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형주
삼국지 | 三國志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colbgcolor=#980000> 삼국 | 조조 |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조위정통론 | |
유비 |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촉한정통론 | ||
손권 | 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
관련 정보 | 인물 · 연표 · 지명 · 관직 · 이름 표기 · 삼국지연의/수혜자 · 삼국지연의/피해자 · 삼국지연의/미등장인물 | ||
관련 작품 | 소설 · 만화 · 책 · 영화 · 애니메이션 · 드라마 · 라디오 드라마 · 게임 | }}}}}}}}} |
후한 13주 | |||||||||||||
사례 司隸 |
연주 兗州 |
예주 豫州 |
기주 冀州 |
유주 幽州 |
병주 幷州 |
옹주 雍州 |
양주 涼州 |
익주 益州 |
청주 靑州 |
서주 徐州 |
형주 荊州 |
양주 揚州 |
교주 交州 |
|
1. 개요2.
위 소속 형주자사부, 일명 영주
2.1. 남양군(南陽郡)2.2. 남향군(南鄕郡)2.3. 양양군(襄陽郡)
3.
오 소속 형주목2.3.1. 양양남부도위부(襄陽南部都尉部)
2.4. 강하군(江夏郡)2.4.1. 강하남부도위부(江夏南部都尉部)
2.5. 위흥군(魏興郡)2.5.1. 석군(錫郡)
2.6. 상용군(上庸郡)2.7. 신성군(新城郡)3.1. 남군(南郡)3.2. 강하군(江夏郡)
4. 같이보기3.2.1. 무창군(武昌郡)
3.3. 의도군(宜都郡)3.4. 건평군(建平郡)3.5. 무릉군(武陵郡)3.5.1. 천문군(天門郡)
3.6. 장사군(長沙郡)3.6.1. 한창군(漢昌郡)
3.7. 형양군(衡陽郡)3.8. 상동군(湘東郡)3.9. 영릉군(零陵郡)3.10. 계양군(桂陽郡)3.10.1. 시흥군(始興郡)
3.11. 임하군(臨賀郡)1. 개요
기원전 107년에 처음 자사를 설치할 때, 이 방면을 맡는 자사의 감찰 구역이 원래 예주 이남의 남부 지방을 가리키던 지방 이름인 형주(荊州)와 겹치는 부분이 있어 형주자사부가 되었다. 사실 형주는 초나라를 형만(荊蠻)으로 멸칭하면서 발생한 이름이다. 현재의 후난성과 후베이성 전역 및 허난성 남부 지역에 해당한다.
후한 때 형주자사의 치소는 무릉군 한수현에 있었는데, 190년에 유표가 형주자사가 되었을 당시 부임할 수 없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형주 상황은 매우 불안정한 상황으로, 189년에 장사태수 손견이 형주자사 왕예를 살해했고, 원술은 손견을 사주해 남양태수 장자를 죽여 남양군을 점거하였으며, 호족들의 사병들을 가리키는 '종적(宗賊)'들이 각지에서 할거하고 있었다. 결국 유표는 초나라 때 북진수(北津戍)로 불리던 곳에 새로운 성을 건설하여 남군 양양현을 이전해 오고 자신의 근거지로 삼았다. 채모나 괴월 같은 양양 호족들의 협력을 얻어 형주 각지에서 할거하던 호족들을 살해하여 각 군·현을 장악하고, 반동탁연합에 친화적인 태도를 보이며 원술을 인정했다. 이후 원술이 원소와 대립하자 유표는 원소에게 협력했는데, 이에 원술이 손견을 보내 최대의 위기를 맞았으나, 손견을 기습하여 전사시켰다. 193년 무렵에 형주목으로 승격하고 원술도 남양군에서 완전히 쫓아내어, 명실상부한 형주 전역의 통치자가 되었고 형주 안에서는 황제와 같은 행세를 했다. 유표는 삼보(三輔)에서 밀려난 장제- 장수 세력을 남양군 일대에 배치해 조조의 남하에 대비하였으나, 동쪽으로는 손견의 아들인 손책이 양주(揚州) 강동 일대를 장악하면서 손견의 복수를 명목으로 유표와 적대했고, 남쪽으로는 장사태수 장선이 영릉군·계양군까지 끌어들여 유표에게 반기를 들었기에, 형주 이외로 세력을 확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3군을 제압한 뒤에는 교주목 장진이 죽은 틈을 타서 뇌공을 교주자사로 임명해 교주 방면으로 진출을 시도했으나, 자신이 임명한 창오태수 오거가 독립하여 실패했다.
유표는 오거에게 교주로의 진출을 저지당한 뒤로는 세력 확장을 시도하지 못했다. 관도대전 이후부터 기존에 유표를 지원해오던 양양 호족들은 형주에서의 할거를 중단하고 조조에게 투항할 것을 유표에게 요구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유표는 조조와 적대하는 유비를 받아들여 남양군 신야현에 주둔시킴으로 조조와의 대치를 이어갔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이들의 반발을 억누르지는 못했던 것 같다. 208년에 손권이 강하태수 황조를 살해하고 강하군·장사군·남군의 동부지역을 점거하는 일까지 발생했다. 그해 유표가 죽자, 유종이 채모 등의 추대를 받아 형주자사를 승계하면서 곧바로 조조에게 투항했고,[1] 이를 기회로 여긴 조조는 곧바로 형주로 남하했다.
그러나 같은 해 적벽대전으로 조조의 남하는 저지되었고,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은 그대로 남군을 공격하여 209년에 남군을 지키던 조인을 쫓아내는 데 성공했다. 남군을 점령하자 손권은 멋대로 주유를 남군태수에 임명했다. 이때 유비는 유표의 장남인 유기를 유표의 후계자로 추대하고, 공안에 새로운 형주목의 치소를 마련하고 있었는데, 유기가 죽자 유기의 후계자로써 형주목을 자칭했으며, 형주 현지에서도 유비에 호응했는지 유비는 순식간에 형주 남부의 4군을 장악하였다. 형주를 차지하려던 손권과 주유에겐 달가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두 세력은 충돌하지 않았고, 오히려 이때 유비가 직접 단도현의 경성으로 손권을 직접 찾아가 손권을 거기장군 겸 서주목으로 추대하고, 손권은 자기 여동생을 유비와 혼인시켜 유비를 감시하게 했다. 확실하지는 않으나, 아마도 이 시점에 유비가 스스로 '형주대여론'을 손권에게 직접 제시하면서, 손권에게서 형주 지역의 태수로 임명되어 활동하는 주유와 황개 등의 퇴거를 요구하고, 토로장군에 불과하여 부하들을 장군으로 임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던 손권에게 거기장군 추대를 제안하는 정치적 이득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점에 손권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주유가 완강하게 이를 반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주유가 죽자 강하태수 정보가 남군태수 직을 이었는데, 그 직후에 손권이 결국 유비의 '형주대여론'을 수용했는지, 결국 정보를 다시 강하태수로 임명한 것이 확인된다.
210년을 기준으로 형주 분할 상황을 정리하면, 조조가 남양군·남향군·장릉군·양양군을, 유비가 남군·의도군·장사군·계양군·무릉군·영릉군과 강하군 일부를 차지했으며, 손권이 황조를 죽이고 차지했던 지역은 손권의 영역으로 남았다. 손권이 차지한 장사군·남군 지역에는 한창군이 설치되어 노숙이 주둔했으며, 강하군에는 정보가 주둔했다. 강하군은 대체로 동·서로 유비와 손권이 양분한 가운데, 황조가 죽은 시점에 장강 이북의 강하군 동북부는 조조에게 투항하여 양주 기춘군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손권은 교주로 관심을 돌려 211년에 오거를 멸망시켜 교주를 장악했고, 오거와 교분이 있었던 유비는 이를 묵인했다. 214년에 손권은 합비에서 패전하여 예주와 서주 방면으로의 진출이 저지당하자, 당시 익주를 차지한 유비에게 '형주대여론'을 명분으로 형주를 돌려달라는 요구를 했고, 유비는 이를 거절했다. 이에 손권이 실력을 행사해 유비의 영역을 침공하여, 장사군 익양에서 대치했다. 그 와중에 조조가 한중을 점령하자, 유비는 더 이상의 대치가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는지 손권과 협상에 들어갔고, 결국 두 세력은 215년에 유비가 남군·무릉군·영릉군·의도군을 손권이 장사군·계양군·강하군·한창군을 갖는 것으로 형주 분할에 합의했다.
그러나 손권은 여기에서 만족하지 않았고, 219년에 관우가 북상하여 번성을 포위하고 있었을 때 여몽을 보내 유비의 형주 4군을 기습하여 점령했다. 유비는 이에 즉시 대응하지 못하다가 221년에 황제에 오른 뒤에 곧바로 손권에게 보복을 개시했으나, 이릉대전에서 참패를 겪어 형주 수복에 실패했다. 이로써 형주는 적벽대전 이후 3분할 되었다가, 이릉대전 이후 위나라와 오나라가 양분하여 대치하는 형국이 되었다. 223년 무렵 위나라의 강하태수 문빙이 강하군 서북부를 점령하여 강하군이 다시 분할되었다. 260년을 기준으로 위나라는 남양군·남향군·양양군·강하군과 원래 익주 소속이던 위흥군·상용군·신성군을 관할했으며, 오나라는 남군·의도군·건평군·강하군·무릉군·장사군·형양군·상동군·영릉군·계양군·임하군을 관할했다.
2. 위 소속 형주자사부, 일명 영주
219년에 조조는 손권을 공식적인 형주목으로 인정했는데, 이듬해 조조가 죽자 그 뒤를 이은 조비가 선양을 받고 손권을 오왕에 책봉하면서 손권의 종속을 확실히 하고자 했다. 조비는 손등을 낙양으로 보내올 것을 요구하는 한편, 222년 5월에는 손권이 차지하고 있는 양주(揚州)와 형주 영역을 형주로 재편하고 위나라 영역 내의 형주 북부지역을 형주에서 분리하여 영주(郢州)로 개편하였다. 그러나 손권은 오왕 책봉은 받아들이면서 손등을 보내지 않았고, 이에 조비는 손권이 종속할 의사가 없음을 확신하여 같은 해 10월에 손권의 책봉을 취소하고 형주목 지위를 부정하면서 형주 재편 조치를 환원하여 영주를 다시 형주로 고쳤다. 한편 220년에 맹달이 투항하자 익주의 서성군·상용군·방릉군을 공략했는데, 이때 상용군과 방릉군을 통합해 신성군으로 만들고 모두 형주에 소속시켰다.263년에 촉한이 멸망하자 오나라는 건평군을 통해 익주를 점거하려고 했으나, 나헌이 이를 격파하였다. 오히려 이 여파로 무릉군 4현이 위나라로 투항하여, 나헌이 무릉태수 겸 파동감군으로 임명되었다. 269년에는 나헌이 북상해 건평군의 무현·건시현을 점령하여 건평도위를 설치했고, 275년에 건평도위부를 건평군으로 승격시켰다. 서진이 오나라를 멸망시킨 뒤에 형주를 다시 통합하였는데, 이때 분할되어 있던 강하군·무릉군·건평군도 함께 재통합 되었다.
- 치소(治所)[2]: [후한]무릉군 한수현→[190]남군 양양현→[208]남양군 완현→[243]남양군 신야현→[서진]남군 강릉현
- 190년?: 유표가 남양군을 분할해 장릉군 설치.
- 208년: 강하군의 2현이 양주 기춘군으로 재편. 남양군을 분할해 남향군 설치. 남군을 분할해 양양군·임강군 설치. 적벽대전 이후 임강군은 동맹군 측이 점령함.
- 220년: 익주 서성군·상용군·방릉군을 위흥군·신성군으로 재편하고 형주에 소속시킴.
- 228년: 신성군을 분할해 상용군·석군 설치.
- 230년: 상용군을 폐지하여 석군에 합병.
- 237년: 석군을 분할해 상용군 재설치. 석군을 폐지하여 위흥군에 합병.
- 253년: 상용군을 폐지하여 위흥군에 합병. 의양군(장릉군)을 폐지하여 남양군에 합병.
- 259년: 위흥군을 분할해 상용군 재설치.
- 265년: 남양군을 분할하여 의양국 재설치.
2.1. 남양군(南陽郡)
진(秦)나라가 기원전 272년에 처음 설치했다. 190년 무렵에 유표가 남양군을 분할해 장릉군을 설치했다. 이 시점에는 원술이 남양군을 차지하고 있었다가 193년 무렵에 철수했고, 비슷한 시기에 삼보에서 밀려난 장제가 남양군 지역을 장악했는데, 유표는 이들을 쫓아내지 않고 남양군 점거를 묵인했다. 장제 세력을 물려받은 장수는 200년에 조조에게 투항했다.후한 말에 신야현 북쪽에 위치한 육양현에서 둔전이 시행되어 남양전농(南陽典農)이 운영되었다. 한편 관도대전 이후에 유비는 유표에게 귀순했는데, 유표는 유비를 신야현에 주둔시키며 조조의 남하에 대비했다. 남양전농은 장수가 조조에 투항한 뒤에 운영될 수 있었을 것이며, 관도대전 이후 남양군 대치 상황을 고려해 봤을 때, 유표와 조조는 각각 유비와 남양전농관을 대치시켜 신야현을 경계로 남양군을 남북으로 양분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남향군의 전신이 된 전농관 또한 비슷한 시기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208년에 유표 사후 조조가 형주를 장악하자, 남양전농을 다시 남양태수로 환원했고 남향군 지역의 전농부 또한 남향군으로 승격한 것으로 추측된다.
