 이 총석정이었으며, 대한민국 원으로 바뀐 후 오십원권도 앞면 도안이 총석정이었다. 현재까지 대한민국 화폐에 도안된 장소 중 유일하게 북한 지역 소재이다.

3. 정철의 가사 관동별곡 수록

관동팔경에 속하는만큼 정철이 쓴 관동별곡에도 총석정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金금蘭난窟굴 도라드러 叢총石셕亭뎡 올나ᄒᆞ니,( 금난굴을 돌아들어서 통천 총석정에 올라가니,)

4. 관광

관동팔경 중에서도 으뜸으로 여겨진 곳답게 경치가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남북분단으로 인해 현재로서는 방문이 불가능하다.

5. 관련문서


[1] 사실 풍광이 굉장히 좋은 것도 있지만, 과거에는 높고 험준한 태백산맥 때문에 한양에서 관동 지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북동쪽으로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원산까지 간 다음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는게 일반적인 경로였다. 따라서 가장 먼저 방문할 수 있는 총석정이 제일 접근성이 좋았고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질 수밖에 없었다. [2] 위 사진은 북한의 대외용 매체인 메아리에서 공개한 것인데 사진에 나온 갈매기들은 합성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