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20:28:11

워터제트

워터젯 가공에서 넘어옴
1. 개요2. 선박의 추진기관
2.1. 메커니즘
2.1.1. 구조도2.1.2. 방식 차이2.1.3. 특제 프로펠러(임펠러)
2.2. 장점과 단점
2.2.1. 장점2.2.2. 단점
2.3. 이런저런 활용
3. 가공법의 한 종류

1. 개요

고속용 선박의 추진기관을 지칭하는 용어와 금속을 포함한 재료들을 가공하는 금속가공기술 용어 두 가지로 나뉜다. 단 선박추진기관으로써의 워터제트는 금속가공용어로써의 워터제트와 혼동을 막기 위해서인지 최근에는 펌프제트라는 용어로 더 많이 불린다.

2. 선박의 추진기관



Water Jet, Pump-jet
워터제트 추진기, 또는 펌프제트 추진기라 부른다. '제트'라는 단어의 순수한 의미대로 물을 분사한다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다. 선박의 추진기관의 종류로, 선체 내부에 수납시킨 스크류 프로펠러(터빈)를 돌려 배 밑의 취수구(흡입구)에서 빨아들인 물을 뒤로 분사해서 추진한다.

2.1. 메커니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hip%27s_Waterjet_system_%28cut_view%29_NT.png
위키피디아에 실린 워터제트 내부에서의 물의 흐름도

파일:external/cdn.wartsila.com/modular-waterjets-principle-2.png
바르질라(Wärtsilä)에서 제공한 워터제트 안에서의 물의 흐름도

단어 자체의 엄밀한 정의로써는 제트 엔진으로 분류되지만, 보통 제트 엔진이란 빨아들인 공기를 이용해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엔진을 의미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제트 엔진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로켓 엔진 또한 마찬가지로, 엄밀한 정의로는 제트 엔진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렇게 분류되지 않는다.

일반선박에서 쓰는 스크류 프로펠러를 선체 안으로 집어넣고, 취수구와 배수구를 마련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물을 빨아들이고 내뿜게 된다. 주로 고속정 등의 소형 군함에 사용되며, 소음이 적다는 장점으로 잠수함에 사용되기도 한다. 톰 클랜시의 소설 붉은 10월에서도, 직접 언급되지는 않지만 묘사상 해당 잠수함에 장착된 것처럼 묘사된다.

2.1.1. 구조도

파일:external/cdn.wartsila.com/midsize-waterjets-principle.png
바르질라(Wärtsilä)에서 제작하는 중소형 워터제트 유닛의 내부구조

파일:external/cdn.wartsila.com/modular-waterjets-principle-1.png
바르질라(Wärtsilä)에서 제작하는 중대형 모듈러 워터제트 유닛의 내부구조

2.1.2. 방식 차이

물을 빨아들이거나 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ump-jet-slow.jpg
일반적으로 선체 자체에 취수구를 내어 바로 물을 빨아들이는 워터젯 방식. 쌍동선 형태의 고속 연락선이나 고속 함정에 많이 쓰인다. 대표적인 예가 미해군 연안전투함 인디펜던스급과 스피어헤드급 원정고속수송함, 한국 씨스포빌의 고속선 등이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ump-jet-fast.jpg
외부에 취수파이프를 따로 내어 물을 빨아들이는 워터젯 방식. 고속으로 물 위를 날아서 항해하는 수중익선에 자주 쓰인다. 미군의 페가수스급 고속정 대한해협을 건너는 코비호/비틀호가 이 방식이다.