지명 | [-272]남양군→[200]남양국(南陽國)→[200]남양군→[277]남양국 | ||
소속 | 진(秦)→[전한]형주자사부→[9]보충신향→[23]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완현 남양전농: 육양현 장릉군: [190?]장릉현, [서진]신야현 |
||
분합 | [200?]남양전농→[208?]폐지: 육양현·완현·관군현·섭현·서악현·치현·노양현·주현·도양현·박망현·무음현·비양현·극양현·열양현·양현·안중현 | ||
[190?]장릉군→[222]장릉국→[222]의양국→[222]의양군→[253]남양군에 합병→[265]의양국 재설치: 장릉현·평지현·수현·부양현·양향현 및 강하군 평춘현·맹현? | |||
[208]남향군: 남향현·음현·찬현·축양현·무당현·순양국·단수현·석현 | |||
전입 | [237]양양군 약현→의양군, [253]의양군 수현·부양현·양향현 | ||
설치 | [222?]의양국 의양현·평림현, [서진]궐서현 | ||
폐지 | [삼국]성도현·부양현·양향현, [서진]호양현·안중현 | ||
전출 | [208]장릉군 맹현→강하군?, [253]의양군 평춘현→강하군 및 의양군 약현→양양군, [서진]신야현·등현·조양현·채양현·극양현·양현→의양국 | ||
출신 |
신야현:
유선,
등지,
내민 완현: 하진, 문빙 극양현: 등애 안중현: 종예 현 미상: 황충, 누규 |
||
봉작 |
유빙: 남양왕(200) 조거: 장릉왕(222)→의양왕(222) 사마망: 의양왕(265~) 사마간: 남양왕(277~)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 | 남양현: 완현, 섭현, 등현, 채양현, 찬현, 비양현, 낙성현, 노양현, 박망현, 음현, 호양현, 주현, 양현, 석현, 수현, 신야현, 역현, 평지현, 치현, 양성현, 신도현, 산도현, 단수현, 축양현, 신음현(新陰縣·연혁 미상), 남릉현(南陵縣·연혁 미상), 부현(復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 |
전한 | 남양군(36현 359,316호 1,942,051구): 완현(47,547호), 주현, 두연현, 찬국, 육양현, 박산국, 열양현, 음현, 도양현, 치현, 산도현, 채양현, 신야현, 축양현, 극양현, 무당현, 무음현, 서악현, 양현, 역현, 안중국, 관군현, 비양현, 평지현, 수현, 섭현, 등현, 조양현, 노양현, 용릉국, 신도국, 호양현, 홍양국, 낙성국, 박망국, 부양국 | ||
신 | 남양군→보충신향 전수군(前隊郡), 완현→남양현(南陽縣), 두연현→윤연현(閏衍縣), 찬국→남경현(南庚縣), 열양현→전정현(前亭縣), 도양현→양성현(陽城縣), 축양현→의화현(宜禾縣), 양현→농양현(農穰縣), 평지현→평선현(平善縣), 조양현→여신현(厲信縣), 신도국→신림현(新林縣), 홍양국→홍유현(紅兪縣), 박망국→의락현(宜樂縣) | ||
후한 | 남양군(37성 528,551호 2,439,618구): 완현, 관군읍, 섭현, 신야현, 장릉현, 서악현, 치현, 노양현, 주현, 도양현, 박망현, 무음읍, 비양현, 부양국, 평지현, 극양현, 호양읍, 수현, 육양읍, 열양현, 음현, 찬현, 등현, 산도국, 역국, 양현, 조양현, 채양국, 안중국, 축양국, 무당현, 순양국, 성도현, 양향현, 남향현, 단수현, 석현 | ||
서진 | 남양국(14현 24,400호): 완현, 서악현, 치현, 노양현, 주현, 육양현, 박망현, 도양현, 섭현, 무음현, 비양현, 열양현, 관군현, 역현 | ||
의양군(12현 19,000호): 신야현, 양현, 등현, 채양현, 수현, 안창현, 극양현, 궐서현, 평지현, 의양현, 평림현, 조양현 | }}}}}}}}} |
-
신야현(新野縣): 형주자사 치소(243~280)
한때 유비 세력이 있던 곳이다. 『삼국지연의』에서 작은 깡촌처럼 묘사해 놓았기에, 그에 영향을 받은 매체들에서도 시골 소도시 같은 곳으로 등장하는데, 실제로는 유표가 오갈 데 없는 유비를 불쌍히 여겨 떼어준 땅이 아니라, 엄연히 조조를 방어하라고 주둔시켰던 것이며, 삼국시대에는 주요 거점으로 통했다.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의양국
- 위치: 《32.52487, 112.35843》 허난성 난양시 신예현(河南省南阳市新野县)
- 봉작
- 문빙: 신야후(222~)
- 호양현(湖陽縣): 서진 폐지
- 지명: [진]호양현(胡陽縣)→[전한]호양현(湖陽縣)→[후한]호양읍(湖陽邑)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폐지
- 위치: 《32.40853, 112.74500》 허난성 난양시 탕허현 후양진(河南省南阳市唐河县湖阳镇)
- 등현(鄧縣)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의양국
- 위치: 《32.08476, 112.09816》 후베이성 샹양시 판청구 퇀산진 덩청촌(湖北省襄阳市樊城区团山镇邓城村)
- 봉작
- 조종(曹琮): 등후(217~222)
- 등애: 등후(255~264)
- 등새(鄧塞): 《32.07853, 112.17927》
-
번성(樊城): 《32.03766, 112.14933》
번성 공방전이 이 일대에서 치러졌다. 여기서 강을 건너면 유표가 세운 양양성이다. -
융중(隆中): 《31.99215, 112.03250》
제갈량이 살던 곳으로 삼고초려가 일어난 곳이다. 양양성 인근에 있어서 그 위치에 논란이 있는데, 원래 양양현은 다른 곳에 있었다가 유표가 번성 맞은 편에 새로운 성을 쌓아 양양현으로 삼았던 점을 감안하면, 현재 융중으로 알려진 곳이 원래 등현 소속이었던 것은 이상하지 않은 듯하다. - 조양현(朝陽縣)
- 채양현(蔡陽縣)
- 지명: [후한]채양국(蔡陽國)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의양국
- 위치: 《32.08644, 112.51083》 후베이성 샹양시 짜오양시 쥐완진 차이시촌(湖北省襄阳市枣阳市琚湾镇蔡西村)
-
성도현(成都縣): 후한 설치→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후한]형주자사부 남양군→[삼국]폐지
-
궐서현(厥西縣): 서진 설치(형주 의양국) -
두연현(杜衍縣): 후한 폐지 -
신도국(新都國): 후한 폐지(신야현에 합병) - 지명: [진]신도현(新都縣)→[전한]신도국→[후한]동향(東鄕)
- 소속: [진]남양군→[전한]형주자사부 남양군→[후한]폐지
- 위치: 《32.36572, 112.43432》 허난성 난양시 신예현 왕좡진(河南省南阳市新野县王庄镇) 남부
-
홍양국(紅陽國): 후한 폐지 -
낙성국(樂成國): 후한 폐지
2.1.1. 육양군(淯陽郡)
둔전제 시절 남양전농(南陽典農)이 임명되어 육양현에 치소를 두고 있었는데, 이것이 중랑장인지 교위였는지 전해지지 않는다. 정식명칭은 남양전농중랑장부나 남양전농교위부였겠지만, 당시에 남양전농을 설치하고 육양군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둔전제가 폐지된 264년에 실제로 군(郡)으로 독립하지 못한 것을 보면, 264년 이전에 전농관이 폐지된 상태였던 것으로 보이며, 육양현 이외에 어떤 현들이 소속되었는지 알 수 없다.
조조가
장수의 항복을 받은 뒤에 완현 주변의 남양군 북부를 장악하고 있었을 때 운영되고 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른다면,
관도대전 이후 조조는 유표와 육양현-신야현을 경계로 남북으로 대치하고 있던 것으로 볼 수 있어, 육양현 이외에 완현·관군현·섭현·서악현·치현·노양현·주현·도양현·박망현·무음현·비양현·극양현·열양현·양현·안중현 등이 남양전농관 소속이었으며, 유표 사후에 다시 남양태수로 전환된 것으로 추측된다.-
완현(宛縣): 형주자사(208~243) 및 남양군 치소
군웅할거 초기 원술의 근거지였다.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00168, 112.53547》 허난성 난양시(河南省南阳市)
- 봉작
- 조거: 완후(217~)→공(221~222)
- 과리진(瓜里津): 《33.06888, 112.63046》
- 영요야(永饒冶): 《32.93224, 112.56468》?
- 무성(武城)·동무정(東武亭): 《33.29585, 112.56968》?
- 육양현(淯陽縣): 남양전농○○ 치소
- 지명: [전한]육양현(育陽縣)→[후한]육양읍(育陽邑)→[161]육양국(淯陽國)→[165]육양현(淯陽縣)→[168]육양국(育陽國)→[181]육양현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2.78379, 112.41430》 허난성 난양시 워룽구 잉좡진 리후촌(河南省南阳市卧龙区英庄镇李湖村)
- 봉작
- 황권: 육양후(222?~240)
- 조○: 육양현공(265~?)
- 소장안취(小長安聚): 《32.85047, 112.52624》
-
관군현(冠軍縣)
원래 양현의 노양향(盧陽鄕)과 완현의 임조취(臨駣聚)였는데, 이를 분할해 설치한 현이다. - 지명: [후한]관군읍(冠軍邑)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2.80206, 111.92220》 허난성 난양시 덩저우시 장춘진 장쉬촌(河南省南阳市邓州市张村镇张许村)
- 봉작
- 조종(曹琮): 관군공(222~223)
-
섭현(葉縣)
'葉'은 '엽'으로도 읽을 수 있으나, 땅 이름을 가리킬 때는 '섭'으로 읽는다.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50015, 113.30022》 허난성 핑딩산시 셰현 주셴향(河南省平顶山市叶县旧县乡)
- 권성(卷城): 《33.36921, 113.30599》?
- 서악현(西鄂縣)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17732, 112.61277》 허난성 난양시 워룽구 스차오진(河南省南阳市卧龙区石桥镇)
- 봉작
- 나헌: 서악현후(265~)
- 치현(雉縣)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34375, 112.65376》 허난성 난양시 난자오현 타이산먀오향 뤄궈촌(河南省南阳市南召县太山庙乡罗沟村)
- 노양현(魯陽縣)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73712, 112.90194》 허난성 핑딩산시 루산현(河南省平顶山市鲁山县)
- 봉작
- 조우: 노양후(217~)→공(221~222)
- 조○: 노양현공(265~?)
- 주현(犨縣)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65464, 113.14788》 허난성 핑딩산시 루산현 장관잉진 쯔진청촌(河南省平顶山市鲁山县张官营镇紫金城村)
- 도양현(堵陽縣)
- 지명: [진]양성현(陽成縣)→[전한]도양현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25974, 113.02336》 허난성 난양시 팡청현(河南省南阳市方城县)
-
박망현(博望縣)
유비가 하후돈을 격파한 곳이다. - 지명: [전한]박망국(博望國)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1689, 112.71764》 허난성 난양시 팡청현 보왕진(河南省南阳市方城县博望镇)
- 봉작
- 조○: 박망현공(265~?)
- 무음현(舞陰縣)
- 지명: [후한]무음읍(舞陰邑)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2.95993, 113.19347》 허난성 주마뎬시 비양현 양처진 구청촌(河南省驻马店市泌阳县羊册镇古城村)
- 봉작
- 조○: 무음현공(265~?)
- 비양현(比陽縣)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2.72317, 113.31919》 허난성 주마뎬시 비양현(河南省驻马店市泌阳县)
- 봉작
- 조○: 비양현공(265~?)
- 극양현(棘陽縣)
- 열양현(涅陽縣)
- 역현(酈縣)
- 지명: [후한]역국(酈國)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3.12248, 111.79440》 허난성 난양시 네이샹현 자오뎬향(河南省南阳市内乡县赵店乡)
- 양현(穰縣)
- 안중현(安眾縣): 서진 폐지
2.1.2. 의양군(義陽郡)
원래
유표가 190년 무렵 남양군 장릉현·평지현·수현·부양현·양향현 및 강하군 평춘현·맹현?을 분할해 설치한 장릉군(章陵郡)이었다.
괴월과
황역이 장릉태수를 지냈다. 208년에
문빙이 강하태수가 되면서 맹현이 환원된 것으로 추측된다. 222년에 장릉왕
조거의 식읍이 되어 장릉국(章陵國)으로 개편되었으나 의양왕으로 개봉(改封)되면서 의양국(義陽國)으로 개명되었다가, 또다시 팽성왕으로 전봉(轉封)되어 의양군이 되었다. 253년 무렵 의양군을 폐지하여 남양군에 합병했다. 265년에 의양왕
사마망이 책봉되면서 의양국이 다시 설치되었는데, 이때는 안창현·평림현·평지현·의양현 만 소속되었다. 이후 점차 현이 늘어나서 태강 연간에는 12현 규모가 되었다.- 안창현(安昌縣): 장릉군-의양군 치소(190?~253·265~)
- 지명: 백수향(白水鄕)→[전한]용릉국(舂陵國)→[후한]장릉현(章陵縣)→[222]안창현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양군→[190]장릉군→[253]남양군→[265]의양국→[서진]형주 의양국
- 위치: 《31.99921, 112.77004》 후베이성 샹양시 짜오양시 우뎬진 야오강촌(湖北省襄阳市枣阳市吴店镇姚岗村)
- 봉작
- 사마유: 안창후(264~265)
- 상당향(上唐鄕): 《31.98609, 113.12449》
- 평지현(平氏縣)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190]장릉군→[253]남양군→[265]의양국→[서진]형주 의양국
- 위치: 《32.53161, 113.07872》 허난성 난양시 퉁바이현 핑스진(河南省南阳市桐柏县平氏镇)
- 봉작
- 조범(曹範): 평지후(222~223)
- 수현(隨縣)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190]장릉군→[253]남양군→[서진]형주 남양국
- 위치: 《31.71511, 113.36982》 후베이성 쑤이저우시 쩡두구(湖北省随州市曾都区)
- 여향(厲鄕): 《31.80644, 113.46566》
- 의양현(義陽縣): 222년 설치
- 소속: [222]의양국→[253]남양군→[265]의양국→[서진]형주 의양국
- 위치: 《32.41354, 113.88493》 허난성 신양시 핑차오구 차산향(河南省信阳市平桥区查山乡) 서부
- 평림현(平林縣): 222년 설치
- 소속: [222]의양국→[253]남양군→[265]의양국→[서진]형주 의양국
- 위치: 《32.04552, 113.50555》 후베이성 쑤이저우시 쑤이현 인뎬진 룽허촌(湖北省随州市随县殷店镇容河村)
-
부양현(復陽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지명: 낙향(樂鄕)→[한]부양국(復陽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양군→[190]장릉군→[삼국]폐지
- 위치: 《32.41495, 113.29516》 허난성 난양시 퉁바이현 화이위안진(河南省南阳市桐柏县淮源镇)
-
양향현(襄鄕縣): 후한 설치→삼국시대 중 폐지
2.2. 남향군(南鄕郡)
208년에 조조가 남양군을 분할해 설치했다. 삼국이 통일된 이후인 289년에 순양왕의 식읍이 되어 순양국(順陽國)으로 개편되었다.지명 | [208]남향군→[289]순양국 | |||
소속 | [208]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남향현 | |||
전입 | [208]남양군 남향현·음현·찬현·축양현·무당현·순양국·단수현·석현 | |||
설치 | [서진]범양현 | |||
봉작 | 사마창(司馬暢): 순양왕(289~)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순양군(8현 20,100호): 찬현, 순양현, 남향현, 단수현, 무당현, 음현, 축양현, 석현 | }}}}}}}}} |
- 남향현(南鄕縣): 39년 설치→남향군 치소
- 소속: [39]형주자사부 남양군→[후한]남양군→[208]남향군→[서진]형주 순양국
- 위치: 《32.96426, 111.36490》 허난성 난양시 시촨현 성완진 싱화쓰촌(河南省南阳市淅川县盛湾镇兴华寺村)
- 봉작
- 호위: 남향후(250 이후~264)
- 상밀향(商密鄕): 《32.98819, 111.33081》
- 음현(陰縣)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208]남향군→[서진]형주 순양국
- 위치: 《32.45088, 111.66741》 후베이성 샹양시 라오허커우시 훙산쥐진(湖北省襄阳市老河口市洪山嘴镇)
- 찬현(酇縣)
- 지명: [전한]찬국(酇國)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208]남향군→[서진]형주 순양국
- 위치: 《32.46271, 111.62382》 후베이성 샹양시 라오허커우시 훙산쥐진 위안좡촌(湖北省襄阳市老河口市洪山嘴镇袁庄村)
- 축양현(筑陽縣)
- 지명: [후한]축양국(筑陽國)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208]남향군→[서진]형주 순양국
- 위치: 《32.26757, 111.66466》 후베이성 샹양시 구청현 청관진 타이핑팡촌(湖北省襄阳市谷城县城关镇太平坊村)
- 곡성(穀城): 《32.26732, 111.64605》
- 섭도읍(涉都邑)·섭도향(涉都鄕): 《32.47433, 111.44486》
- 무당현(武當縣)
- 순양현(順陽縣)
- 지명: [전한]박산국(博山國)→[후한]순양국(順陽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양군→[208]남향군→[서진]형주 순양국
- 위치: 《32.74889, 111.53245》 허난성 난양시 시촨현 창팡진(河南省南阳市淅川县仓房镇) 동남부
- 봉작
- 사마망: 순양후(264~265)
- 단수현(丹水縣)
- 소속: [진]남양군→[전한]사예교위부 홍농군→[후한]형주자사부 남양군→[208]남향군→[서진]형주 순양국
- 위치: 《33.08096, 111.22923》 허난성 난양시 시촨현 다스차오향 리우지아취촌(河南省南阳市淅川县大石桥乡柳家泉村)
- 봉작
- 사마목: 단수현후(277~280)
- 삼호정(三戶亭): 《33.13631, 111.16438》
- 석현(析縣)
- 소속: [진]남양군→[전한]사예교위부 홍농군→[후한]형주자사부 남양군→[208]남향군→[서진]형주 순양국
- 위치: 《33.30071, 111.47452》 허난성 난양시 시샤현(河南省南阳市西峡县)
- 무관(武關): 《33.60317, 110.62031》
-
범양현(汎陽縣): 284년 설치(형주 순양국)
2.3. 양양군(襄陽郡)
190년에 형주자사로 부임한 유표가 형주자사의 치소를 설치하면서 발전한 곳이나, 208년에 조조가 형주를 장악한 뒤 남군과 남양군 일부를 분할해 설치했다. 223년 무렵에 조비가 강릉현을 포위했을 때 남군 임저현·정양현을 점령하여 양양군에 소속시킨 것으로 보인다. 237년에 남부도위를 설치했다. 나중에 정양현은 다시 오나라에 점령되었는데, 241년 무렵으로 추정된다.소속 | [208]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양양현 남부도위: (미상) |
|||
분합 | [237]남부도위: 기현·의성현·임저현·정양현 | |||
전입 | [208]남군 양양현·중로현·의성현·기현·약현 및 남양군 산도현, [223?]남군 임저현·정양현, [258?]의양군 약현 | |||
전출 | [237]약현→의양군, [241?]남부도위부 정양현→남군, [280]약현→남군 | |||
설치 | [280]상황현(임저현 분할), [서진]우현 | |||
출신 |
양양현:
방통·
방림 등 방씨 일족,
양의 중로현: 괴월· 괴량· 괴기 등 괴씨 일족, 요화 의성현: 마량· 마속 등 마씨 일족, 상랑· 상총 현 미상: 습정· 습진· 습씨 등 습씨 일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양양군(8현 22,700호): 의성현, 중로현, 임저현, 기현, 양양현, 산도현, |
}}}}}}}}} |
- 양양현(襄陽縣): 형주목(190~208) 및 양양군 치소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군→[208]양양군→[서진]형주 양양군
- 위치: 190년에 유표가 형주자사로 임명되었을 때 원래의 임지인 무릉군 한수현으로 가지 않고, 초나라 때 북진수(北津戍)라고 불렸던 곳에 다시 성을 쌓아 그곳을 자신의 치소로 삼았는데, 양양현의 치소도 유표가 쌓은 성으로 이전되었다.
