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2:15:21

동대입구역

동대입구
파일:Seoulmetro3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영어 Dongguk Univ.
한자 東大入口
간체자 东国大学
가나 [ruby(東大入口, ruby=トンデイック)]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지하256 (장충동2가 199-3)
운영 기관
3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3호선 1985년 10월 18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
6.1. 2번 출구6.2. 3번 출구6.3. 4번 출구6.4. 5번 출구6.5. 6번 출구
7. 무한도전 촬영8. 여담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 332번[1].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지하256 (장충동2가 199-3) 소재.

2. 역 정보

파일:동대입구역 3호선.jpg
대합실
파일:동대입구역 안내도(2023).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인근에 동국대학교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당초 '장충역(奬忠驛)'이란 이름으로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동국대학교 부지를 지나가는 바람에 보상 차원에서 개통 직전에 동대입구역으로 급히 역명을 바꾸게 된다. 다만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숙대입구역, 총신대입구역과는 달리 병기역명으로 살아남지는 못했다. 지하철이 학교 부지 지하를 지나가기 때문에 학내 곳곳에서 진동을 느낄 수 있다. 이 진동을 가장 느끼기 쉬운 곳은 정보문화관 P동 1층의 좌선실이다. 조용한 자아와 명상 수업을 듣고 있으면 몇 분 간격으로 땅바닥이 진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학내 커뮤니티 디연에 따르면 체육관 쪽문 쪽에 위치한 원룸에서도 진동을 느낄 수가 있다고 한다.

불교계 대학인 동국대학교 앞의 지하철역이기에 사찰을 연상케 하는 디자인이 특징이다.[2]

서울 지하철 6호선 초기 계획에서는 장충단로를 경유해 3호선과 이 역에서 환승하려 했으나 공사 난이도의 상승, 동대문운동장역의 혼잡도 상승, 선형 문제 등으로 인해 다산로를 경유하여 3호선과 약수역에서 환승하는 현재의 노선으로 건설됐다.

한때 '신라면세점'을 병기역명으로 제정했었다가[3] 현재는 사용계약 만료로 표기하지 않고 있다.

뜬금없이 춘천 삼천동 국악예술회관 앞에 구 역번호인 22번이 들어간 이 역의 구 폴사인이 남아있다. 어떤 이유로 해당 장소에 폴사인이 설치된 것인지는 불명. 답사기

3. 역 주변 정보

장충동2가에 있는 역이며 3번과 4번 출구는 장충동1가에 있다. 역명답게 동국대학교가 바로 가까이 있고, 그 앞에 장충단공원 장충체육관, 서울신라호텔, 장충파출소 등이 있다.

4번 출구에서 약수동 방향으로 500m를 가면 3·6호선 환승역 약수역이 나온다. (마포, 용산 등 6호선 역을 이용한 사람들은 약수역을 통해 동국대학교를 간다.)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장충체육관과 연결되며 출구 앞에는 장충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쓰는 프로배구 GS칼텍스 서울 KIXX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의 포토존이 세워져 있다. 장충체육관에서 배구 경기가 열릴 경우 5번 출구 바로 앞에 구단 버스를 주차해 두어서 경기가 끝나면 선수들의 퇴근길을 보려는 팬들 때문에 출구 앞이 혼잡하다.

6번 출구에서 동국대학교 혜화문까지 120m 정도 떨어져 있고 걸어서 2~3분 정도 걸린다. 혜화문까지 가는 길은 극심한 오르막길이다. 장충단공원 에스컬레이터가 2010년 개통되었고 6번 출구 에스컬레이터까지 콤보로 완비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를 타면 문화관이나 학술관은 오르막을 오르지 않아도 되지만 사회과학관이나 경영관 등으로 갈 경우 또 계단이나 오르막길을 걸어야 하며 체력 소모가 심하다.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으나 잦은 운행 중단과 모기떼의 습격이 문제다. 만약 혜화관 4층 이상의 높이로 올라갈 경우 차라리 충무로역에서 내리는 편이 낫다. 신공학관·기숙사쪽 골목으로 와서 급행 엘리베이터를 타면 바로 팔정도까지 올라올 수 있다.

장충체육관은 주로 배구 및 씨름 경기가 진행되며, 각종 문화행사도 하고 있다. 그리고 반대편으로 나가면 족발덕후들의 성지인 장충동 족발골목이 자리잡고 있다. 그 외에도 동대문 인근 숨은 맛집들이 많다. 이 역에서 한 블록만 위로 올라가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거리가 나온다. 또한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 태극당[4]이 2번 출구 앞에 있다. 특히 ‘모나카 아이스크림’으로 유명하며 옛날 분위기가 남아 있어서 중장년층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하지만 과거의 안 좋은 위생 상태는 여러 번 방송을 탄 바 있었고 그래서 태극당에서는 이미지 쇄신을 위해 2015년 경 개점 70주년[5]을 앞두고 대규모 리뉴얼공사가 이루어졌다.

