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2 15:56:12

징병제/시행현황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징병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징병제/폐지현황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시행 국가의 징병제 대한민국의 징병제 · 북한의 징병제 · 태국의 징병제 · 싱가포르의 징병제 · 핀란드의 징병제 · 러시아의 징병제 · 대만의 징병제 · 이스라엘의 징병제 · 기타 국가의 징병제
폐지 국가의 징병제 일본의 징병제(1945년 폐지) · 영국의 징병제(1960년 폐지) · 호주의 징병제(1972년 폐지) · 뉴질랜드의 징병제(1972년 폐지) · 미국의 징병제(1973년 폐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징병제(1994년 폐지) · 프랑스의 징병제(2001년 폐지) · 이탈리아의 징병제(2004년 폐지) · 루마니아의 징병제(2006년 폐지) · 중국의 징병제(2011년 폐지) · 독일의 징병제(2011년 폐지)
관련 기관 병무청(대한민국) · 역정서(대만) · Selective Service System(미국) ·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징병판공실(중국)
관련 제도 병역법 · 병역제도 · 병역제도/한국역사 · 징병제 · 징병제/시행현황 · 징병제/폐지현황 · 모병제 · 대한민국의 모병제 도입 찬반 논쟁 · 병역판정검사 · 장애인 징병 · 여성 징병제 · 징집소집통지서 · 대체복무 · 국방세 · 군가산점 제도 · 병역기피자 공개제도
관련 문서 병영국가 · 군국주의 · 반군국주의 · 군사화 · 병역기피 · 양심적 병역 거부 · 병역비리 · 징병제/반대활동 · 군백기
관련 사건 Fuck the Draft · 뉴욕 징병거부 폭동 · 혈세잇키 · 병역문제대책위원회 사건 · 유승준 병역기피 사건 · 2016년 대한민국 대체복무 폐지 논란 · 2022년 뇌전증 병역비리 적발 사건 }}}}}}}}}

1. 개요2. 현황
2.1. 선택적 징병제2.2. 추첨식 징병제2.3. 징모혼합제 혹은 본인지원에 따른 비전투원, 대체복무로서 징병하는 국가2.4. 완전 징병제
2.4.1. 병역 의무 기간이 비정상적으로 긴 국가
2.5. 기타
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이 문서는 세계 각국에서 징병제를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문서이다. 해당 문서를 참고해서 작성했으며 필요시 파일을 참고하자. 또한 해당 파일을 설명해보자면 적색은 징병제, 보라색은 징병제이나 대상자 중 20% 미만만 복무, 주황색은 징병제 폐지 예정, 청색은 모병제를 의미한다. 그리고 연두색은 군대 없음, 회색은 자료 없음에 각각 해당한다. 또한, 이 기사도 내용은 같으므로 위의 링크가 불편하다면 참고하자. 그리고 해당 문서를 볼 때 나라마다 징집률이 다르기 때문에 이 점을 유의하고 볼 필요가 있다.

2. 현황

아래의 현황은 모두 징병제가 전제된 국가들로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는 모든 국민들에게 군대복무의무가 부과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즉, 선택적 징병제, 징모혼합제, 완전징병제 등이라고 하더라도 큰 틀에서는 모두 징병제의 한 유형에 불과할 뿐, 큰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할 것.

2.1. 선택적 징병제

2.2. 추첨식 징병제

2.3. 징모혼합제 혹은 본인지원에 따른 비전투원, 대체복무로서 징병하는 국가

국가 남성 여성 비고
대한민국 18개월~21개월[8] -
그리스 12개월[9] -
러시아 12개월 -
핀란드 6개월/9개월/1년[10] -
스웨덴 6개월/9개월/1년[11]

2.4. 완전 징병제

국가 남성 여성 비고
북한 8년 5년 [17]
싱가포르 1년 10개월~2년 X #
이스라엘 2년 8개월 2년~2년 8개월 #

2.4.1. 병역 의무 기간이 비정상적으로 긴 국가

5년 이상 기준이다.