- ~190: 《31.83488, 112.12495》 후베이성 샹양시 샹청구 어우먀오진 저우완촌(湖北省襄阳市襄城区欧庙镇邹湾村)
- 190~: 《32.02000, 112.14870》 후베이성 샹양시 샹청구(湖北省襄阳市襄城区) 고성
-
현산(峴山): 《31.98401, 112.14521》
손견이 전사한 곳이다. - 중려현(中廬縣)
- 지명: [전한]중려현(中廬縣)→[후한]중려국(中廬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군→[208]양양군→[서진]형주 양양군
- 위치: 《31.91545, 112.02380》 후베이성 샹양시 샹청구 워룽진 핑차오촌(湖北省襄阳市襄城区卧龙镇平桥村)
-
약현(鄀縣)
『삼국지』에는 약섭현(鄀葉縣)으로 오기(誤記)되어 있다. 섭현은 남양군 북부에 있는 현이므로 양양군에 소속될 수 없기에, 섭현과 연칭한 것으로 볼 수 없다. - 지명: [전한]약현(若縣)→[후한]약국(鄀國)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남군→[208]양양군→[237]의양군→[253?]양양군→[서진]형주 남군
- 위치: 《31.49742, 112.44061》 후베이성 징먼시 중샹시 펑러진 칭펑촌(湖北省荆门市钟祥市丰乐镇青丰村)
- 추성(湫城): 《31.26576, 112.51879》
- 산도현(山都縣)
- 지명: [후한]산도국(山都國)
- 소속: [진]남양군→[한]형주자사부 남양군→[208]양양군→[서진]형주 양양군
- 위치: 25년에 현 치소를 화성(和城)에서 이전했다.
-
상황현(上黃縣): 280년 설치(형주 양양군) -
우현(鄾縣): 서진 설치(형주 양양군)
우(鄾)는 원래 남군 등현 번성의 옛 이름이다. 원래 양양현이 있던 위치에 우현을 설치했다가 곧 폐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2.3.1. 양양남부도위부(襄陽南部都尉部)
237년에 남부도위를 설치하여 기현·의성현·임저현·정양현을 관할하게 했다. 이중 임저현은 관우가 체포된 시점까지 유비-손권의 영역이었으며, 정양현은 임저현보다 더 남쪽에 위치했는데, 아마도 조비의 남정 중에 점령하여 양양군에 편입시킨 것으로 보인다. 정양현은 서진 때 양양군으로 남지 않았던 것을 보면, 241년 제갈근이 조중(柤中)을 점령했을 무렵에 다시 오나라의 영역이 된 것으로 보인다. 양양남부도위는 서진 때는 운영되지 않았다.- 기현(邔縣)
- 지명: [후한]기국(邔國)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남군→[208]양양군→[서진]형주 양양군
- 위치: 《31.74154, 112.27110》 후베이성 샹양시 이청시 난잉가도 궁라오촌(湖北省襄阳市宜城市南营街道龚老村)
- 의성현(宜城縣)
- 지명: [진]언현(鄢縣)→[전한]의성현→[후한]의성국(宜城國)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남군→[208]양양군→[서진]형주 양양군
- 위치: 《31.66816, 112.30742》 후베이성 샹양시 이청시 정지진 황청촌(湖北省襄阳市宜城市郑集镇皇城村)
- 조중(柤中): 《31.71896, 111.99892》
- 기구(祁口): 《31.68123, 112.07525》
- 임저현(臨沮縣)
2.4. 강하군(江夏郡)
원래 진(秦)나라의 형산군(衡山郡)이었는데, 전한 때인 기원전 121년 무렵에 강하군으로 개명한 것으로 보인다. 면수(沔水)가 화용(華容)부터 하수(夏水)로 불리게 되는데, 이 군에서 현재의 장강을 가리키는 이름인 강수(江水)에 합류하기에, 이름을 '강하'라 하였다고 전해진다.190년 무렵에 유표가 황조를 강하태수로 임명했는데, 황조는 극월성(郤月城)을 세우고 그곳에 강하군과 사이현의 치소를 옮겼다. 199년에 손책은 주유를 강하태수로 임명했는데 사실 당시에는 임지가 없는 대립태수였으나, 이 무렵부터 손책과 손권이 유표를 집요하게 공격하였기에 황조가 사실상 유표 세력의 동부를 담당하는 군소 군벌처럼 여겨지게 된다. 손권이 208년에 황조를 살해하면서 사이현·악현·하치현·서릉현 일대를 점령하고, 정보를 강하태수로 임명했다. 같은 시점에 유표가 유기를 강하태수로 임명했으므로 강하군은 양분되었으며, 손권이 점령하지 못한 강하군 동북부의 기춘국·주현 2현은 조조에게 투항하여 양주(揚州) 기춘군이 되었다.
유종이 항복하자 조조는 문빙을 강하태수로 임명했으나, 당시 강하태수 유기는 조조에게 항복하지 않았기에 문빙은 사실상 대립태수였다. 후한 때 강하군은 여남군 인근에 맹현·평춘현·서양현·대현을 월경지로 두고 있었는데, 맹현·평춘현은 190년 무렵에 장릉군에 소속된 것으로 보이고, 서양현·대현은 218년 이전에 예주 익양군으로 이속된 점으로 보아 이미 208년 이전부터 익양군의 전신인 전농관에 소속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아마도 문빙이 강하태수로 임명되면서 맹현이 문빙의 임지로 환원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비의 남정을 통해 문빙이 223년 무렵 면구(沔口) 인근의 석범(石梵)에 주둔할 때 강하군 북부 일대인 안륙현·남신시현·석범현을 점령해 임지를 회복하게 되었기에, 이때부터 강하군이 실질적으로 다시 분할된 것으로 여겨진다. 251년에 안륙현 경내에 상창성(上昶城)을 축성하여 그곳을 강하태수의 치소로 삼았다.
지명 | [진]형산군(衡山郡)→[-121]강하군→[79]평춘국(平春國)→[79]강하군 | ||
소속 | 진(秦)→[한]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진]주현→[전한]서릉현→[190?]사이현→[208]경릉현, [208]맹현→[251]안륙현 상창성 | ||
분합 | [208]강하군(유기)→[215]손권 세력에 합병: 안륙현·남신시현·경릉현·운두현 | ||
[208]강하군(손권)→[280]무창군: 사이현·악현·하치현·서릉현 | |||
[208]양주 기춘군: 기춘국·주현 | |||
[227]남부도위→[251?]폐지: 안륙현·남신시현·석양현 | |||
전입 | [208]장릉군 맹현?, [223?]안륙현·남신시현·석범현, [253]의양군 평춘현, [280]경릉현·운두현 | ||
전출 | [190?]평춘현·맹현?→장릉군, [218]서양현·대현→예주 익양군 | ||
출신 |
안륙현:
황완 맹현: 비의 평춘현: 이통 경릉현: 유언· 유모· 유장 일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 | 형산군: 주현, 서릉현, 악현, 기사현, 익양현 이외 미상 | |
전한 | 강하군(14현 56,744호 219,218구): 서릉현, 경릉현, 서양현, 양현, 주현, 대현, 악현, 안륙현, 사선현, 기춘현, 맹현, 운두현, 하치현, 종무국 | ||
신 | 서릉현→강양현(江陽縣), 경릉현→수평현(守平縣), 양현→양비현(襄非縣), 하치현→윤광현(閏光縣), 종무국→당리현(當利縣) | ||
후한 | 강하군(14성 58,434호 265,464구): 서릉현, 서양현, 대국, 맹현, 경릉국, 운두현, 사이현, 주현, 하치현, 기춘국, 악현, 평춘국, 남신시국, 안륙현 | ||
서진 | 강하군(7현 24,000호): 안륙현, 운두현, 곡릉현, 평춘현, 맹현, 경릉현, 남신시현 | }}}}}}}}} |
- 맹현(鄳縣)
-
소속: [한]형주자사부 강하군→[190?]장릉군→[208]강하군→[서진]형주 강하군
190년 무렵에 장릉군에 소속되어 있다가 208년에 강하태수의 치소가 되면서 환원된 것으로 보이나, 명확하지 않다. - 위치: 《32.17984, 114.48816》 허난성 신양시 뤄산현 리수이가도 리우타이촌(河南省信阳市罗山县丽水街道刘台村)
- 평춘현(平春縣): 79년 설치
- 지명: [79]평춘국(平春國)
- 소속: [79]형주자사부 강하군→[후한]강하군→[190?]장릉군→[253]강하군→[서진]형주 강하군
- 위치: 《32.35077, 113.88962》 허난성 신양시 핑차오구 핑창관진(河南省信阳市平桥区平昌关镇)
- 봉작
- 호위: 평춘후(265 이후~)
-
양현(襄縣): 후한 폐지 -
종무국(鍾武國): 후한 폐지
2.4.1. 강하남부도위부(江夏南部都尉部)
227년에 남부도위를 설치하였는데, 전년도에 손권이 석양현을 포위했었기에 그에 대한 후속 조치로 보인다. 223년 무렵 조비의 남정 중에 점령한 3현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251년에 안륙현에 상창성이 축성되어 강하태수가 이 일대에 직접 주둔하게 되면서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안륙현(安陸縣): 강하군 수현
251년에 상창성을 축성하여 그곳을 강하군의 치소로 삼았다.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강하군→[서진]형주 강하군
- 위치: 《31.03111, 113.75288》 후베이성 샤오간시 윈멍현(湖北省孝感市云梦县)
- 상창성(上昶城): 강하군 치소, 《30.93908, 113.73331》
- 남신시현(南新市縣): 후한 설치
- 지명: [후한]남신시국(南新市國)
- 소속: [후한]형주자사부 강하군→[서진]형주 강하군
- 위치: 《31.14939, 113.34492》 후베이성 징먼시 징산현 뤄뎬진 지아뎬촌(湖北省荆门市京山县罗店镇贾店村)
-
석양현(石陽縣): 221년 이전 설치
『송서』에 오나라가 설치한 현이라고 나오는데, 『삼국지』에는 226년 무렵 오나라 인물들이 위나라의 영역으로 언급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아마도 문빙이 주둔했다고 하는 석범이 오나라가 설치한 '석범현'을 지칭한 것으로 보이고, 문빙이 점령한 이후에는 석양현으로 개명한 것으로 추측된다. 221년에 손권이 무창군을 설치하면서 당시 강하군의 치소가 있던 사이현을 이속시켰는데, 강하태수는 여전히 황조가 사이현에 세웠던 성을 치소로 삼고 있었다. 강하태수가 임지 밖에서 계속 주둔하고 있었을 리는 없으므로, 아마도 이때 사이현을 분할해 장강 이서로 석범현을 설치하고 장강 이동을 사이현에 남겨 무창군에 소속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2.5. 위흥군(魏興郡)
원래 익주의 한중군의 일부로, 조조가 장로의 항복을 받은 뒤에 한중군을 분할해 서성군(西城郡)을 설치하고 상용현·석현을 상용도위의 관할로 두었으나, 한중 공방전 도중에 유비가 차지했다. 220년에 맹달이 위나라로 투항하자 서성군·상용군·방릉군을 모두 신성군으로 통합하고자 했는데, 서성태수 신의가 투항했기에 서성군은 위흥군으로 개명하는 데 그치고 상용군과 방릉군만 신성군으로 통합되었으며, 위흥군과 신성군을 형주에 소속시켰다. 253년에 상용군을 합병했는데, 259년에 다시 상용군을 설치했다. 267년에 석현의 일부가 상락군으로 이속했다.지명 | [215]서성군→[220]위흥군 | |||
소속 | [215]익주→[220]형주→[서진]형주 | |||
치소 |
[215]서성현→[220]서성현 순구(洵口)→[263]서성현→[서진]흥진현 석군: 석현 |
|||
분합 | [237]석군 합병: 석현·평양현 | |||
전입 | [215]한중군 서성현·안양현, [253]상용군 위양현 | |||
설치 | [220?]위양현, [서진]순양현·장리현·운향현 | |||
전출 | [237]위양현→상용군, [266]풍향(석현 분할)→사례교위부 상락군 | |||
폐지 | [서진]위양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위흥군(6현 12,000호): 흥진현[4], 안강현, 서성현, 석현, 장리현, 순양현 | }}}}}}}}} |
- 서성현(西城縣): 위흥군 수현
- 소속: [진]한중군→[한]익주자사부 한중군→[215]서성군→[서진]형주 위흥군
- 위치: 《32.70456, 109.01698》 산시성 안캉시(陝西省安康市)
- 봉작
-
염축(閻竺): 서성후(?~?)