2번 출구로 나가서 태극당 옆 골목길로 조금 올라가면 타이완 불교 사원인 서울불광산사가 있다.

이 역 사거리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방면 길을 제외한 나머지 3개 방향이 전부 오르막길이다. 또한 6번 출구에서 내려서 장충단공원 방향으로 가면 남산공원으로 가는 길이 나오며[6], 남산순환버스 01번과 국립극장으로 가는 셔틀버스(공연 시간 전 한정)를 탈 수 있다.

3번 출구 앞에 종이나라 빌딩이 있는데, 색종이 제조 업체인 종이나라가 소유 중인 빌딩이다. (본사는 충주시 소재) 이 건물에는 종이나라박물관, 도서출판 종이나라, 종이문화재단 등이 있다. 종이나라박물관의 관람 시간은 아침 9시 30분부터 저녁 6시이며, 5시 30분에 입장을 마감한다. 일요일 및 국가공휴일에는 휴관한다.

4번 출구는 2020년 4월 8일부터 2020년 6월까지 출입구 캐노피 공사로 인해 임시폐쇄 된 적이 있었다.

여담으로 사대문 안에 위치한 역 중에서 가장 강남3구와 가까운 역이다.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압구정역까지 같은 3호선에서 고작 4정거 거리로 네이버 지도 기준 7분 밖에 안 걸리는 곳이며 강남의 중심 도로인 강남대로를 낀 신사역까지도 9분 밖에 안 걸린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 한양도성에서 강남까지 대중교통으로 10분 이내에 갈 수 있는 곳은 사실상 이곳하고 전 역인 충무로역, 전전역인 을지로3가역이 전부이다.

3번 및 4번 출구 근처에 주한 튀르키예대사관이 있다. 또한 그 옆 건물에는 성소수자 부모모임 사무실이 있다.

3번 출구 근처에 베네딕토회 서울 수도원 분도출판사가 있다. 이 역 3번 출구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4번 출구의 거의 정 중앙에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3_icon.svg 동대입구역 출구 정보
1,2,6번 출구
1 장충동2가
퇴계로 방면
충무초등학교
서울시티투어버스 승차장
대한간호협회
장충문화체육센터
2 장충동2가
쌍림동
장충동 족발골목
광희동주민센터
퇴계로 방면
6 남산서울타워
국립극장·장충동작은도서관
공연예술박물관
남산공원
동국대학교
남산2호터널 방면
예장주차장
한남동 방면
3,4,5번 출구
3 장충동주민센터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방면
장충동1가
4 장충지구대
약수역 방면
5 장충체육관
신라호텔
신라면세점
유유제약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ef7c1c><bgcolor=#ef7c1c> 연도 || 파일:Seoulmetro3_icon.svg ||<bgcolor=#ef7c1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27,049명
1995년 27,274명
1996년 26,548명
1997년 25,880명
1998년 25,834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25,674명 비고
2001년 26,962명
2002년 26,569명
2003년 25,883명
2004년 24,387명
2005년 23,966명
2006년 24,318명
2007년 23,882명
2008년 23,239명
2009년 25,779명 }}}}}}}}}
2010년 27,257명
2011년 28,425명
2012년 26,860명
2013년 25,313명
2014년 25,333명
2015년 24,967명
2016년 25,207명
2017년 25,192명
2018년 24,541명
2019년 25,182명
2020년 13,144명
2021년 13,245명
2022년 17,650명
2023년 20,966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7]

하루 평균 2만 5천여 명이 꾸준하게 이용하는 역으로, 2000년과 2019년의 이용객 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신기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도심지의 역인 것을 감안하면 이용률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며, 실제로 사대문안에 위치한 역들 중 가장 이용률이 저조한 역이며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이전에는 유일하게 사대문안의 역들 중 1일 평균 승객 5만 명을 찍지 못한 역이였다.[8] 동국대학교를 끼고 있어 대학 수요가 있고, 장충체육관이 있어 배구팬 수요를 잡을 수 있고, 신라면세점, 서울신라호텔과 장충동 족발거리와 남산행 버스[9]의 기점이어서 관광객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유리한 입지를 감안하면 의외의 결과인데, 가장 중요한 상권/업무지구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중구는 유동인구가 많은 이유다.) 학생들을 노린 술집이나 코인노래방 등도 대부분 충무로역에 가깝기 때문에 집에 가는 학생들이 동대입구역이 아닌 충무로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충무로역은 3, 4호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환승역이며 학교 신공학관에 설치된 급행 엘리베이터와 가까우므로 동국대학교 학생들은 동대입구역이 아닌 충무로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10][11]