2.1.3. 특제 프로펠러(임펠러)

파일:external/www.hamiltonjet.com/Turbo%20Impeller.jpg
파일:external/www.castoldijet.it/ELICA.jpg
소형선에 쓰이는 워터제트 임펠러

파일:external/ww1.prweb.com/gI_Image.tif.jpg
파일:external/www.marinelog.com/waterjet_impeller.jpg
중-대형선 이상에 쓰이는 워터제트 임펠러

워터제트 개발 초기에는 일반적 스크류를 선체 안 워터제트 통로부분에 수납시켰으나, 이후 워터제트 추진방식이 규격화되고 발전하면서 특수하게 제작된 스크류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워터제트에 쓰이는 특제 스크류 프로펠러는 임펠러(impeller) 또는 터빈(turbine)이라고 한다. 일반 선박들의 스크류보다 좀더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특별한 모양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보통의 스크류 프로펠러랑은 생김새가 약간 다르며, 모양만 놓고 보면 회오리나 태풍을 형상화한 것 처럼 기묘하게 생겼다. 이는 유체역학이나 물의 흐름 등도 고려해서 만든 결과로 고속으로 회전하여 물을 빨아들이고 내뿜기에 좋은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2.2. 장점과 단점

2.2.1. 장점

워터제트가 일반 프로펠러 추진에 비해 좋은 점은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cms.kienthuc.net.vn/1_qtdy.jpg

2.2.2. 단점

그러나 다음과 같은 단점 또한 있다.

2.3. 이런저런 활용


파일:external/s.hswstatic.com/personal-watercraft-jet.gif
과거에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소형 함체인 제트스키나 제트보트에 주로 활용되었다.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고속정 운용에 있어서 까다로운 연안 환경이 발목을 잡아 왔기에 2007년에 진수된 윤영하급 미사일 고속함부터 워터제트를 채택했다. 다만 원양에서 운용되는 구축함 이상의 대형함에는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적용된 예는 아직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용하다는 장점 덕분에 잠수함에의 적용을 위한 연구가 꾸준히 시도되고 있는 등 대형함에서 워터제트를 사용하기 위한 연구도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파일:external/www.boat-ed.com/jet_drives.jpg
워터젯 방식의 메커니즘이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모터보트용 엔진 중에도 스크류를 안으로 집어넣은 엔진들이 나오고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조용하게 운항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폐그물 등이 감기는 경우도 줄어들고 야생동물이나 가끔씩 수영하다 모터보트 프로펠러에 갈려 다치는 사람들의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까지 볼 수 있다. 다만 당연히 일반 스크류를 달은 모터보트 엔진에 비하면 비싸기도 비싸고 메커니즘이 일반 모터보트 엔진에 비해 복잡하므로, 한번 고장난 경우 해당 보트의 선주나 고치는 수리공까지 둘 다 울릴 수 있다.

파일:external/www.voith.com/m_antriebsstrang_VLJ_1.jpg
파일:external/www.voith.com/f_linear-jet-visial-08-2013.jpg
파일:external/articles.maritimepropulsion.com/image.axd?picture=2012%2F11%2FVoith+VLJ_1.jpg
가끔 스크류 프로펠러에 테를 두른 덕티드 프로펠러(Ducted propeller) 형태인데도 워터제트라고 부르는 형태가 있다. Voith에서 제작한 리니어 제트(Linear Jet)가 그것인데, 테 자체의 단면이 비행기 날개처럼 생기고 스크류 축 부분 선체를 움푹 들어가게 설계해서 워터제트처럼 빠르게 물을 흘려보낼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국어 소개 이런 경우는 선체의 움푹 들어간 부분에서 스크류로 물을 빨아들이고, 스크류 프로펠러에서 나오는 출력을 집중시켜 워터제트와 비슷한 효과로 고속으로 움직이게 한 것이다. 물의 흐름이나 유체역학적으로 일반적 스크류 프로펠러에 비해 공동 현상과 저항을 줄이고 프로펠러에 이물질이 끼는 걸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요즘 잠수함중에서 Cavitation공동현상을 일으키는 최고속도를 높여주고 소음을 줄여주기 위해 워터제트 형태와 비슷하게 프로펠러를 원통형으로 둘러싸는 케이싱을 설치는 경우가 있다.