『원화성찬(元和姓纂)』에서 서성후·파군태수를 지낸 인물로 기록되어 있으나, 다른 기록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인물이다. - 안교(安橋): 《32.62502, 108.78091》
- 안양현(安陽縣)
- 지명: [서진]안강현(安康縣)
- 소속: [진]한중군→[한]익주자사부 한중군→[215]서성군→[서진]형주 위흥군
- 위치: 《32.97185, 108.30663》 산시성 안캉시 스취안현 츠허진 신싱촌(陝西省安康市石泉县池河镇新兴村)
- 봉작
- 순욱: 안양자(264~265)
-
자오곡(子午谷)·식중(蝕中): 《33.55530, 108.61401》
이곳을 통해 장안으로 통하는 길을 자오도(子午道)라고 불렀는데, 안양현을 지나가는 길을 구도(舊道)라고 했고 황금곡으로 통하는 길을 신도(新道)라고 불렀다. 신도는 보통 서진 때부터 주로 쓰인 노선이라고 하나, 위연이 자오곡을 통해 장안을 급습하려던 것을 봤을 때, 이미 삼국시대에도 노선 자체는 알려져 있던 것으로 보인다. - 위양현(魏陽縣): 220년 무렵 설치→서진 폐지
-
순양현(洵陽縣): 후한 폐지(서성현에 합병)→위흥군 치소→283년 재설치 - 지명: [진]전양현(甸陽縣)→[전한]순양현(旬陽縣)→[후한]순구(洵口), [서진]순양현
- 소속: [진]한중군→[전한]익주자사부 한중군→[후한]폐지, [서진]형주 위흥군
- 위치: 《32.83815, 109.35045》 산시성 안캉시 쉰양현(陝西省安康市旬阳县)
- 순관(旬關): 《32.82989, 109.38110》
- 목란새(木蘭塞): 《32.90209, 109.52767》
-
장리현(長利縣): 후한 폐지→283년 재설치 - 소속: [진]한중군→[전한]익주자사부 한중군→[후한]폐지, [서진]형주 위흥군
- 위치: 《32.96421, 110.35402》 후베이성 스옌시 윈시현 관인진 완서우쓰촌(湖北省十堰市郧西县观音镇万寿寺村)
-
운양현(鄖陽縣): 전한 폐지(장리현에 합병)→284년 재설치
2.5.1. 석군(錫郡)
228년에 신성군에서 분할되어 설치된 군으로, 이 해 무렵에 평양현을 설치했다. 230년에 상용군을 병합하였으나, 237년에 석현과 평양현이 위흥군으로 이속되면서 다시 상용군으로 개명되었다.- 석현(錫縣): 석군 치소
- 지명: [진]양현(鍚縣)→[후한]석현
- 소속: [진]한중군→[한]익주자사부 한중군→[215]상용군→[220]형주 신성군→[228]석군→[237]위흥군→[서진]형주 위흥군
- 위치: 《32.81138, 110.10910》 산시성 안캉시 바이허현 청관진(陝西省安康市白河县城关镇)
- 평양현(平陽縣): 228년 무렵 설치
2.6. 상용군(上庸郡)
원래 익주의 한중군의 일부로, 215년 조조가 장로의 항복을 받은 뒤에 한중군을 분할해 서성군을 설치했는데, 이때 상용현·석현 지역을 상용도위부(上庸都尉部)로 분리하여 관할하게 했다. 219년에 한중 공방전에서 유비가 승리하자 상용태수 신탐이 유비에게 항복했는데, 이를 통해 이 시점에는 이미 상용군으로 승격된 것으로 확인된다. 220년에 맹달이 투항한 것을 계기로 위나라에서 침공을 개시하여 이 일대를 담당하던 유봉을 쫓아냈는데, 이때 상용군·방릉군을 통합해 신성군을 설치하고 형주에 소속시켰다. 228년에 맹달이 다시 촉한에 투항하려 했다가 제거당하면서, 신성군을 분할해 새로 상용군과 석군을 설치했다. 230년에 상용군을 석군에 병합했는데, 237년에 원래의 석군 지역을 위흥군으로 이속시키면서 상용군으로 고쳤다. 253년에 위흥군에 합병되었다가, 259년에 다시 설치되었다.지명 | [215]상용도위부→[219?]상용군 | |||
소속 | [215]익주 신성군→[219?]익주→[220]신성군에 합병, [228]형주→[230]석군에 합병, [237]형주→[253]위흥군에 합병, [259]형주 | |||
치소 | 상용현 | |||
전입 | [215]한중군 상용현·석현, [237]위흥군 위양현, [258]신성군 북무현 | |||
설치 | [215?]안부현, [삼국]무릉현·건시현·광창현, [서진]상렴현 | |||
폐지 | [281]용창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상용군(6현 11,448호): 상용현, 안부현, 북무현, 무릉현, 상렴현, 미양현 | }}}}}}}}} |
- 상용현(上庸縣): 상용군 치소
- 소속: [진]한중군→[한]익주자사부 한중군→[215]상용군→[220]형주 신성군→[228]상용군→[230]석군→[253]위흥군→[259]상용군→[서진]형주 상용군
- 위치: 《32.06603, 110.11303》 후베이성 스옌시 주산현 상융진 위커우촌(湖北省十堰市竹山县上庸镇峪口村)
- 방성정(方城亭): 《32.19544, 110.29727》
- 안부현(安富縣): 215년 무렵 설치
- 소속: [215?]익주 상용군→[220]형주 신성군→[228]상용군→[230]석군→[253]위흥군→[259]상용군→[서진]형주 상용군
- 위치: 《32.35501, 110.42573》 후베이성 스옌시 팡현 야오핑향(湖北省十堰市房县姚坪乡)
-
북무현(北巫縣): 222년 무렵 설치
이릉대전 이후 돌아가지 못한 사람들이 투항해 와서 설치한 것으로 보이며, 정식 이름은 무현(巫縣)이나 원래의 무현과 구분하기 위해 북무현으로 불렸다. - 무릉현(武陵縣): 후한 폐지→237년 이후 설치
- 소속: [진]한중군→[전한]익주자사부 한중군→[후한]폐지, [삼국]형주 상용군→[서진]형주 상용군
- 위치: 《32.29078, 110.03967》 후베이성 스옌시 주산현 마지아두진(湖北省十堰市竹山县麻家渡镇)
- 건시현(建始縣): 237년 이후 설치
- 지명: [서진]미양현(微陽縣)
- 소속: [삼국]형주 상용군→[서진]형주 상용군
- 위치: 《32.33850, 109.89608》 후베이성 스옌시 주산현 레이구진 짜오위안촌(湖北省十堰市竹山县擂鼓镇枣园村)
- 광창현(廣昌縣): 237년 이후 설치→281년 폐지
-
상렴현(上廉縣): 서진 설치(형주 상용군)
2.7. 신성군(新城郡)
원래 익주의 한중군의 일부로, 215년에 조조가 장로의 항복을 받은 뒤에 한중군을 분할했을 때 방릉군(房陵郡)을 설치했다는 기록은 없으나, 방릉현을 어떻게 조치했는지는 살펴볼 수 없는 점으로 보아 당시 방릉군 설치 기록이 누락되었거나 이 시점에 이미 방릉군이 형성되어 있던 것으로 보인다. 괴량· 괴월의 일족이자 제갈량의 자형인 괴기가 방릉태수를 지냈는데, 219년에 유비가 한중 공방전에서 승리하고 한천 지방 전역을 차지했을 당시 맹달의 병사들에게 살해당했다. 220년에 맹달이 위나라로 투항해 이 일대를 담당하던 유봉을 쫓아내면서 위나라의 영역이 되었는데, 이때 상용군·방릉군을 통합해 신성군을 설치하고 형주에 소속시켰다. 228년에 맹달이 다시 촉한에 투항하려 했다가 제거당하자, 신성군을 분할해 새로 상용군과 석군을 설치했는데, 대체로 기존의 방릉군 지역이 신성군에 남게 되었다.지명 | [215?]방릉군→[220]신성군 | |||
소속 | 진(秦)→[한]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215?]방릉현→[220]상용현→[228]방릉현 | |||
분합 | [228]석군→[237]위흥군에 합병: 석현·평양현 | |||
[228]상용군→[230]석군에 합병→[237]상용군: 상용현·안부현 | ||||
전입 | [220]상용군 상용현·석현·안부현 | |||
설치 | [222?]북무현, [228]평양현, [삼국]시향현·창위현 | |||
전출 | [258]북무현→상용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신성군(4현 15,200호): 방릉현, 수양현, 창위현, 시향현 | }}}}}}}}} |
- 방릉현(房陵縣): 방릉군-신성군 치소
- 수양현(綏陽縣): 215년 무렵 설치
- 시향현(沶鄕縣): 220년 이후 설치
- 창위현(昌魏縣): 220년 이후 설치
3. 오 소속 형주목
219년에 손권은 유비의 형주 영역을 차지한 뒤에 익주까지 공략할 생각으로 형주 공안에 있던 유장을 익주목으로 임명하고 의도군의 자귀현과 무현을 고릉군으로 삼아 자귀현에 주둔시켰는데, 고릉군은 당시 익주 파동군의 이름이었다. 222년에 유비와 화해하자 이를 폐지했다. 260년엔 과거 고릉군을 설치했던 지역에 의도군을 설치했는데, 263년에 촉한이 멸망하자 오나라는 건평군을 통해 익주를 점거하려고 했으나 나헌에게 격퇴당했고, 오히려 이 여파로 무릉군 4현이 위나라로 투항하여 무릉군이 분할되었다. 269년에는 위나라의 무릉태수 나헌이 북상해 건평군의 무현·건시현을 점령하여 건평군도 분할되었다.- 치소(治所)[5]: [209]남군 잔릉현 공안→[222]남군 강릉현
- 210년: 손권이 점령한 장사군·남군 일부를 한창군으로 재편.
- 219년: 고릉군 설치.
- 222년: 고릉군을 폐지하여 의도군에 합병.
- 226년: 임하군이 교주에서 이속됨.
- 229년: 한창군을 폐지하여 장사군에 합병.
- 257년: 장사군을 분할해 형양군·상동군 설치.
- 260년: 의도군을 분할해 건평군 설치.
- 263년: 무릉군을 분할해 천문군 설치. 무릉군 4현이 위나라에 투항함.
- 265년: 영릉군을 분할해 영양군 설치.[6] 영릉군을 분할해 교주 시안군 설치. 계양군을 분할해 교주 시흥군 설치.
- 266년: 영릉군을 분할해 소릉군 설치.
- 269년: 건평군 2현이 진나라에 점령됨.
3.1. 남군(南郡)
진(秦)나라가 기원전 278년에 초나라의 수도인 영(郢)을 점령하고 설치했다. 208년에 손권이 잔릉현을 점령하고, 조조가 남군을 분할해 새로 양양군과 임강군을 설치했으며, 적벽대전 이후 유비가 무릉군 잔릉현·작당현을 점령한 뒤 이를 남군의 영역으로 만들었다. 209년에 주유가 조인을 쫓아내고 강릉현을 점령하자 손권에게 남군태수로 임명되었는데, 주유가 죽은 뒤에 손권은 유비와 형주 분할에 합의하여 남군·의도군 지역에서 철수하였고, 기존에 점령했던 주릉현은 한창군으로 편입했다. 조비의 남정 중에 임저현·정양현이 점령당한 것으로 추정되며, 2현은 이때 양양군으로 편입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양현은 다시 오나라의 영역이 되어 남군으로 환원되었는데, 241년에 제갈근이 조중(柤中)을 점령했을 무렵의 일로 추측된다. 오나라 멸망 이후 서진이 남군을 분할해 남평군(南平郡)을 새로 설치했다.지명 | [진]남군→[79]강릉국(江陵國)→[85]남군 | ||
소속 | 진(秦)→[한]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강릉현 남평군: [서진]강안현 |
||
분합 | [208]양양군: 양양현·중로현·의성현·기현·약현 | ||
[208]임강군: 이도·이릉현·한산현·무현·자귀현 | |||
[280]남평군: 잔릉현·작당현 | |||
전입 | [208]무릉군 잔릉현·작당현, [241?]양양군 남부도위부 정양현, [280]양양군 약현 | ||
설치 | [208]정양현, [222]감리현, [280]주릉현(재설치)·감리현(재설치)·석수현 및 남평군 안남현·강안현(잔릉현 분할) | ||
전출 | [208]주릉현→한창군, [223?]임저현·정양현→양양군 | ||
폐지 | [삼국]감리현 | ||
출신 | 지강현: 동화, 곽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 | 남군: 강릉현, 안륙현, 지강현, 당양현, 사이현, 영현, 언현, 이도, 임저현, 이릉현, 주릉현, 경릉현, 약현, 기현, 소현(銷縣·연혁 미상), 좌운몽현(左雲夢縣·연혁 미상), 우운몽현(右雲夢縣·연혁 미상), 이로현(伊廬縣·연혁 미상), 역읍현(酈邑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 |
전한 | 남군(18현 125,579호 718,540구): 강릉현, 임저현, 이릉현, 화용현, 의성현, 영현, 기현, 당양현, 중로현, 지강현, 양양현, 편현, 자귀현, 이도, 주릉현, 약현, 무현, 고성현 | ||
신 | 남군→남순군(南順郡), 강릉현→강륙현(江陸縣), 이릉현→거리현(居利縣), 영현→영정현(郢亭縣), 양양현→상양현(相陽縣), 편현→남순현(南順縣), 이도→강남현(江南縣), 주릉현→강하현(江夏縣), 고성현→언정현(言程縣) | ||
후한 | 남군(17성 162,570호 747,604구): 강릉현, 무현, 자귀현, 중로국, 편현, 당양현, 화용국, 양양현, 기국, 의성국, 약국, 임저국, 지강국, 이도, 이릉현, 주릉현, 한산현 | ||
서진 |
남군(11현 55,000호): 강릉현, 편현, 당양현, 화용현, 약현, 지강현, 정양현, 주릉현, 감리현, |
||
남평군(4현 7,000호): 작당현, 잔릉현, 안남현[8], 강안현 | }}}}}}}}} |
- 강릉현(江陵縣): 형주목(222~) 및 남군 치소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남군→[서진]형주 남군
- 위치: 《30.35421, 112.18817》 후베이성 징저우시 징저우구(湖北省荆州市荆州区)
- 봉작
- 육손: 강릉후(222~280?)
