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기계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기반 학문 | |
물리학{ 고전역학( 동역학 · 정역학( 고체역학 · 재료역학) · 진동학 · 음향학 · 유체역학) · 열역학} · 화학{ 물리화학( 열화학) · 분자화학( 무기화학)} · 기구학 · 수학{ 해석학( 미적분학 · 수치해석 · 미분방정식 · 확률론) · 대수학( 선형대수학) · 이산수학 · 통계학} | ||
공식 및 법칙 | ||
뉴턴의 운동법칙 · 토크 · 마찰력 · 응력(전단응력 · 푸아송 비 · /응용) · 관성 모멘트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이상 기체 법칙 · 차원분석(버킹엄의 파이 정리) | ||
<colbgcolor=#CD6906,#555> 기계공학 관련 정보 | ||
주요 개념 | 재료( 강성 · 인성 · 연성 · 취성 · 탄성 · 경도 · 강도) · 백래시 · 피로( 피로 파괴) · 페일 세이프( 데드맨 스위치) · 이격( 공차 · 기하공차) · 유격 · 자유도 · 방열 · 오버홀 · 열효율 · 임계열유속 · 수치해석( 유한요소해석 · 전산유체역학 · 전산응용해석) | |
기계 | 공작기계 · 건설기계 · 농기계 · 수송기계( 자동차 · 철도차량 · 항공기 · 선박) · 광학기기( 영사기 · 카메라) · 로봇 · 시계 | |
기계설계· 기계제도 | 척도 · 표현 방식(입면도 · 단면도 · 투상도 · 전개도) · 도면(부품도 · 제작도 · 조립도) · 제도용구(제도판 · 샤프 · 자 · 삼각자 · 컴퍼스 · 디바이더 · 템플릿) · CAD | |
기계요소 | 하우징 · 결합요소( 나사 · 리벳 · 못 · 키 · 핀) · 동력 전달 요소( 베어링 · 기어 · 톱니바퀴 · 체인 · 벨트 · 도르래 · LM · 가이드 · 볼스크류 · 축 · 슬리브 · 커플링 · 캠 · 크랭크 · 클러치 · 터빈 · 탈진기 · 플라이휠) · 관용 요소( 파이프 · 실린더 · 피스톤 · 피팅 · 매니폴드 · 밸브 · 노즐 · 디퓨저) · 제어 요소( 브레이크 · 스프링) · 태엽 · 빗면 | |
기계공작법 | 공작기계( 선반( 범용선반) · 밀링 머신( 범용밀링) · CNC( 터닝센터 · 머시닝 센터 · 3D 프린터 · 가공준비기능 · CAM)) · 가공(이송 · 황삭가공 · 정삭가공 · 드릴링 · 보링 · 밀링 · 워터젯 가공 · 레이저 가공 · 플라즈마 가공 · 초음파 가공 · 방전가공 ) · 공구(바이트 · 페이스 커터 · 엔드밀 · 드릴 · 인서트 · 그라인더 · 절삭유) · 금형( 프레스 금형) · 판금 | |
기관 | 외연기관( 증기기관 · 스털링 기관) · 내연기관( 왕복엔진( 2행정 기관 · 4행정 기관) · 과급기 · 가스터빈 · 제트 엔진) · 유체기관( 풍차 · 수차) · 전동기 · 히트펌프 | |
기계공학 교육 · 연구 | ||
관련 분야 | 항공우주공학 · 로봇공학 · 메카트로닉스 · 제어공학 · 원자력공학 · 나노과학 | |
학과 | 기계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로봇공학과 · 금형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기전공학과 · 원자력공학과 | |
과목 | 공업수학 · 일반물리학 · 4대역학(동역학 · 정역학 · 고체역학 · 유체역학 · 열전달) · 수치해석 · 프로그래밍 · 캡스톤 디자인 | |
관련 기관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 |
자격증 | ||
기계제작 계열 |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정밀측정기능사 |
|
산업기사 및 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 기계조립산업기사 · 기계설계산업기사 · 정밀측정산업기사 · 일반기계기사 |
||
기능장 및 기술사 기계가공기능장 · 기계기술사 |
||
항공 계열 |
기능사 항공기정비기능사 · 항공전기·전자정비기능사 |
|
산업기사 및 기사 항공산업기사 · 항공기사 |
||
기능장 및 기술사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체기술사 |
||
기타 |
대표적인 외연기관인 증기기관의 모식도.[1] |
1. 개요
外 燃 機 関 / External Combustion Engine열기관의 일종으로, 기관 내에서 연소까지 이뤄지는 내연기관과는 달리, 외부에 설치된 연소장치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 에너지로 매개물질(증기기관이나 증기터빈의 경우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매개물질의 기화 혹은 팽창으로 발생한 압력으로 기계를 작동시키는 형태의 기관이다.