3. 가공법의 한 종류

'''[[기계공학|기계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기반 학문
물리학{ 고전역학( 동역학 · 정역학( 고체역학 · 재료역학) · 진동학 · 음향학 · 유체역학) · 열역학} · 화학{ 물리화학( 열화학) · 분자화학( 무기화학)} · 기구학 · 수학{ 해석학( 미적분학 · 수치해석 · 미분방정식 · 확률론) · 대수학( 선형대수학) · 이산수학 · 통계학}
공식 및 법칙
뉴턴의 운동법칙 · 토크 · 마찰력 · 응력(전단응력 · 푸아송 비 · /응용) · 관성 모멘트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이상 기체 법칙 · 차원분석(버킹엄의 파이 정리)
<colbgcolor=#CD6906,#555> 기계공학 관련 정보
주요 개념 재료( 강성 · 인성 · 연성 · 취성 · 탄성 · 경도 · 강도) · 백래시 · 피로( 피로 파괴) · 페일 세이프( 데드맨 스위치) · 이격( 공차 · 기하공차) · 유격 · 자유도 · 방열 · 오버홀 · 열효율 · 임계열유속 · 수치해석( 유한요소해석 · 전산유체역학 · 전산응용해석)
기계 공작기계 · 건설기계 · 농기계 · 수송기계( 자동차 · 철도차량 · 항공기 · 선박) · 광학기기( 영사기 · 카메라) · 로봇 · 시계
기계설계· 기계제도 척도 · 표현 방식(입면도 · 단면도 · 투상도 · 전개도) · 도면(부품도 · 제작도 · 조립도) · 제도용구(제도판 · 샤프 · · 삼각자 · 컴퍼스 · 디바이더 · 템플릿) · CAD
기계요소 하우징 · 결합요소( 나사 · 리벳 · · · ) · 동력 전달 요소( 베어링 · 기어 · 톱니바퀴 · 체인 · 벨트 · 도르래 · LM · 가이드 · 볼스크류 · · 슬리브 · 커플링 · · 크랭크 · 클러치 · 터빈 · 탈진기 · 플라이휠) · 관용 요소( 파이프 · 실린더 · 피스톤 · 피팅 · 매니폴드 · 밸브 · 노즐 · 디퓨저) · 제어 요소( 브레이크 · 스프링) · 태엽 · 빗면
기계공작법 공작기계( 선반( 범용선반) · 밀링 머신( 범용밀링) · CNC( 터닝센터 · 머시닝 센터 · 3D 프린터 · 가공준비기능 · CAM)) · 가공(이송 · 황삭가공 · 정삭가공 · 드릴링 · 보링 · 밀링 · 워터젯 가공 · 레이저 가공 · 플라즈마 가공 · 초음파 가공 · 방전가공 ) · 공구(바이트 · 페이스 커터 · 엔드밀 · 드릴 · 인서트 · 그라인더 · 절삭유) · 금형( 프레스 금형) · 판금
기관 외연기관( 증기기관 · 스털링 기관) · 내연기관( 왕복엔진( 2행정 기관 · 4행정 기관) · 과급기 · 가스터빈 · 제트 엔진) · 유체기관( 풍차 · 수차) · 전동기 · 히트펌프
기계공학 교육 · 연구
관련 분야 항공우주공학 · 로봇공학 · 메카트로닉스 · 제어공학 · 원자력공학 · 나노과학
학과 기계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로봇공학과 · 금형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기전공학과 · 원자력공학과
과목 공업수학 · 일반물리학 · 4대역학(동역학 · 정역학 · 고체역학 · 유체역학 · 열전달) · 수치해석 · 프로그래밍 · 캡스톤 디자인
관련 기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자격증
기계제작 계열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정밀측정기능사
산업기사 및 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 기계조립산업기사 · 기계설계산업기사 · 정밀측정산업기사 · 일반기계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기계가공기능장 · 기계기술사
항공 계열 기능사
항공기정비기능사 · 항공전기·전자정비기능사
산업기사 및 기사
항공산업기사 · 항공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체기술사
기타
}}}}}}}}} ||||

영상의 압력은 4000 bar.[2]
4000 bar~6000 bar의 압력으로 물체를 절단한다.[3]
파일:external/www.isacsrl.eu/waterjet_01.jpg
Water Jet Cutter


워터젯 가공법을 이용하여 닌텐도 스위치의 디스플레이에 도형을 뚫는 장면.