-
보기(步璣): 강릉후(272) - 강진(江津): 《30.26244, 112.29397》
- 진향(津鄕): 《30.33515, 112.22362》
- 낙향(樂鄕): 《30.26571, 112.00904》
- 기남성(紀南城): 《30.47222, 112.13544》
- 강릉중주(江陵中洲): 《30.37572, 111.81402》
- 편현(編縣)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군→[서진]형주 남군
- 위치: 《31.40453, 112.06445》 후베이성 징먼시 중샹시 린쾅진(湖北省荆门市钟祥市磷矿镇)
- 나구성(那口城)·남구취(藍口聚): 《31.29494, 112.42569》
-
청니(靑泥)·심구(尋口): 《31.16782, 112.58812》
관우와 문빙이 대치하던 곳으로, 『삼국지』 선주전에선 청니로 문빙전에선 심구로 기록되었다. 청니는 '청니산'의 약칭이고 심구는 하천의 합류 지점을 의미하는 지명이므로, 둘은 동일한 지역을 다르게 표현한 것일 뿐이다. 훗날 오나라가 이 지점에 성을 쌓아 '석성(石城)'으로 불렀는데, 아문장군(牙門將軍)의 주둔지였는지 이를 '아문수(牙門戍)'라고 부르기도 했다. - 당양현(當陽縣)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남군→[서진]형주 남군
- 위치: 조조가 남군을 장악한 뒤에 현 치소를 옮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208?: 《30.96759, 112.22273》 후베이성 징먼시 둬다오구 둬다오스가도 솽취촌(湖北省荆门市掇刀区掇刀石街道双泉村)
- 208?~: 《30.91638, 112.14181》 후베이성 징먼시 둬다오구 둬다오스가도 위안지촌(湖北省荆门市掇刀区掇刀石街道袁集村)
- 봉작
- 주연: 당양후(222~270)
-
장판(長坂·長阪): 《30.98367, 112.199583》
흔히 '장판파(長坂坡)'로 불리며, 조조가 유비를 습격했을 때 장비가 이곳에서 추격을 저지한 일화로 유명하다. -
맥성(麥城): 《30.69470, 111.93450》
유비의 형주 영역이 손권의 기습을 당하자, 관우가 급히 이곳으로 퇴각하여 포위망을 뚫고 탈출할 때까지 고립되었다. 『삼국지연의』에서도 등장하는 지명이라 흔히 관우가 최후를 맞은 곳이라는 오해가 있다. 지금도 유적으로 남아있다. - 오부읍(烏扶邑): 《30.66299, 111.97460》?
- 형성(荊城): 《30.85338, 112.56841》
- 노성(廬城): 위치 미상(맥성 인근)
- 마성(磨城): 위치 미상(저수 강변)
- 화용현(華容縣)
- 지명: [후한]화용국(華容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남군→[서진]형주 남군
- 위치: 《30.22024, 112.77368》 후베이성 첸장시 라오신진(湖北省潜江市老新镇) 서북부
- 운몽택(雲夢澤): 《29.86832, 112.95008》
- 마둔(麻屯): 《29.96728, 113.72535》
-
오림(烏林): 《29.91105, 113.58696》
조조가 적벽대전 당시 주둔한 곳으로 전래하고 있어, 현재는 '조조만(曹操湾)'으로도 불리고 있다. 이곳에서 화용현까지 이르는 길을 ' 화용도'라고 하며, 조조가 패전 후 퇴각할 때 쓴 길이다. - 지강현(枝江縣)
- 지명: [진]지강현(芰江縣)→[전한]지강현(枝江縣)→[후한]지강국(枝江國)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남군→[서진]형주 남군
- 위치: 《30.47154, 111.91258》 후베이성 이창시 즈장시 치싱타이진 셴지아강촌(湖北省宜昌市枝江市七星台鎮鲜家港村)
- 단양취(丹陽聚): 《30.26856, 111.42107》?
- 파산(巴山): 《30.30961, 111.63220》
- 잔릉현(孱陵縣)
- 소속: [진]동정군→[한]형주자사부 무릉군→[208]남군→[서진]형주 남평군
-
위치: 《30.07348, 112.13749》
후베이성
징저우시
궁안현 지아주위안진 황진커우촌(湖北省荆州市公安县夹竹园镇黄金口村)
손권의 여동생이 형주에 있었을 때, 잔릉현성 동쪽에 별성을 쌓아 거처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후세에 이를 '손부인성(孫夫人城)'으로 불렀다. - 봉작
- 여몽: 잔릉후(219~?)
- 작당현(作唐縣): 58년 설치
- 소속: [58]형주자사부 무릉군→[후한]무릉군→[208]남군→[서진]형주 남평군
- 위치: 《29.53096, 112.19655》 후난성 창더시 안샹현 안취향(湖南省常德市安乡县安全乡) 남측
- 정양현(旍陽縣): 208년 설치
- 지명: [서진]정양현(旌陽縣)
- 소속: [208]형주자사부 남군→[222?]양양군→[241?]남군→[서진]형주 남군
- 위치: 《30.59542, 111.69593》 후베이성 이창시 즈장시 안푸쓰진 펑지아위안촌(湖北省宜昌市枝江市安福寺镇彭家院村) 일대
-
감리현(監利縣): 222년 설치→삼국시대 중 폐지→서진 재설치 - 소속: [222]형주 남군→[삼국]폐지, [서진]형주 남군
- 위치: 《30.05146, 112.95740》 후베이성 징저우시 젠리시 저우라오쥐진 제지아촌(湖北省荆州市监利市周老嘴镇揭家村)
-
석수현(石首縣): 서진 설치(형주 남군) -
안남현(安南縣): 서진 설치(형주 남평군) -
강안현(江安縣): 형주목 치소(209~222)→서진 설치(형주 남평군) -
영현(郢縣): 후한 폐지(강릉현에 합병)
초나라의 수도였던 영성(郢城)으로 강릉현과 인접해 있는데, 전한 때까지 강릉현과는 독립되어 있었으나, 후한 때 강릉현에 합병되었다. -
고성현(高成縣): 후한 폐지
남군의 중심지 강릉이 위치한 지역. 양양과 함께 형주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 곳으로, 유표가 이곳을 형주목의 치소로 사용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삼국지연의』에는 처음부터 형주성으로 나오는데, 강릉현이 남북조시대를 거치면서 줄곧 '형주'로 불려 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도 '형주( 징저우)'로 부른다.
3.2. 강하군(江夏郡)
199년에 손책이 주유를 강하태수로 임명한 적이 있는데, 당시 강하군은 유표가 임명한 강하태수 황조가 재임 중이었기에 주유는 임지가 없는 대립태수였다. 208년에 손권이 황조를 죽이고 사이현·악현·하치현·서릉현 일대를 점령하여 강하군이 분할되었다. 유표는 황조의 후임으로 아들 유기를 중하구(中夏口)로 보냈는데, 이는 경릉현의 별칭으로 판단된다. 유기의 강하군 지역은 이후 유비에게 인계되었으나, 215년에 유비가 손권과 형주 분할에 합의하면서 손권의 영역이 되었다. 221년에 강하군을 분할해 무창군을 설치했다. 조비의 남정이 시작된 222년 무렵에 위나라가 임명한 강하태수 문빙이 하구(夏口) 일대까지 내려와 석범에 주둔했는데, 이때 석양현(석범?)·안륙현·남신시현이 위나라에 점령된 것으로 보인다. 229년에 무창군이 폐지되어 강하군에 합병되었다. 오나라 멸망 이후 무창군으로 개명되어 이어졌다.지명 | [208]강하군→[280]무창군 | |||
소속 | [208]형주→[서진]형주 | |||
치소 |
[208]사이현 노산성(魯山城)→[229]무창현 서릉군(무창군): 양신현?→[221]무창현 |
|||
분합 | [214]서릉군→[221]무창군에 합병: 하치현·양신현 | |||
[221]무창군→[229]강하군에 합병: 무창현·사이현 및 양주 예장군 시상현 및 양주 여강군 심양현 | ||||
전입 | [208]사이현·악현·하치현·서릉현, [215]안륙현·남신시현·경릉현·운두현, [280]양주 기춘군 고릉현 | |||
설치 | [210]양신현, [221?]석범현(사이현 분할?) 및 무창군 안풍현, [280]서릉현(재설치)·사양현·사이현(재설치)·악현, [서진]섭양현 | |||
전출 | [222?]석범현·안륙현·남신시현→강하군(위), [229]무창군 심양현·안풍현→양주 기춘군, [280]경릉현·운두현→강하군 및 서릉현→예주 익양군 | |||
폐지 | [256]사이현, [삼국]서릉현, [서진]하치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무창군(7현 14,800호): 무창현, 시상현, 양신현, 사이현, 사양현, 악현, 고릉현[9] | }}}}}}}}} |
- 경릉현(竟陵縣)
- 지명: 운향(鄖鄕), [후한]경릉국(竟陵國)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강하군→[서진]형주자사부 강하군
- 위치: 《30.48291, 112.84528》 후베이성 첸장시 쩌커우가도(湖北省潜江市泽口街道)
- 한진(漢津): 《30.72133, 112.60183》
-
양구(揚口): 《30.49630, 112.83690》
중하구(中夏口)라고도 불리는데, 경릉현 인근에 있다. 유기가 강하태수로 부임한 '하구'는 이곳을 가리키는 것으로, 경릉현을 달리 표현한 것이다. - 운두현(雲杜縣)
- 소속: [한]형주자사부 강하군→[서진]형주 강하군
- 위치: 220년에 현 치소를 이전했다.
- ~220: 《31.02481, 113.11685》 후베이성 징먼시 징산현(湖北省荆门市京山县)
- 220~: 《30.37761, 113.14898》 후베이성 셴타오시 싼푸탄진 펑차오촌(仙桃市三伏潭镇彭桥村)
- 저구(猪口): 《30.38132, 113.44612》
- 횡상구(橫桑口): 《30.53851, 113.64642》
- 면양(沔陽): 《30.19107, 113.15226》
-
서릉현(西陵縣): 222년 이전 폐지→280년 재설치
222년에 의도군 이릉현이 서릉현으로 개명한 것을 볼 때, 그 이전에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 소속: [진]형산군→[한]형주자사부 강하군→[삼국]폐지, [서진]예주 익양군
- 위치: 《30.84634, 114.77959》 후베이성 우한시 신저우구 주청가도 청시촌(湖北省武汉市新洲区邾城街道城西村)
-
사양현(沙陽縣): 280년 무렵 설치(형주 무창군)
3.2.1. 무창군(武昌郡)
214년에
손권이 양신현·하치현을 분할해 서릉군(西陵郡)을 설치하여
감녕을 태수로 임명했었다. 이후 221년에 손권이 무창군을 설치했을 때 서릉군 소속의 현이 모두 포함된 것을 보면, 이미 서릉군은 그 이전에 폐지되었거나 무창군을 설치하면서 합병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 강하군 소속인 무창현·하치현·양신현·사이현 이외에 양주(揚州) 예장군 시상현 및 양주 여강군 심양현이 소속되었으며, 무창군이 운영되던 중 안풍현이 설치되었다. 이때부터 손권은 229년에 황제로 즉위할 때까지 무창현을 수도로 사용했는데, 황제로 즉위한 뒤에 건업성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무창군을 폐지하여 다시 강하군에 합병시켰고, 심양현·안풍현은 양주 기춘군으로 이속했다.- 무창현(武昌縣): 무창군-강하군 치소
- 지명: [진]악현(鄂縣)→[221]무창현
- 소속: [진]형산군→[한]형주자사부 강하군→[221]무창군→[229]강하군→[서진]형주 무창군
- 위치: 《30.40272, 114.87991》 후베이성 어저우시 어청구(湖北省鄂州市鄂城区)
- 번구(樊口): 《30.41897, 114.86319》
- 유기(流沂): 《30.23478, 115.06242》
-
무창궁(武昌宮): 《30.40529, 114.8880》
오나라가 무창현을 수도로 사용했을 때인 223~229년 및 265~266년 동안 도성(都城)으로 사용한 곳이다. - 하치현(下雉縣): 서진 폐지
- 소속: [한]형주자사부 강하군→[214]서릉군→[221]무창군→[229]강하군→[서진]폐지
- 위치: 《29.85108, 115.43631》 후베이성 황스시 양신현 푸츠진(湖北省黄石市阳新县富池镇)
- 서새(西塞): 《30.19604, 115.14584》
- 반주(半州): 《29.84509, 115.66432》
- 양신현(陽新縣): 210년 무렵 설치
- 소속: [210?]형주자사부 강하군→[214]서릉군→[221]무창군→[229]강하군→[서진]형주 무창군
- 위치: 《29.68111, 114.86875》 후베이성 셴닝시 퉁산현 츠커우향 라오우촌(湖北省咸宁市通山县慈口乡老屋村) 일대
- 시상현(柴桑縣)
- 소속: [한]양주자사부 예장군→[221]무창군→[229]강하군→[서진]형주 무창군
- 위치: 《29.64157, 115.94367》 장시성 주장시 롄시구 롄화진 파이산촌(江西省九江市濂溪区莲花镇排山村)
- 분구관(盆口關): 《29.70337, 115.95666》
-
사이현(沙羡縣): 강하군 치소→254년 폐지→280년 재설치 - 지명: 하구(夏口)·한구(漢口)·면구(沔口)·노구(魯口), [전한]사이현(沙羨縣)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강하군→[221]무창군→[229]강하군→[254]폐지, [서진]형주 무창군
- 위치: 190년에 강하태수 황조가 언월루(偃月壘)라고도 불리는 극월성(郤月城)을 세워 그곳으로 사이현을 이전하고 강하군의 치소로 삼았다. 208년에 손권이 황조를 살해하고 노산성(魯山城)에 강하태수의 치소를 두었는데, 언월루가 노산성의 별성이므로 사실상 같은 곳이다. 221년에 사이현이 무창군으로 이속되었는데, 이때 노산성은 강하태수의 치소로 계속 유지되었기에, 노산성이 위치한 장강 이서는 신설된 석범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이며, 사이현은 강하산(江夏山)으로 옮겼다. 223년에 강하산에 하구성(夏口城)이 축성되어 현성이 완성되었다. 서진이 다시 설치한 사이현은 강하산 하구성에 위치했다.
