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20:18:59

상화병

'''[[떡|{{{#!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2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07CD7><colcolor=#fff>
찌는 떡
가랍떡 · 감떡 · 감자떡 · 개떡 · 거말떡 · 고구마떡 · 구름떡 · 귀리떡 · 근대떡 · 김치떡 · 깻잎떡 · 꿀떡 · 느티떡 · 달떡 · 달팽이떡 · 당귀떡 · 당콩떡 · 댑싸리떡 · 더덕떡 · 도토리떡 · 두텁떡 · 마꽃떡 · 만경떡 · 망개떡 · 메싹떡 · 무지개떡 · 무치 · 밀기울떡 · 밤떡 · 백설기 · 보리떡 · 복령떡 · 복숭아떡 · 봉치떡 · 상추떡 · 새미떡 · 서속떡 · 석이편 · 석탄병 · 솔방울떡 · 송편 · 순채떡 · 술떡 · 시루떡 · 여주산병 · 옥수수떡 · 외랑떡 · 율무떡 · 인삼떡 · 임지떡 · 조롱이떡 · 조침떡 · 청치주먹떡 · 취떡 · 칠곡떡 · 콩떡 · 호박떡 · 혼돈병 · 흑임자떡
치는 떡
가래떡 · 개피떡 · 고치떡 · 바나나떡 · 배피떡 · 살구떡 · 송기떡 · 숯떡 · 오쟁이떡 · 인절미 · 절편 · 좁쌀떡 · 찹쌀떡 ( 찰떡)
지지는 떡
곤떡 · 괴명떡 · 구절떡 · 노티 · 부꾸미 · 비지떡 · 빙떡 · 생강떡 · 우메기 ( 개성주악) · 조망댕이 · 호떡 · 화전
삶는 떡
경단 · 꼬장떡 · 닭알떡 · 돌래떡 · 오그랑떡 · 오메기떡 · 잣구리 · 즘떡
기타
LA 찹쌀떡 · 기름떡볶이 · 노점 떡갈비 · 떡국 · 떡국떡 · 떡꼬치 · 떡만둣국 · 떡볶이 · 떡케이크 · 모시떡 · 물떡 · 소떡소떡 · 약밥 · 웃기떡 · 주걱떡 · 총떡 }}}}}}}}}

파일:상애떡.jpg
상화병 霜花餠
1. 개요2. 역사3. 기타4.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상화병(霜花餠)은 고려시대에 원나라에서 전해온 외래음식이다. 사투리로 상애/상외/상웨/상화+병/떡이라고도 불린다.

근현대기에는 레시피가 비슷한 찐빵 등으로 대체되면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멸하였고, 오직 제주도에만 향토 요리로 남아있다.

2. 역사

서리가 내려 앉은 것처럼 하얗다 해서 서리 상, 꽃 화, 떡 병 자를 써서 상화병이라고 부른다. 음력 6월에 찾아오는 명절인 유두에 먹는 음식 중 하나이며 밀가루에 생막걸리를 섞고 반죽하여 이나 을 섞은 소나 고기 혹은 두부를 야채와 섞은 소[1]를 넣어 찐 음식으로 조선 시대에 명나라 사신들을 영접하는데 쓰인 떡이기도 하다. 흔히 보는 찐빵이나 왕만두랑 크게 다르지 않으며 맛도 차이가 안 난다. 효모의 활성화가 맛을 좌우하기 때문에 만들 때 일반 막걸리보다는 생막걸리를 이용하여야 한다.

고려시대에 이 상화병을 팔던 가게가 바로 고려가요에도 나오는 쌍화점으로, 한국 만두의 유래를 쌍화점의 상화병으로 본다. 이 시기 밀가루는 아주 귀한 음식이었기 때문에 상류층들이 먹었고 이후 조선 시대에도 별미로 꼽힌 음식이다. 물론 이때도 밀가루가 귀했다.

제주도는 현무암질의 토양을 지닌 지대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농사 보다는 보리같은 농사가 보다 주류였다. 때문에 제사에서도 쌀로 만든 이 아닌 보리로 만든 쌍화병을 올리는 경우가 더 흔했으며, 이 전통은 현대까지 이어져 제주도 제사상에는 카스텔라 롤케이크같은 빵이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3. 기타

예전에는 밀가루로 만든 것은 에 속했지만 시대적으로 개화기 이전에는 밀가루로 만든 음식도 떡으로 취급하였으므로 떡으로 취급한다.

4. 외부 링크

상화의 역사 및 만두와의 차이에 대한 글

[1] 《영접도감의궤 (迎接都監儀軌)》에 고기나 두부를 넣은 상화병의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