정확한 명칭은 워터젯 가공. 초고압으로 압축된 을 분사해 절단하는 가공법. 열에 민감하면서 경도 높은 재료[4]를 가공할 때 주로 쓰며 매질의 수급, 관리가 다른 절단 공법에 비해 수월하다.[5]

워터제트는 초고압의 물을 사파이어, 루비, 다이아몬드 등 강한 소재로 만든 아주 작은 구멍의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소재를 가공하는 가공 방법이다. 초고압수에 연마재(GARNET)를 노즐 내부에서 혼합하여 분사하면서 절단 능력을 높일 수도 있다. 따라서 순수한 수압으로 고무, 유리 같은 연성 재질을 가공할 수도, 연마재를 사용하여 티타늄, 스텐레스, 공구강 같은 아주 강한 재질을 가공할 수도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에 쉽게 녹거나 물과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소재는 가공할 수 없다. 플라즈마보다 사거리가 길며, 레이저보다 직접적인 절단력이 잘 전달된다. 절단 시 저절로 냉각이 되며, 분진이 상당히 적은 것도 장점. 그러나 최소한의 절단력을 확보하기 위한 매질 단면적이 다른 매질보다 커서 정밀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흠도 있다. 대신 정밀도가 크게 필요하지 않고, 피 절단물을 절단 공구의 미세 금속 분진이나 윤활유로 오염시키지 않을수 있다는 점에서 치즈케이크, 웨하스, 두부, 곤약 등 연한 식품을 망가지지 않게 자르는 데는 매우 유용하다. 당연히 식품을 자를 때엔 연마제는 넣지 않고 정제수를 쓴다.


워터제트 공법은 물줄기이긴 하지만 샤워기 같은 물줄기와는 차원이 다르며 엄연한 절단가공이기에 함부로 손을 대어선 안된다. 작동중인 워터젯 밑으로 사람 손이 들어가면 다치는 정도를 넘어서 아예 뼈에서 살점이 분리된다. 위 영상의 인체모형은 아주 살짝 스치는 수준으로 잠깐 들어갔는데 살점이 뜯겨 뼈가 드러날 정도임을 알려준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금속판을 예리하게 썰어버리는 절단기에 인체가 닿으면 멀쩡할 리가 없다.

불법 어선이나 포경선을 격침시킬 때처럼 주변에 물이 널려있고 상대의 방어력이 강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꽤나 효과적인 무기가 될 수도 있다.

록맨 5에서 등장하는 웨이브맨의 무기인 워터 웨이브가 이 워터 제트 가공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물기둥을 사용하면 피가 낮은 자코들은 모조리 관통을 당해버리는 것이 특징.


[1] Cavitation, 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인해 근처 압력이 물의 증기압 이하로 떨어졌을 때 공기방울이 생겨 프로펠러를 손상시키는 현상이다. 베르누이 방정식을 참조하면 왜 프로펠러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이 떨어지는지 알 수 있다. [2] 이게 어느 정도로 센 압력인가 하면, 1(bar) = 100000(pa) 이므로 4000(bar) = 400000000(pa) 대기압인 101325(pa) 의 약 4000배에 해당한다! 어마어마하게 큰 압력인 셈. [3] 마리아나 해구 수압의 4~6배. [4] 다이아몬드나 비철계 합금, 몇몇 연철이 여기 해당된다. [5] 물을 사용하는데다가 뒷처리방법도 그냥 물을 닦아내면 끝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