- ~190: 《30.34570, 114.13033》 후베이성 우한시 장샤구 진커우가도(湖北省武汉市江夏区金口街道)
- 극월성: 《30.55345, 114.27197》 후베이성 우한시 한양구 젠챠오가도(湖北省武汉市汉阳区建桥街道)
- 하구성: 《30.55170, 114.29470》 후베이성 우한시 우창구 량다오가도(湖北省武汉市武昌区粮道街道)
- 봉작
- 손환: 사이후(226~243)
- 돈구(沌口): 《30.45430, 114.20089》
- 임장(林鄣): 《30.57697, 114.13997》
-
악현(鄂縣): 280년 무렵 설치(형주 무창군)
악현은 무창현의 옛 이름이므로, 서진이 설치한 악현은 무창현과 다른 곳으로, 새로운 현이다. -
섭양현(灄陽縣): 서진 설치(형주 무창군)
3.3. 의도군(宜都郡)
208년에 조조가 형주를 장악한 뒤 남군을 분할해 설치한 임강군(臨江郡)인데, 210년에 유비가 임강군을 장악한 뒤에 의도군으로 개명했다. 219년에 손권이 유비를 배신하여 형주를 뺏은 뒤에, 익주까지 차지할 생각으로 형주 공안에 있던 유장을 익주목으로 임명하고 무현·자귀현을 고릉군으로 삼아 자귀현에 주둔시켰으나, 222년에 유비와 화해하자 이를 폐지하여 환원했다. 260년에 다시 2현을 분할해 건평군을 설치했다.지명 | [208]임강군→[210]의도군 | |||
소속 | [208]형주→[서진]형주 | |||
치소 | 이도 | |||
분합 | [219]고릉군→[222]의도군에 합병→[260]건평군: 무현·자귀현 | |||
전입 | [208]남군 이도·이릉현·한산현·무현·자귀현, [219]익주 고릉군 무현 | |||
설치 | [209]북정현 | |||
전출 | [216]무현·북정현→익주 고릉군 | |||
봉작 | 보천: 의도공(27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의도군(3현 8,700호): 이릉현, 이도, 한산현 | }}}}}}}}} |
- 이도(夷道): 의도군 치소
-
서릉현(西陵縣)
육손이 유비를 격파한 이릉대전으로 유명한 곳이다. 여담으로 후세에 유일하게 조조의 사당이 세워진 곳이었는데, 나중에는 파괴당하고 말았다. - 지명: [진]이릉현(夷陵縣)→[222]서릉현→[서진]이릉현
- 소속: [진]남군→[한]형주자사부 남군→[208]임강군→[서진]형주 의도군
- 위치: 《30.69551, 111.29004》 후베이성 이창시 시링구(湖北省宜昌市西陵区)
- 효정(猇亭): 《30.57657, 111.39690》
- 고시(故市): 《30.74571, 111.31039》
- 협구(峽口): 《30.82208, 111.33944》
- 마안산(馬鞍山): 《30.89648, 111.127868》
- 형문산(荊門山): 《30.62941, 111.32360》
- 호아산(虎牙山): 《30.63277, 111.39578》
- 한산현(佷山縣)
3.4. 건평군(建平郡)
진(秦)나라가 이 일대에 있던 초나라의 검중군(黔中郡)을 점령하여 무검군(巫黔郡)을 설치한 적이 있었는데, 뒤에 이를 폐지하여 남군에 합병했다. 219년에 손권이 유비를 배신하여 형주를 뺏은 뒤에, 원래 의도군 소속이던 익주 고릉군 무현까지 점령하였는데, 무현에 자귀현을 덧붙여 고릉군으로 편성하고 형주 공안에 있던 유장을 익주목으로 임명해 자귀현에 주둔시켰으나, 222년에 유비와 화해하자 이를 폐지하여 의도군에 합병했다. 260년에 다시 2현을 분할해 건평군을 설치했는데, 아마도 이 군은 촉한의 멸망을 예상하고 신속히 익주로 진입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촉한 멸망 이후 영안현을 지키던 나헌이 보협을 격파하고 연이어 육항을 저지했기에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오히려 269년에 서진의 무릉태수 나헌이 무현·건시현을 점령했고, 건평도위(建平都尉)를 설치해 점령한 2현과 양주(梁州) 파동군의 북정현·태창현을 소속시켰다. 275년에 건평도위부를 건평군으로 승격시켜, 건평군이 서진과 오나라에 양분되었다. 오나라 멸망 이후 서진의 건평군과 통합되고 형주에 소속되었다.지명 | 검중군→[진]무검군, [219]고릉군, [260]건평군 | ||
소속 | 초(楚)→진(秦), [219]익주→[222]의도군에 합병, [260]형주→[서진]형주 | ||
치소 | [219]자귀현, [260]무현→[269]자귀현, [280]무현 | ||
분합 | [269]무릉군(서진) 건평도위→[275]건평군(서진)→[280]건평군 통합: 무현·건시현 및 양주 파동군 북정현·태창현 | ||
전입 | [219]무현·자귀현, [280]무현·건시현·북정현·태창현 | ||
설치 | [260]흥산현, [269?]건평도위부 사거현, [삼국]신릉현·건시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 | 무검군: 무현, 자귀현, 원릉현(沅陵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 |
서진 | 건평군(8현 13,200호): 무현, 북정현, 태창현, 신릉현, 흥산현, 건시현, 자귀현, 사거현 | }}}}}}}}} |
- 무현(巫縣): 건평군-건평도위 치소
- 소속: [진]무검군→[한]형주자사부 남군→[208]임강군→[216]익주 고릉군→[222]형주 의도군→[260]건평군→[269]무릉군 건평도위부→[275]건평군→[서진]형주 건평군
- 위치: 서진 때 현 치소를 이전했다.
- 자귀현(秭歸縣)
- 소속: [진]무검군→[한]형주자사부 남군→[208]임강군→[219]고릉군→[222]의도군→[260]건평군→[서진]형주 건평군
- 위치: 《30.99962, 110.69416》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구이저우진(湖北省秭归县归州镇)
- 단양(丹陽): 《30.98015, 110.71687》
- 귀향(歸鄕): 《30.98566, 110.76215》
- 흥산현(興山縣): 260년 설치
- 신릉현(信陵縣): 260년 무렵 설치
- 건시현(建始縣): 260년 무렵 설치
- 소속: [260?]형주 건평군→[269]무릉군 건평도위부→[275]건평군→[서진]형주 건평군
- 위치: 《30.61213, 109.88732》 후베이성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젠스현 싼리향 샤오툰촌(湖北省恩施土家族苗族自治州建始县三里乡小屯村)
- 사거현(沙渠縣): 269년 이후 설치
- 소속: [269?]형주 무릉군 건평도위부→[275]건평군→[서진]형주 건평군
- 위치: 《30.27226, 109.47861》 후베이성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湖北省恩施土家族苗族自治州)
3.5. 무릉군(武陵郡)
기록상으론 기원전 202년에 검중군(黔中郡)을 고쳐 무릉군으로 개명했다고 전하나, 진(秦)나라 때 검중군이 운영되었던 것이 확인되지 않고, 전한 때 무릉군에 소속되었던 현들은 간독에는 동정군(洞庭郡)에 소속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후한 때에는 한수현에 형주자사가 주둔했으나, 189년에 형주자사 왕예가 피살당하면서 이듬해 유표가 그 후임이 되었는데, 무릉군으로 부임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었는지 유표는 치소를 양양현으로 변경했다. 263년에 무릉군을 분할해 천문군을 설치했다.264년에 무릉군 4현이 위나라로 투항하여 무릉군이 분할되었고, 나헌이 무릉태수로 임명되었다. 이때 위나라로 투항한 무릉군 지역은 이후 269년에 나헌이 건평군 일부를 점령했을 때 침공로로 활용되었고, 『송서』에 따르면 오나라가 멸망할 당시에도 무릉군 면양현과 겸양현이 서진의 침공로 중 하나로 이용되었다. 두 현은 유수(酉水) 유역에 있던 현으로 비정되는 만큼, 아마도 나머지 두 현은 유양현과 천릉현에 해당한다고 추정된다.
지명 | [진]동정군→[전한]무릉군 | ||
소속 | 진(秦)→[한]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진]임원현→[전한]의릉현→[후한]임원현 천문군: 영양현 |
||
분합 | [263]천문군: 영양현·충현·누중현 | ||
[264]무릉군(위)→[280]무릉군 통합: 겸양현·면양현·유양현·천릉현 | |||
설치 | [삼국]무양현·용양현(오수현 분할)·면양현·겸양현·누중현, [280?]천문군 풍양현 | ||
전출 | [208]잔릉현·작당현→남군 | ||
폐지 | [서진]신양현·면양현 | ||
출신 |
임원현:
요립 한수현: 반준 무릉만: 사마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 | 동정군: 임원현, 천릉현, 유양현, 영양현, 잔릉현, 색현, 무양현, 신양현, 양릉현(陽陵縣·연혁 미상), 경릉현(竟陵縣·연혁 미상), 예양현(醴陽縣·연혁 미상), 문전현(門淺縣·연혁 미상), 상연현(上衍縣·연혁 미상), 신무릉현(新武陵縣·연혁 미상), 원양현(沅陽縣·연혁 미상), 곤양읍(昆陽邑·연혁 미상) 이외 미상 | |
전한 | 무릉군(13현 34,177호 185,758구): 색현, 잔릉현, 임원현, 원릉현, 담성현, 무양현, 천릉현, 신양현, 유양현, 의릉현, 한산현, 영양현, 충현 | ||
신 | 무릉군→건평군(建平郡), 잔릉현→잔륙현(孱陸縣), 임원현→감원현(監元縣), 원릉현→원륙현(沅陸縣), 천릉현→천륙현(遷陸縣), 신양현→회정현(會亭縣), 의릉현→건평현(建平縣) | ||
후한 | 무릉군(12성 46,672호 250,913구): 임원현, 한수현, 잔릉현, 영양현, 충현, 원릉현, 신양현, 유양현, 천릉현, 담성현, 원남현, 작당현 | ||
서진 | 무릉군(10현 14,000호): 임원현, 용양현, 한수현, 원릉현, 겸양현, 유양현, 담성현, 원남현, 천릉현, 무양현 | ||
천문군(5현 3,100호): 영양현, 누중현, |
}}}}}}}}} |
무릉만이 촉한에 협력해 손권에게 대항하기도 했고, 무릉만의 왕 사마가가 『삼국지연의』에서도 등장하기에 특별히 언급이 잦은 편이다. 사마가가 무릉만의 왕이라 하여, 그가 특별히 '무릉만'이라는 독립 세력을 이끄는 군주는 아니었다. 진나라와 한나라는 각지에 있는 이민족 수장들을 그 세력의 규모에 따라 읍장(邑長)·읍군(邑君)·귀의후(歸義侯)·솔중왕(率眾王) 등에 책봉하였는데, 사마가는 솔중왕에 책봉되는 수준의 큰 세력을 이뤘던 것일 뿐이다. 후한 때는 파군만(巴郡蠻)·남군만(南郡蠻)·장사만(長沙蠻)·영릉만(零陽蠻) 등 남방지역의 이민족들을 그들이 사는 지역에 위치한 군(郡)의 이름을 따와 통칭했는데, 무릉만 또한 단순히 무릉군 일대에 사는 다양한 이민족들을 통칭한 것에 불과하다. 무릉만은 오계만(五溪蠻)으로도 불렸는데, 무릉군은 권역이 다른 군들에 비해 월등히 넓었기에 무릉군을 관통하는 원수(沅水)의 지류 이름을 따와 5개 권역으로 나눠 부른 것으로, 웅계만(雄溪蠻)[11]·만계만(樠溪蠻)[12]·무계만(無溪蠻)[13]·유계만(酉溪蠻)·신계만(辰溪蠻)으로 구분했다. 마찬가지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한 단일 세력을 이루고 있거나 종족 정체성에 근거하여 이들을 구분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각 지류 유역에 따라 권역을 나눠 부른 것에 불과했다.
지나치기 쉬운 생각이나, 군현제의 원류였던 진나라는 그 근거지인 관중 지방부터 저족으로 불리는 토착 정주민족이 원주민으로 살던 곳이었고, 강족처럼 유목민족 계통도 다수 있었다. 군현제가 처음 형성될 때부터 이런 이민족들을 별도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 현(縣)과 동급의 행정구역인 도(道)를 제정하여 운영했을 정도다. 흔히 군·현을 설치하는 것이 특정한 정치세력을 멸망시키고 그 영역을 확보하여 이루어진다고 여겨지나, 그런 일은 고조선이나 남월처럼 본격적인 국가 체제를 갖추고 있던 정치세력의 영역이었던 곳에 해당하는 사례일 뿐이고, 대체로 한무제 때까지 새로운 영역에 만들어지는 군·현은 확보되지 않은 영역에 일단 군·현의 경계를 설정하고 사람들을 이주시켜 와 실제 현을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원주민들인 이민족들의 저항이 거세어 정상적인 치안을 유지할 수 없으면 그 지역을 포기했고, 계획했던 현들이 완성되지 못하여 군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면 군을 폐지하고 이미 개척이 완료된 현은 인근의 다른 군으로 합병시켰다. 무릉군의 전신인 동정군도 진나라 때 그렇게 탄생한 군들 가운데 하나였으며, 그중 천릉현이 설치된 초창기에 작성된 간독이 대량으로 발굴되어 이런 전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 임원현(臨沅縣): 무릉군 치소
- 오수현(吳壽縣): 형주자사 치소(~190)
- 지명: [진]색현(索縣)→[후한]한수현(漢壽縣)→[229]오수현→[서진]한수현
- 소속: [진]동정군→[한]형주자사부 무릉군→[서진]형주 무릉군
- 위치: 《29.11698, 111.89574》 후난성 창더시 딩청구 한궁두진 융난강촌(湖南省常德市鼎城区韩公渡镇永南岗村)
- 원릉현(沅陵縣)
-
신양현(辰陽縣): 서진 폐지
'辰'이 '진'으로도 발음되므로 '진양현'으로도 읽을 수 있으나, 신수(辰水)라는 지명에서 따온 것으로 지지(地支)를 뜻하지 않기에 '신'으로 읽는 것이 옳을 듯하다. - 유양현(酉陽縣)
- 소속: [진]동정군→[한]형주자사부 무릉군→[서진]형주 무릉군
- 위치: 《28.75974, 109.91140》 후난성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융순현 왕춘진(湖南省湘西土家族苗族自治州永顺县王村镇) 서부
- 천릉현(遷陵縣)
- 소속: [진]동정군→[한]형주자사부 무릉군→[서진]형주 무릉군
- 위치: 《28.75131, 109.49142》 후난성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바오징현 바마오향 허쭤촌(湖南省湘西土家族苗族自治州保靖县拔茅乡禾作村)
- 적사(赤沙): 《28.76350, 109.73778》
- 심성현(鐔城縣·鐔成縣)
- 원남현(沅南縣): 50년 설치
- 무양현(舞陽縣): 후한 폐지→삼국시대 중 재설치
- 지명: [진]무양현(無陽縣), [삼국]무양현(舞陽縣)
- 소속: [진]동정군→[한]형주자사부 무릉군→[후한]폐지, [삼국]무릉군→[서진]형주 무릉군
- 위치: 《27.51140, 109.78505》 후난성 화이화시 즈장 둥족 자치현 뤄주진(湖南省怀化市芷江侗族自治县罗旧镇)
- 용양현(龍陽縣): 삼국시대 중 설치
- 면양현(黽陽縣): 삼국시대 중 설치→서진 폐지
- 소속: [삼국]형주 무릉군→[서진]폐지
-
위치: 《29.49399, 109.40699》
후베이성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라이펑현(湖北省恩施土家族苗族自治州来凤县) 일대?
면양현은 송나라 때 파동군 소속이었던 점으로 보아, 파동군과 인접한 유수(酉水) 상류에 있던 것으로 추측된다. - 겸양현(黚陽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소속: [삼국]형주 무릉군→[서진]형주 무릉군
- 위치: 《28.78794, 109.29332》 후난성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룽산현(湖南省湘西土家族苗族自治州龙山县) 일대?