안 그래도 수요가 적은데 2020년에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프로배구의 무관중 경기와 대학교의 비대면 수업이 실시되자 배구 경기 관중과 동국대 학생 수요가 쭉 빠져나가면서 이용객이 거의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2021년도 상황은 그닥 나아지지 않았는데, 점진적으로 위드코로나로 정착할 것으로 전망되는 2022년에는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5. 승강장

파일:attachment/185181.jpg
3호선 승강장
파일:동대입구역 역명판.jpg
3호선 역명판
충무로
약수
3호선 역 중에서 종로3가역, 남부터미널역과 함께 붉은색 벽돌로 만들어진 역 중 하나이다.[12]
압구정역과 더불어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매우 넓으니 승,하차시 발 빠짐 사고에 유의하여야 한다.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충무로· 종로3가· 구파발· 대화 방면
약수· 옥수· 수서· 오금 방면

6. 연계 버스

6.1. 2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장충동.동국대입구(02204) ||
간선
지선
심야

6.2. 3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장충동.동국대입구(02203) ||
간선
지선
심야

6.3. 4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장충체육관앞(02201) ||
간선
지선
심야
공항

6.4. 5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장충체육관앞(02202) ||
간선
지선
심야
공항

6.5. 6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동대입구역.장충동(02222) ||
순환

7. 무한도전 촬영

8. 여담

9.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f7c1c>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dc0d1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dc0d1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을지로입구(202)
파일:Seoulmetro3_icon.svg 동대입구(332)
파일:Seoulmetro4_icon.svg 명동(424), 회현(425)
파일:Seoulmetro6_icon.svg 버티고개(632)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KTX BI_White, Red.svg 서울
파일:삼태극.svg 시청(132, 201)
1호선, 2호선
을지로3가(203, 330)
2호선, 3호선
을지로4가(204, 535)
2호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205, 422, 536)
2호선, 4호선, 5호선
신당(206, 635)
2호선, 6호선
충무로(331, 423)
3호선, 4호선
약수(333, 633)
3호선, 6호선
청구(537, 634)
5호선, 6호선
서울역(133, 426, P313, A01)[용산구]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



[1] 개정 전 22번 [2] 비슷한 사례로 부산의 범어사역이 있다. [3] 병기역명 제정 당시 안내방송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4] 군산에 위치한 이성당보다 약 1년 늦은 1946년 명동에서 개업하였다. 최근에는 복고 마케팅으로 서울시내 여러 곳에서도 분점을 개설하여 현재는 이태원, 인사동, 여의도 더현대 서울에 분점을 개설했다. [5] 참고로 현재의 건물은 1973년에 지어졌다. [6] 사실 5번 출구로 나와 장충체육관을 끼고 돌면 신라호텔 뒤쪽으로 해서 서울 성곽을 따라 걸어 올라갈 수 있는 길이 하나 더 있긴 한데, 여긴 애시당초 입구 위치를 모르면 찾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입구가 요상하게 숨어 있다. [7]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8] 5만 명은 커녕 3만 명도 안 됐으니 얼마나 다른 사대문안의 역들과 격차가 컸는지 알 수 있다. [9] 성수기 기간에 남산순환버스 승차시 이 역에서 이용하기에는 굉장히 쉽지 않다. 02번도 충무로역에서 타야 그나마 안정적이며, 03번은 서울역, 05번은 명동역에서 타지 못하면 앉아가기에는 이미 늦었다. 입석 또한 동대입구역에서 다 못태우고 다음, 다다음 버스를 타고도 끼어가는 상태로 남산을 올라가기 때문에 불편함이 매우 크다. [10] 충무로역 이용객 수가 모두 4호선에 다 집계돼서 3호선 이용객 수는 알 수 없지만 확실한 건 4호선을 이용하는 승객이 더 많다는 것이다. 게다가 4호선 충무로역 다음 역이 명동역이라는점 때문인지 요즘은 충무로가 아닌 명동으로 가는 바람에 완전히 4호선 쪽으로 통계가 된다. [11] 진접, 과천, 평촌, 안산 등지에 사는 동국대생들은 당연히 충무로역까지 걸어가 4호선을 타고 간다. [12] 다만 종로3가역 처럼 전체로 만들어진게 아니라 남부터미널 역처럼 부분별로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