대표적 외연기관인 증기기관은 산업 혁명의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으며 증기선이나 증기 기관차의 동력원으로 널리 쓰였고, 특히 철도에서는 내연기관이나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기관차가 발달하는 20세기 중후반 이전까지는 증기 기관차가 교통의 주력을 담당하고 있었다. "EC Engine" 또는 "ECE"로도 불린다.
2. 장단점
내연기관에 비해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있다.- 연소부와 기관부가 분리되어 있고 매개물질까지 필요하므로 전체적인 무게와 덩치가 커진다. 증기기관의 경우 연료인 석탄보다 매개물질인 물의 무게가 더 나갈 정도. 매개물질을 순환시켜 재사용하면 그나마 낫지만 아무 기관에서나 되는 게 아니고 그래도 무거운 것은 매한가지다. 산업 혁명 당시 증기 기관차는 오랫동안 자리잡았어도 증기 자동차는 승용·승합차로써 빨리 도태된 이유다. 철도가 아닌 일반 도로에서는 도저히 무게를 버틸 수가 없었기 때문.
- 중간에 매개물질을 거쳐야 하므로 열손실이 발생한다. 즉 그만큼 열효율이 낮다.
- 즉답성이 떨어진다. 매개물질이 가열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심지어 끌 때도 한 번에 꺼지지 않는다.[2] 일례로 증기 기관차의 경우 시동 및 예열에만 1~2시간이 걸린다. 선박용 대형 증기터빈 같은 경우는 최고 출력으로 올리는 데에 무려 6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까지 있다. 오늘날의 일반적인 탈것에서 외연기관이 사장된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장점도 있다.
- 연료 선택(열원)의 자유도가 높다. 가장 큰 장점. 내연기관은 연료의 연소압을 직접 이용하므로 해당 기관에 세심하게 맞추어 정제된 유체 연료( 휘발유, 경유, 항공유 등)만 이용해야 하지만, 외연기관은 어떻게든 열만 발생시키면 되기 때문에 딱히 정제된 연료를 쓸 필요가 없고 석탄이나 장작 등의 고체연료를 포함해 심지어 가연성 쓰레기까지 이론적으로 무엇이든 태워도 되며, 굳이 태우지 않더라도 충분한 열을 얻을 수만 있다면 무엇이든 열원으로 선택할 수 있다.[3] 따라서 전체적인 열효율은 떨어지더라도 오히려 연료비는 적게 든다.
- 기관 내에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기관부를 더욱 단순하게 만들 수 있고, 기관부 내부가 오염될 우려가 적다. 그래서 낮은 기술력으로도 제작, 정비가 가능하다.
- 같은 이유로 연료의 연소를 세심하게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대형화에 유리하다. 반면 내연기관은 커질수록 연료의 연소를 조절하기 어려워 불균일연소가 쉽게 일어나므로, 출력을 키우려면 작은 기관 여러 개를 모으는 방식으로 제작해야 하다보니 높은 통제기술과 비용이 요구된다.
- 실제로 앞에서 언급된 이유들은 증기 자동차보다 증기 기관차가 더 오랫동안 도태되지 않고 버틴 이유이고, 증기 버스보다 증기 트럭이 오래간 이유이다. 내연기관이 출력이 커지는 데에는 의외로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오늘날의 소형 상용 엔진들은 대부분 내연기관이 대세가 되었지만 즉답성은 별로 필요하지 않고 대신 기관 자체의 대형화를 통한 대출력과 연료비 절감이 더 중요한 대형 선박이나 발전기 등에서는 오늘날에도 증기 터빈이 널리 쓰이고 있다. 화력 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도 발생된 열로 물을 끓여서 증기를 만들고 증기로 터빈을 돌려서 발전한다. 소모되는 매개체인 물은 식은 증기를 회수해서 물로 바꿔서 재사용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해결한다. 증기자동차나 증기기관차로는 물 회수 장치까지 달았다가는 부피가 엄청나게 커지기 때문에 어렵다. 대형 발전기니까 부피 문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가능한 것.
3. 외연기관의 종류
4. 관련 문서
[1]
다만 본 모식도에는 연소실과 보일러를 제외한 기관부만 나타나 있다.
[2]
물로 끄면 되지 않냐고 하는데 그렇게 끄면 기계가 금방 부식되고 타다 남은 연료는 못쓰게 된다.
[3]
실제로 자원이 매우 부족한
북한에서는
증기 기관차에
폐타이어까지 때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물론 환경 오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