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6:32:43

개성역사유적지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문화유산
고구려 고분군
高句麗 古墳群

개성역사유적지구
開城歷史遺蹟地區
}}} }}}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개성역사유적지구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Monuments et sites historiques de Kaesong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북한|]][[틀:국기|]][[틀:국기|]] 개성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1278
등재연도 2013년
등재기준 (ⅱ)[1], (ⅲ)[2]
파일:CS_201312_66-1024x677.jpg
<colbgcolor=#fedc89> 개성 현릉 전경[3]
파일:external/www.두피디아.com/400_1199769201208611.jpg
고려 성균관 전경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0857377_STD.jpg
선죽교 전경

1. 개요2. 목록3. 여담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개성역사유적지구는 고려의 고도(古都)였던 개성시 인근의 대표적인 유적 밀집지역을 말한다. 대부분의 유적들이 고려와 관련된 유적이지만 개성 남대문이나 숭양서원처럼 조선시대에 처음으로 건립된 유적도 포함하고 있다.

2013년 6월 2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개최된 제37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4]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04년 등재된 고구려 고분군 이후 북한의 두 번째 세계유산이다.

2. 목록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만월대 개성 첨성대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개성 성벽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개성 남대문
고려 성균관 숭양서원 선죽교와 표충비
현릉, 칠릉군 및 명릉군 현정릉
}}}}}}}}}

※ 순서와 영문 명칭은 유네스코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했다.

3. 여담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 강서삼묘 (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 [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3] 현재의 모습은 북한에 의해 개건된 모습이다. [4] 2013년 6월 17일~6월 27일 [5] 말 그대로 일곱 능이 모여있는 지역. [6] 충목왕이 묻힌 명릉과 피장자가 확실하지 않은 두 능이 있다. [7] 2008년 7월 2일~7월 10일, 캐나다 퀘벡 [8] 남한 소재 고려왕릉에는 강화도 천도 시기 조성된 왕과 왕후들의 무덤인 희종의 석릉(碩陵), 고종 홍릉(洪陵), 강종의 부인이자 고종의 어머니인 원덕태후 유씨의 곤릉(坤陵), 원종의 부인인 순경태후 김씨의 가릉(嘉陵)이 있고 또 고려가 멸망한 뒤 조성된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의 무덤인 고양 공양왕릉(高陽 恭讓王陵)과 삼척공양왕릉(三陟恭讓王陵)이 있다. 즉, 고려가 존재할 당시에 조성된 고령왕릉 중 남한에 소재하는 능침은 강화도에 있는 4기가 전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