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1:04:53

청천강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일본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쓰강 · 쿠즈류가와
대만 지룽 강 ·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강 · 일리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 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 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 강 · 스와니 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황해로 흐르는 하천
<rowcolor=white> 본류 지류
<colbgcolor=#cccccc,#333333><colcolor=black,white> 대동강 남강 · 보통강 · 합장강 · 비류강 · 재령강 · 황주천
압록강 장자강 · 삼교천 · 자성강 · 장진강 ( 부전강) · 충만강 · 허천강 · 리명수
청천강 대령강 · 구룡강
례성강 구연천 · 지석천
폭포 동림폭포 · 박연폭포
기타 달천강 (안악 / 정주) · 남대천 (장연) · 림진강
동해로 흐르는 하천
본류 지류
두만강 보을천 · 회령천 · 오룡천 · 아오지천 · 서두수 ( 박천수 / 대박천수 / 동계수)
성천강 흑림강 · 호련천
룡흥강 덕지강 · 단속천 · 입석천
기타 금진강 · 남대천 (길주 / 단천 / 이원 / 북청 / 안변) · 북대천 · 수성천 · 어랑천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청천강
淸川江 | Ch'ongch'on River
파일:external/img0.yododo.com/0133E80953920885FF80808133E68B83.jpg
발원지 파일:북한 국기.svg 자강도 동신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평안북도 희천군 신풍면(명목상)
하구 파일:북한 국기.svg 평안남도 안주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평안남도 안주군 연호면(명목상)
유입 해역 황해
길이 199km
유역 평안북도 · 자강도
희천시 · 영변군 · 박천군 · 안주시
유역 면적 9,470km2
수계 미상

1. 개요2. 설명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북한에 있는 길이 199km, 유역 면적 9470 km2의 강이다. 옛 이름은 살수(薩水)라고 추청한다. 을지문덕 장군의 살수대첩이 있었던 곳이다. 안주시에 있는 골적도(骨積島)[1]는 살수대첩 당시 사망한 수나라 군사의 시체가 쌓여 이루어졌다는 전설이 있다.

삼국사기에는 살수를 삼국유미상지명, 즉 기록에 나오기는 하지만 위치를 알 수 없는 지명으로 분류했는데, 고려시대부터 살수를 지금의 청천강으로 보는 견해가 등장하더니 고려 말기에 이르러 굳어졌다. 이후 안정복은 자신의 저서 동사강목에서 " 우문술(宇文述)이 압록강으로부터 전진하여 동쪽으로 살수를 건너 평양성에서 30리 떨어진 곳에 진영을 두었다.", "우문술 등이 돌아오다 살수에 이르러 군사가 반쯤 강을 건넜을 때 고구려군이 뒤에서 그 후군(後軍)을 쳤다." 하는 기록을 들어 살수는 평양의 북쪽에 있었고 안주 청천강이 곧 살수대첩이 있었던 그 살수라고 고증해냈다. 다만 역사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현대에는 살수가 다른 곳이라고 하는 설도 존재하긴 한다. 북한은 살수를 요령성 소자하 일대로 여긴다.

청천(淸川)이라는 한화 지명이 살(薩)에 대응한다는 근거는 이름이 같은 다른 지명 사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지금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은 원래 살매현(薩買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이 청천으로 이름을 고친 것이 그것이다.

현진건이 쓴 단군성적순례에는 현지에서 이따금 옛날 무덤이나 토기 파편 같은 것을 습득하기도 했다고.

2. 설명

청남정맥(산맥 기준으로는 낭림산맥) 낭림산(狼林山: 2,014m)과 웅어수산(雄魚水山: 2,019m)에서 발원한다. 남서쪽의 요동(遼東) 방향을 취하여 유원진, 희천시, 영변군, 박천군, 안주시 등을 지나서 황해로 흘러 들어간다. 하류에서는 평안남도 평안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평안남도와 북도를 청천강을 경계로 청남/ 청북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청천강은 구조선이 거의 직선을 이루어, 압록강이나 대동강에서 감입곡류(嵌入曲流)[2]가 심한 것과는 좋은 대조를 보인다. 중류 유역은 침식 개석된 평지를 형성하며, 하류 지역에는 많은 토사를 퇴적하여 안천, 운천 등의 비옥한 충적평야를 전개한다.

지류인 희천강, 구룡강, 대령강을 합류하여 수량이 항상 풍부하므로, 주운(舟運)[3]의 편의가 많으며, 포장수력 또한 256,000kW에 달한다. 북한은 현재 고질적인 전력난 해결을 위해 청천강상에 희천발전소를 준공, 가동하는 한편 청천강계단식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그러나 한반도의 이름난 강이라고 하지만 하류에 이렇다 할 항구가 발달하지 않았다. 서해안이 그 지형적 특성(갯벌) 때문에 주로 강 하구에 항구가 발달된 것과는 대조적이다.[4] 현재 청천강 하류 지역에서 최대의 항구는 문덕군 서호로동자구에 위치한 문덕항이지만 규모는 작은 어항+화물항 수준이다. 아무래도 근처에 대도시나 대수요처가 없고, 해상운송에 있어서 지리적 이점[5]도 그다지 크지 않으니 항구 개발의 동력이 약한 탓일 듯.

전략적으로는 강원도(북한) 원산시 혹은 함경남도 함흥시와 이어서 한반도를 가르는 지경선으로 많이 쓴다. 6.25 전쟁 당시 북진할 때도, 38선부터 구획을 몇 개로 나눠 단계적으로 북진하였는데 그 라인 중 하나였다. 해리 트루먼을 비롯한 미군 수뇌부는 더글러스 맥아더가 38선 돌파하는 것을 그다지 바라지 않았으며, 하더라도 이 라인을 지키고 중국 소련에 위협을 가하지 않길 바랐다. 그러나 맥아더는 압록강- 두만강 라인까지 완벽히 밀길 원했으며, '가능하다면 중국군과 전면전까지 해도 상관없다.'는 의도를 밝혔다.

하지만 미군 수뇌부의 생각에는 이유가 있다. 한반도를 가르면 제일 길이가 짧은 구간이라 향후 전쟁에서도 수비에 매우 유리하다는 것. 서해안의 청천강유역 평야부터 동해안의 함흥평야까지 주요 곡창지도 모두 손에 들어온 상태라서 북한은 주요 곡창지를 모두 뺏기고 산악지대밖에 남지 않은 상태였다. 이 상태에서 전선을 굳혀버리면 휴전 후 자체생산능력이 없다시피 한 북한이 고사하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중국이 원조를 해줘도 대북제재가 현대처럼 발효되면 경제력 없는 북한이 얼마나 살아남을지는 미지수.

청천강 전투의 무대였다.

3. 관련 문서


[1] 청천강의 하중도이다. [2] 산지나 구릉지에서 구불구불한 골짜기 안을 따라 흐르는 하천. [3] 배로 짐 따위를 나르는 일. [4] 평안북도 신의주시( 압록강), 평안남도 남포시( 대동강), 전라북도 군산시( 금강),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강) 등. 한강의 경우는 하구에 항만은 그 정도로 큰 항만은 없지만, 이는 19세기 개항기에 수도 방위를 위해 일부러 한강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제물포를 대신 발전시킨 것에 가깝다. 물론 그 제물포는 현재의 인천광역시로 서해안 지역 최대의 항만산업도시로 지금도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한강도 결국 경인아라뱃길로 바다와 연결되었다. [5] 청천강 연선 정도 되면 중국 동북 지역으로 갈 때는 철도가 압도적으로 우세하고, 중국 중남부 지역으로 수송할 때는 그냥 남포항 등을 이용해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