2.5. 기타

3. 기타

4. 관련 문서



[1] 이스라엘이 사실상 종족국가로서 유대교 이외 타 종교에 차별이 심한 편이라 일부러 종교를 숨기기도 한다. [2] 바 라파엘리가 이걸 노리고 18살때 결혼한 뒤 면제 판정을 받은 이후 이혼했다. [3] 다만 콥트 정교회 신자들은 이집트 내에서 멸시당하는 신세이기 때문에 신자임을 숨기고 입대하는 경우도 있다. [4] 독자만 가능하며 엘시시 대통령의 산아제한정책의 일환이라고 한다. [5] 태국인 아이돌 닉쿤, , 뱀뱀은 모두 병역면제자다. [6] 징병제 자원들은 교전 등에 투입되지 않는다. [7] # [8] 2023년 기준, 육군, 해병대, 상근예비역 기준. 해군은 20개월, 공군은 21개월. 그 외 대체복무는 복무기간이 다양하며, 최대 3년인 병과도 있다. 엄밀히 말하면 징집은 육군만 시행 중이지만 타군의 병 역시 말만 모집병일 뿐 대우나 인식이 육군 징집병과 다르지 않다. 현재 한국에서 병은 병역을 이행하기 위한 이들의 계급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9] 기존 9개월이었으나 21년 12월 기점으로 상향조정, 대체복무는 17개월 [10] 병과에 따라 달라짐. 대체복무는 1년 [11] 병과에 따라 달라짐. 대체복무는 1년 [12] 국군의 해군, 해병대, 공군 병(兵)들은 일종의 지원제처럼 모집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징모혼합제라고 하면, 똑같이 이등병으로 입대해도 징집병과 직업병사로 달리 신분이 이원화 되는 징병제를 의미한다. 현재 한국에서는 자원 입대하더라도 모든 병(兵) 계층이 직업군인이 아닌 병역이행자로만 취급되고 있다. 즉, 한국의 징병제는 형식만 징모혼합이지 실제로는 완전 징병제나 다름 없다. [13] 대부분 국가의 모집병의 최소 의무복무 기간은 3~4년이다. [14] 모집병의 최소 의무복무 기간이 2년이 넘어갔다면, 이에 자원하려는 사람이 적어졌을 수도 있고 그 만큼 병력 충당이 덜 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었을 것이다. [15] 다만 녹화사업처럼 불법적으로 제비판적인 대학생을 강제징집한다는 증언이 있다. [16] 해군 입대 자체는 지원이다. 이미 소련 시절부터 해군은 복무 기간이 타군보다 길지만, 복지 수준 등이 높아 항상 지원자가 충분해 모병제만으로도 인력 수급 걱정을 하지 않았다. [17] 남자 10년, 여자 8년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18] 이슬람교의 경우 군종 이맘을, 개신교 군종 목사를, 천주교 군종 신부를, 불교의 경우 군종 승려 등으로 타 종교 군종장교를 선발해서 운영한다. 이스라엘군의 인정 종교 불교( 대승불교/ 소승불교 통합), 기독교 계통(천주교, 개신교), 유대교, 드루즈교, 이슬람교(교파(학파) 없이 시아파, 수니파 통합이다. 미군만 봐도 이슬람교의 경우 군종 이맘이 있으나 시아파 수니파 구분 없이 종파 통합으로 운영한다. 전 세계의 모든 군대는 종파를 가지지 않고 통합으로 종교 활동을 시행하며, 2개 나라만 가장 특이한 사례로 러시아의 군종 불교는 라마교 쪽 불교(티베트 불교)이고, 대한민국 불교만 전원 조계종이다.) [19] # [20] 14년에 모병제 전환했으나 돈바스 전쟁, 우크라이나 전쟁을 이유로 모병제 전환 취소 [21] 여러차례의 입대 개정 끝에 독실한 카톨릭 신자이며 스위스 국적자이기만 하면 유색인종과 여성도 지원이 가능하게 바뀌었다. 참고로 바티칸 헌병대와는 다르다. 근위대는 교황청의 경호 및 군사업무를 담당하고 바티칸 헌병대는 이탈리아인들로 구성되어 교통 및 치안과 관련된 경찰 업무를 수행한다. [22] 이슬람 국가임에도 여성을 징병대상으로 한다. [23] 물론 워낙 폐쇄적인 국가라서 징병제에 대한 자료가 들쑥날쑥하다. 2021년 2월, 국정원 발표에 따르면 복무기간이 단축되어 남성은 7년, 여성 5년으로 단축되었다고한다. 그래도 엄청 길다. 영어 위키에는 아예 "자료 없음"이라고 나와있다. [24] 사실상 세계 최악의 군국주의 국가이다. [25] 여군부대인 ATS로 입대한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때문에 여성 왕족도 마찬가지로 여군으로 비공개로 입대하지만 의무 복무한다. 샬럿 엘리자베스.다이에나공주도 여왕의 직접적인 권유를 받았으며, 성인이 되면 다른 여성 왕족 및 여왕처럼 여군 장교로 복무해야 한다고 한다. [26] 노르웨이는 2016년 7월부터, 스웨덴은 2018년 1월부터 여성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