-
의릉현(義陵縣): 후한 폐지
3.5.1. 천문군(天門郡)
263년에 무릉군을 분할해 설치했다.- 영양현(零陽縣): 천문군 치소
- 소속: [진]동정군→[한]형주자사부 무릉군→[263]천문군→[서진]형주 천문군
- 위치: 《29.43410, 111.14301》 후난성 장자제시 츠리현(湖南省张家界市慈利县)
- 영(岺): 《29.75022, 111.82465》
- 충현(充縣)
- 지명: [서진]임례현(臨澧縣)
- 소속: [한]형주자사부 무릉군→[263]천문군→[서진]형주 천문군
- 위치: 《29.39268, 110.16237》 후난성 장자제시 쌍즈현(湖南省张家界市桑植县)
- 누중현(漊中縣): 263년 설치
-
예양현(澧陽縣): 280년 무렵 설치(형주 천문군)
3.6. 장사군(長沙郡)
진(秦)나라가 설치했다고 전하지만 간독에는 장사군의 이름이 발견되지 않는다. 진나라 때 장사군이 없었다고 보는 측에서는 후일의 장사군은 동정군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고 있다. 기원전 202년에 오예가 장사왕으로 책봉되면서 장사국(長沙國)이 되었다. 208년에 손권이 한창현·하준현·나현·유양현을 점령하여 210년에 이 지역을 분할해 한창군을 설치했는데, 229년에 폐지되어 다시 장사군에 합병되었다. 257년에 서부도위부가 승격해 형양군이 설치되고 동부도위부가 승격해 상동군이 설치되었다.지명 | [진]장사군→[-202]장사국→[-157]장사군→[-155]장사국→[10?]장사군→[23]장사국→[37]장사군 | ||
소속 | 진(秦)→[한]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임상현 한창군: 한창현 |
||
분합 | [210]한창군→[229]장사군에 합병: 한창현·하준현·나현·유양현 및 남군 주릉현 | ||
[삼국]서부도위→[257]형양군: 상남현·연도·익양현·임증현 | |||
[삼국]동부도위→[257]상동군: 영현·다릉현·용릉현? | |||
설치 | [147]한창현, [196]유양현·임증현, [223]포기현, [삼국]건녕현, [서진]파릉현 | ||
전출 | [168]소릉현→영릉군, [267]안성현→양주 안성군 | ||
폐지 | [229?]한창군 주릉현 | ||
출신 | 임상현: 환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 | 장사군: 임상현, 익양현, 하준현, 애현, 예릉현, 나현 이외 미상 | |
전한 | 장사국(13현 43,470호 235,825구): 임상현, 나현, 연도, 익양현, 하준현, 유현, 영현, 승양현, 상남현, 소릉현, 도릉현, 용릉현, 안성현 | ||
신 | 장사군→전만군(塡蠻郡), 임상현→무목현(撫睦縣), 하준현→윤준현(閏雋縣), 도릉현→성향현(聲鄕縣), 안성현→사성현(思成縣) | ||
후한 | 장사군(13성 255,854호 1,059,372구): 임상현, 유현, 다릉현, 안성현, 영현, 상남국, 연도, 소릉현, 익양현, 하준현, 나현, 예릉현, 용릉현 | ||
서진 | 장사군(10현 33,000호): 임상현, 유현, 하준현, 예릉현, 유양현, 건녕현, 오창현, 나현, 포기현, 파릉현 | }}}}}}}}} |
- 임상현(臨湘縣): 장사군 치소
- 소속: [진]장사군→[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28.19820, 112.97813》 후난성 창사시 푸룽구(湖南省长沙市芙蓉区)
- 봉작
-
한현묘(韓玄墓): 《28.18888, 112.96903》
장사태수 한현의 무덤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삼국지연의』에서 찌질한 악역으로 묘사된 것에 반해, 묘비에는 "한나라 충신 한현의 묘(漢忠臣韓玄之墓)"라고 쓰여있다. - 유현(攸縣)
- 소속: [진]창오군→[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27.15611, 113.42860》 후난성 주저우시 유현 신스진 푸서우완촌(湖南省株洲市攸县新市镇福寿湾村)
- 안성현(安城縣)
- 지명: [전한]안성현(安成縣)→[후한]안성현(安城縣)→[서진]안부현(安復縣)
- 소속: [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267]양주 안성군→[서진]강주 안성군
- 위치: 《27.38536, 114.27450》 장시성 지안시 안푸현 타이산향 서상촌(江西省吉安市安福县泰山乡社上村)
- 예릉현(醴陵縣): 전한 폐지→후한 재설치
- 소속: [진]장사군→[전한]폐지, [후한]형주자사부 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27.66852, 113.49410》 후난성 주저우시 리링시(湖南省株洲市醴陵市)
- 봉작
- 고옹: 예릉후(225~?)
- 포기현(蒲圻縣): 223년 설치
- 소속: [223]형주 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서진 때 현 치소를 이전했다.
- 223: 《29.92379, 114.12193》 후베이성 셴닝시 츠비시 관탕이진 위핑산촌(湖北省咸宁市赤壁市官塘驿镇御屏山村) 일대
- 서진: 《29.93323, 113.68893》 후베이성 징저우시 훙후시 룽커우진 바오타저우촌(湖北省荆州市洪湖市龙口镇宝塔洲村) 일대
-
적벽(赤壁): 《29.88533, 113.61877》
적벽대전이 일어난 장소이다. - 육구(陸口): 《29.91376, 113.66848》
- 건녕현(建寧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소속: [삼국]형주 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270년에 현 치소를 이전했다.
- ~270: 《27.86074, 113.14104》 후난성 주저우시 허탕구(湖南省株洲市荷塘区)
- 270~: 《27.48917, 113.16527》 후난성 주저우시 루커우구 간톈진 간톈촌(湖南省株洲市渌口区淦田镇淦田村)
- 녹포(漉浦): 《27.69057, 113.12837》?
-
파릉현(巴陵縣): 서진 설치(형주 장사군) - 지명: 파구(巴丘)
- 위치: 《29.37126, 113.09766》 후난성 웨양시(湖南省岳阳市)
- 파구산(巴丘山): 《29.31506, 113.12390》
-
노숙묘(魯肅墓): 《29.38210, 113.09140》
노숙의 무덤이라고 전해지는 유적지 중 하나로, 다른 곳들은 단도현의 태사자묘 근처나, 사이현의 노산성 경내에 있다. 노산성에 있는 노숙묘는 의관묘(衣冠墓)로 노숙 본인의 무덤은 아닌데, 노숙이 한창태수를 역임한 것을 고려하면, 노숙이 죽은 시점에 아무런 연고가 없는 단도현에 노숙의 무덤이 있는 것은 다소 이상한 일이다. 아마도 당시 한창군 영역내에 있던 이곳이 실제 노숙의 무덤에 가까워 보인다.
3.6.1. 한창군(漢昌郡)
208년에 손권이 점령한 장사군 한창현·하준현·나현·유양현과 남군 주릉현에 해당하며, 210년에
유비의 형주 점유를 인정하면서 적벽대전 이전에 점령했던 지역에는 자신이 임명한 태수들을 보냈는데, 이때 장사군·남군 지역에는 한창군이 설치되고
노숙이 한창태수로 임명되었다. 229년에 한창군을 폐지하여 장사군으로 합병되었는데, 주릉현은 이때 폐지된 것으로 보이며 서진 때 남군 소속으로 다시 설치되었다.- 오창현(吳昌縣): 147년 설치→한창군 치소
- 지명: [147]한창현(漢昌縣)→[229]오창현
- 소속: [147]형주자사부 장사군→[210]한창군→[229]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28.57345, 113.65891》 후난성 웨양시 핑장현 안딩진(湖南省岳阳市平江县安定镇)
- 하준현(下雋縣)
- 소속: [진]장사군→[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210]한창군→[229]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29.26707, 113.79510》 후베이성 셴닝시 퉁청현(湖北省咸宁市通城县)
- 나현(羅縣)
- 소속: [진]장사군→[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210]한창군→[229]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28.82509, 113.06494》 후난성 웨양시 미뤄시(湖南省岳阳市汨罗市)
- 동정(洞庭): 《29.18993, 112.93738》
- 골라연(汨羅淵): 《29.00117, 113.03485》
- 유양현(劉陽縣): 196년 설치
- 소속: [196]형주자사부 장사군→[210]한창군→[229]장사군→[서진]형주 장사군
- 위치: 《28.34965, 113.88465》 후난성 창사시 류양시 관두진(湖南省浏阳县官渡镇)
- 봉작
- 반준: 유양후(229~?)
-
주릉현(州陵縣): 삼국시대 중 폐지→서진 재설치
3.7. 형양군(衡陽郡)
정확히 언제부터 장사군에 서부도위(西部都尉)가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손권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257년에 장사서부도위부를 승격시켜 형양군을 설치했다.소속 | [257]형주→[서진]형주 | |||
치소 | 상남현 | |||
전입 | [257]장사군 상남현·연도·익양현·임증현 및 영릉군 상향현·중안현·증양현 | |||
설치 | [257]상서현·형양현, [삼국]신양현 | |||
전출 | [280]임증현→상동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형양군(9현 23,000호): 상향현, 중안현, 상남현, 상서현, 증양현, 형산현, 연도, 신강현, 익양현 | }}}}}}}}} |
- 상남현(湘南縣): 장사서부도위-형양군 치소
- 지명: [후한]상남국(湘南國)
- 소속: [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257]형양군→[서진]형주 형양군
- 위치: 《27.78971, 112.70902》 후난성 샹탄시 샹탄현 구청향(湖南省湘潭市湘潭县古城乡)
- 연도(連道)
- 익양현(益陽縣)
- 소속: [진]장사군→[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257]형양군→[서진]형주 형양군
- 위치: 215년 익양대치 시점에 노숙이 쌓은 성으로 현 치소를 옮겼다.
- 임증현(臨烝縣): 196년 설치
- 중안현(重安縣)
- 지명: [전한]종무현(鍾武縣)→[후한]중안국(重安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영릉군→[257]형양군→[서진]형주 형양군
- 위치: 13년에 현 치소를 이전했다.
- 상향현(湘鄕縣): 기원전 3년 설치
- 지명: [-3]상향국(湘鄕國)
- 소속: [-3]형주자사부 영릉군→[후한]영릉군→[257]형양군→[서진]형주 형양군
- 위치: 《27.73725, 112.51875》 후난성 샹탄시 샹샹시(湖南省湘潭市湘乡市)
- 증양현(烝陽縣)
- 지명: [전한]승양현(承陽縣)→[후한]증양국(烝陽國)
- 소속: [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영릉군→[257]형양군→[서진]형주 형양군
- 위치: 《27.17519, 112.16625》 후난성 헝양시 헝양현 다안향 스윈촌(湖南省衡阳市衡阳县大安乡石云村)
- 상서현(湘西縣): 257년 설치
- 형양현(衡陽縣): 257년 설치
- 지명: [서진]형산현(衡山縣)
- 소속: [257]형주 형양군→[서진]형주 형양군
- 위치: 《27.14665, 112.82908》 후난성 헝양시 헝산현 융허향 스추촌(湖南省衡阳市衡山县永和乡狮球村)
- 신양현(新陽縣): 삼국시대 중 설치
3.8. 상동군(湘東郡)
정확히 언제부터 장사군에 동부도위(東部都尉)가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손권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257년에 장사동부도위부를 승격시켜 상동군을 설치했다.소속 | [257]형주→[서진]형주 | |||
치소 | 영현 | |||
전입 | [257]장사군 영현·다릉현·용릉현? 및 계양군 음산현, [280]형양군 임증현 | |||
설치 | [257]이양현·신녕현(뇌양현 분할), [삼국]신평현(뇌양현 분할) | |||
폐지 | [삼국]용릉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상동군(7현 19,500호): 영현, 다릉현, 임증현, 이양현, 음산현, 신평현, 신녕현 | }}}}}}}}} |
- 영현(酃縣): 장사동부도위-상동군 치소
- 소속: [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257]상동군→[서진]형주 상동군
- 위치: 《26.94536, 112.68856》 후난성 헝양시 주후이구 차산아오진(湖南省衡阳市珠晖区茶山坳镇)
- 다릉현(茶陵縣)
- 지명: [전한]도릉현(荼陵縣)→[후한]다릉현
- 소속: [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257]상동군→[서진]형주 상동군
- 위치: 《27.00459, 113.80076》 후난성 주저우시 차링현 샹둥향(湖南省株洲市荼陵县湘东乡) 일대
- 구구(漚口): 《26.77070, 113.58324》
- 상향(上鄕): 《26.46798, 113.91548》?
- 음산현(陰山縣)
- 지명: [전한]음산국(陰山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계양군→[257]상동군→[서진]형주 상동군
- 위치: 《26.99599, 113.25383》 후난성 주저우시 유현 장차오가도 퉁바촌(湖南省株洲市攸县江桥街道桐坝村)
- 이양현(梨陽縣): 257년 설치
- 신녕현(新寧縣): 257년 설치
- 신평현(新平縣): 257년 전후 설치
-
용릉현(容陵縣): 삼국시대 중 폐지
3.9. 영릉군(零陵郡)
진(秦)나라가 창오군(蒼梧郡)을 설치한 적이 있었는데, 대체로 한나라 때의 영릉군·계양군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진나라가 멸망한 이후 사라졌다. 이후 전한 때인 기원전 111년에 무릉군을 분할해 영릉군을 설치했다. 영릉군을 분할해 265년에 영양군과 광주 시안군이 설치되었고 266년에 소릉군이 설치되었는데, 이 가운데 영양군은 정확한 시점을 알 수 없으나 오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유지되지 못하고 폐지되어 다시 영릉군에 합병되었다.지명 | [진]창오군, [-111]영릉군 | ||
소속 | 진(秦), [한]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천릉현 영양군: 영포현 |
||
분합 | [265]영양군→[삼국]영릉군에 합병: 영포현·영도(營道)·영도(泠道)·용릉현 | ||
[삼국]남부도위→[265]광주 시안군: 시안현 및 광주 창오군 여포현 | |||
[삼국]북부도위→[266]소릉군→[280]소릉군(邵陵郡): 소릉현·도량현·부이현·소양현 | |||
전입 | [168]소릉현→영릉군 | ||
설치 | [222]고평현·용릉현, [265]관양현 및 시안군 시양현·평락현·상안현(尙安縣)·영풍현(여포현 분할), [266]소릉군 신성현, [삼국]기양현(천릉현 분할)·영창현, [280?]응양현 및 시안군 상안현(常安縣·광주 계림군 무풍현 분할) 및 소릉군 건흥현, [서진]소릉군 무강현 | ||
전출 | [257]상향현·중안현·증양현→형양군 | ||
출신 |
천릉현:
황개 상향현: 장완 증양현: 유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 | 창오군: 영포현, 남평현, 영도, 용릉현, 조양현, 관양현, 계양현, 흘도, 유현, 영릉현, 침현, 뇌양현, 창오현(蒼梧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 |
전한 | 영릉군(10현 21,092호 139,378구): 영릉현, 영도(營道), 시안현, 부이현, 영포현, 도량국, 영도(泠道), 천릉국, 조양현, 종무현 | ||
신 | 영릉군→구의군(九疑郡), 영도(營道)→구의정현(九疑亭縣), 영도(泠道)→영릉현(泠陵縣), 천릉국→단윤현(漙閏縣), 조양현→도치현(洮治縣), 종무현→종환현(鍾桓縣) | ||
후한 | 영릉군(13성 212,284호 1,001,578구): 천릉현, 영릉현, 영도(營道), 영포현, 영도(泠道), 조양현, 도량현, 부이국, 시안국, 중안국, 상향현, 소양국, 증양국 | ||
서진 | 영릉군(11현 25,100호): 천릉현, 기양현, 영릉현, 영포현, 조양현, 영창현, 관양현, 영도(營道), 용릉현, 영도(泠道), 응양현 | ||
시안군(7현 6,000호): 시안현, 시양현, 평락현, 여포현, 상안현, 희평현, 영풍현 | |||
소릉군(6현 12,000호): 소릉현, 도량현, 부이현, 건흥현, 소양현, 고평현, 신성현[14] | }}}}}}}}} |
- 천릉현(泉陵縣): 영릉군 치소
- 지명: [전한]천릉국(泉陵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영릉군→[서진]형주 영릉군
- 위치: 《26.21034, 111.61256》 후난성 융저우시 링링구(湖南省永州市零陵区)
- 상관(湘關): 《26.27230, 111.60970》
- 영릉현(零陵縣)
- 소속: [진]창오군→[한]형주자사부 영릉군→[서진]형주 영릉군
- 위치: 《25.85898, 110.90368》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시 취안저우현 사오수이진 얼메이촌(广西自治区桂林市全州县绍水镇二美村)
- 조양현(洮陽縣)
- 소속: [진]창오군→[한]형주자사부 영릉군→[서진]형주 영릉군
- 위치: 《26.22866, 111.16994》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시 취안저우현 원차오진(广西壮族自治区桂林市全州县文桥镇)
- 기양현(祁陽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영창현(永昌縣): 삼국시대 중 설치
-
관양현(觀陽縣): 전한 폐지→265년 재설치 -
응양현(應陽縣): 280년 무렵 설치(형주 영릉군)
3.9.1. 영양군(營陽郡)
265년에 영릉군을 분할해 설치한 군으로 오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유지되지 못하고 폐지되었는데, 그 시점이 명확하지 않다.- 영포현(營浦縣): 영양군 치소
- 소속: [진]창오군→[한]형주자사부 영릉군→[265]영양군→[삼국]영릉군→[서진]형주 영릉군
- 위치: 《25.53730, 111.62051》 후난성 융저우시 다오현(湖南省永州市道县)
- 영도(營道)
- 소속: [한]형주자사부 영릉군→[265]영양군→[삼국]영릉군→[서진]형주 영릉군
- 위치: 《25.50342, 111.98637》 후난성 융저우시 닝위안현 둥청향 상차촌(湖南省永州市宁远县东城乡上茶村)
- 영도(泠道)
- 지명: [진]영도(冷道)→[전한]영도(泠道)
- 소속: [진]창오군→[한]형주자사부 영릉군→[265]영양군→[삼국]영릉군→[서진]형주 영릉군
- 위치: 《25.51081, 112.09515》 후난성 융저우시 란산현 츠탕웨이진 취베이촌(湖南省永州市蓝山县祠堂圩镇砠背村)
- 용릉현(舂陵縣): 전한 폐지→222년 재설치(泠道 분할)
3.9.2. 시안군(始安郡)
정확히 언제부터 영릉군에 남부도위(南部都尉)가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손권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265년에 영릉남부도위부를 승격시켜 시안군을 설치하고 광주에 소속시켰으며, 광주 창오군 여포현이 이속했다.- 시안현(始安縣): 영릉남부도위-시안군 치소
- 지명: [후한]시안국(始安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영릉군→[265]광주 시안군→[서진]광주 시안군
- 위치: 《25.28006, 110.28626》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시 슈펑구(广西壮族自治区桂林市秀峰区)
-
시양현(始陽縣): 265년 설치 - 소속: [265]광주 시안군→[서진]광주 시안군
-
평락현(平樂縣): 265년 설치 -
상안현(尙安縣): 265년 설치 - 지명: [서진]희평현(熙平縣)
- 소속: [265]광주 시안군→[서진]광주 시안군
- 위치: 《24.92433, 110.53960》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시 양숴현 싱핑진 수지아바오촌(广西壮族自治区桂林市阳朔县兴坪镇书家堡村)
-
영풍현(永豐縣): 265년 설치 - 소속: [265]광주 시안군→[서진]광주 시안군
- 위치: 《24.62095, 110.27376》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시 리푸현 화룽진 다장촌(广西壮族自治区桂林市荔浦市花篢镇大江村) 일대
-
상안현(常安縣): 280년 무렵 설치(광주 시안군)
3.9.3. 소릉군(昭陵郡)
정확히 언제부터 영릉군에 북부도위(北部都尉)가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손권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266년에 영릉북부도위부를 승격시켜 소릉군을 설치했다. 오나라 멸망 이후 사마소의 이름을
피휘하여 소릉군(邵陵郡)으로 개명했다.- 소릉현(昭陵縣): 영릉북부도위-소릉군 치소
-
지명: [서진]소릉현(邵陵縣)
사마소의 이름을 피휘하여 글자가 바뀐 것이다. - 소속: [전한]형주자사부 장사국→[후한]장사군→[168]영릉군→[266]소릉군→[서진]형주 소릉군
- 위치: 《27.24932, 111.47494》 후난성 사오양시 솽칭구(湖南省邵阳市双清区)
- 도량현(都梁縣)
- 지명: [전한]도량국(都梁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영릉군→[266]소릉군→[서진]형주 소릉군
- 위치: 《26.73872, 110.64754》 후난성 사오양시 우강시 잉춘팅가도(湖南省邵阳市武冈市迎春亭街道)
- 부이현(夫夷縣)
- 지명: [후한]부이국(夫夷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영릉군→[266]소릉군→[서진]형주 소릉군
- 위치: 《27.00593, 111.23486》 후난성 사오양시 사오양현 탕두커우진 차이산촌(湖南省邵阳市邵阳县塘渡口镇蔡山村)
- 소양현(昭陽縣): 5년 설치
-
지명: [5]소양국(昭陽國)→[189]소양현→[서진]소양현(邵陽縣)
사마소의 이름을 피휘하여 글자가 바뀐 것이다. - 소속: [5]형주자사부 영릉군→[후한]영릉군→[266]소릉군→[서진]형주 소릉군
- 위치: 《27.30527, 111.77312》 후난성 사오양시 사오둥현 헤이톈푸진(湖南省邵阳市邵东县黑田铺镇)
- 고평현(高平縣): 222년 설치
-
신성현(新城縣): 266년 설치 -
건흥현(建興縣): 280년 무렵 설치(형주 소릉군) -
무강현(武剛縣): 서진 설치(형주 소릉군)
3.10. 계양군(桂陽郡)
문헌상으로는 전한 초기인 기원전 205년에 설치했다고 전한다. 265년에 남부도위가 승격되어 시흥군이 설치되고 광주에 소속되었다.소속 | [한]형주자사부→[서진]형주 | ||
치소 |
침현 시흥군: 곡강현 |
||
분합 | [삼국]남부도위→[265]광주 시흥군: 곡강현·계양현·함광현·정양현 및 남해군 중숙현 | ||
설치 | [265]광주 시흥군 시흥현, [서진]광주 시흥군 양산현 | ||
전출 | [257]음산현→상동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전한 | 계양군(11현 28,119호 156,488구): 침현, 임무현, 변현, 남평현, 뇌양현, 계양현, 양산국, 곡강현, 함광현, 정양현, 음산국 | |
신 | 계양군→남평군(南平郡), 침현→선풍현(宣風縣), 임무현→대무현(大武縣), 편현→편병현(便屛縣), 뇌양현→남평정현(南平亭縣), 곡강현→제로현(除虜縣), 정양현→기무현(基武縣) | ||
후한 | 계양군(11성 135,029호 501,403구): 침현, 변현, 뇌양현, 음산현, 남평현, 임무현, 계양현, 함광현, 정양현, 곡강현, 한녕현 | ||
서진 | 계양군(6현 11,300호): 침현, 뇌양현, 편현, 임무현, 진녕현, 남평현 | ||
시흥군(7현 5,000호): 곡강현, 계양현, 시흥현, 함광현, 정양현, 중숙현, 양산현 | }}}}}}}}} |
- 침현(郴縣): 계양군 치소
- 편현(便縣)
-
뇌양현(耒陽縣)
방통이 유비에게 임관한 이후 이곳의 현령으로 부임했다가 근무태만으로 파면당했는데, 『삼국지연의』에서는 이 과정이 세탁(...)되었다. - 남평현(南平縣)
- 소속: [진]창오군→[한]형주자사부 계양군→[서진]형주 계양군
- 위치: 《25.38875, 112.20333》 후난성 융저우시 란산현(湖南省永州市蓝山县) 고성
- 종정(鍾亭): 《25.39618, 112.28814》
- 노취(盧聚): 《25.10848, 112.13062》?
- 임무현(臨武縣)
- 양안현(陽安縣): 136년 설치
- 지명: [136]한녕현(漢寧縣)→[229]양안현→[서진]진녕현(晉寧縣)
- 소속: [136]형주자사부 계양군→[후한]계양군→[서진]형주 계양군
- 위치: 《25.95462, 113.41030》 후난성 천저우시 쯔싱시 허우위향(湖南省郴州市资兴市厚玉乡)
-
양산국(陽山國): 후한 폐지 -
흘도(齕道): [진]창오군→기원전 33년 폐지
3.10.1. 시흥군(始興郡)
정확히 언제부터 계양군에 남부도위(南部都尉)가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손권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265년에 계양남부도위부를 승격시켜 시흥군을 설치하고 광주에 소속시켰으며, 광주 남해군 중숙현이 이속했다.- 곡강현(曲江縣): 계양남부도위-시흥군 치소
- 계양현(桂陽縣)
- 소속: [진]창오군→[한]형주자사부 계양군→[265]광주 시흥군→[서진]광주 시흥군
- 위치: 《24.77970, 112.37812》 광둥성 칭위안시 롄저우시(广东省清远市连州市)
- 송저정(宋渚亭): 《25.37681, 112.22771》
- 양산관(陽山關): 《24.64393, 112.57188》
- 함광현(含洭縣)
- 정양현(湞陽縣)
-
시흥현(始興縣): 265년 설치 -
양산현(陽山縣): 서진 설치(광주 시흥군)
3.11. 임하군(臨賀郡)
226년에 교주 창오군을 분할해 설치된 군으로 형주에 소속되었다. 오나라 멸망 이후 광주에 소속되었다.소속 | 교주→[226]형주→[서진]광주 | |||
치소 | 임하현 | |||
전입 | [226]교주 창오군 임하현·사목현·풍승현·봉양현·부천현 | |||
설치 | [266]건흥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진 | 임하군(6현 2,500호): 임하현, 사목현, 풍승현, 봉양현, 흥안현, 부천현 | }}}}}}}}} |
- 임하현(臨賀縣): 임하군 치소
- 소속: [한]교지자사부 창오군→[226]형주 임하군→[서진]광주 임하군
- 위치: 《24.33682, 111.65885》 광시자치구 허저우시 바부구 허제진(广西自治区贺州市八步区贺街镇)
- 사목현(謝沐縣)
- 소속: [한]교지자사부 창오군→[226]형주 임하군→[서진]광주 임하군
- 위치: 《25.11828, 111.17402》 후난성 장융현 란시자치향(湖南省江永县兰溪自治乡)
- 사목관(謝沐關): 《25.07788, 110.95449》
- 봉양현(封陽縣)
- 소속: [한]교지자사부 창오군→[226]형주 임하군→[서진]광주 임하군
- 위치: 《23.99418, 111.71946》 광시자치구 허저우시 바부구 신두진(广西自治区贺州市八步区信都镇)
- 풍승현(馮乘縣)
- 소속: [한]교지자사부 창오군→[226]형주 임하군→[서진]광주 임하군
- 위치: 《24.93645, 111.50664》 후난성 장화자치현 바이망잉진(湖南省江华自治县白芒营镇) 서측
- 부천현(富川縣)
- 소속: [한]교지자사부 창오군→[226]형주 임하군→[서진]광주 임하군
- 위치: 《24.52654, 111.29557》 광시자치구 중산현(广西自治区锺山县)
-
건흥현(建興縣): 266년 설치 - 지명: [서진]흥안현(興安縣)
- 소속: [266]형주 임하군→[서진]광주 임하군
- 위치: 《24.67234, 111.80013》 광시자치구 허저우시 바부구 구이링진(广西自治区贺州市八步区桂岭镇)
4. 같이보기
[1]
왕찬에 따르면 유표가 죽기 전에 유비를 후임 형주목으로 추대했다고 하는데, 이 사실은 당사자인 유비는 평생 알지 못한 일이었다. 오히려 이 사건은 유표의 세력이 유비에게 넘어가는 것을 우려한 양양 호족들이 유종을 추대해 황급히 조조에 투항해버린 원인이 된 것 같다.
[2]
형주자사 유표가 양양현을 거점으로 삼았다가, 208년 적벽대전 이후 완현에 형주자사의 치소를 두었는데, 형주 전선이 어느 정도 안정화된 243년 무렵에
왕창은 오나라의 침공에 대비하고자 형주자사의 치소를 신야현으로 보다 전진해 배치했다.
[3]
『진서』 지리지에 양양군 소속 현으로 등성이 기재되었으나 이는 의양국 등현의 별명이므로 양양군 소속일 수 없다. 반면 280년에 설치된 상황현이 누락되었다.
[4]
『진서』 지리지에는 진흥현(晉興縣)으로 오기되었다.
[5]
209년 유비가 형주목을 자칭했을 때 치소로 삼은 곳은 공안이었고, 219년에 손권이 형주목 직위를 차지한 시점에도 그대로 이어져, 공안은 한동안 손권 세력의 거점으로 쓰였다. 222년 육손을 강릉후로 책봉하면서 형주목으로 임명했을 때 형주목의 치소도 육손의 임지인 남군 강릉현으로 이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6]
어느 시점에 영양군을 폐지했는데,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다.
[7]
『진서』 지리지에는 예주 안풍군 송자현을 남군 소속으로도 중복하여 표기했다.
[8]
『진서』 지리지에는 남안현(南安縣)으로 오기되었다.
[9]
양주 기춘군 안풍현은 고릉현(高陵縣)으로 개명되어 형주 무창군에 소속되었는데, 『진서』 지리지에는 관릉현(官陵縣)으로 오기되었다.
[10]
서진 때 충현을 임례현으로 개명했는데, 『진서』 지리지에는 충현과 임례현을 병기하였다.
[11]
무계만(巫溪蠻)으로 불리기도 했다.
[12]
낭계만(朗溪蠻)으로 불리기도 했다.
[13]
무계만(武溪蠻)으로 불리기도 했다.
[14]
『진서』 지리지에는 신성현이 누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