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2:43:47

KBS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72년까지 동일 명칭으로 방송했던 라디오 채널에 대한 내용은 KBS 한민족방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1981년에 폐국한 라디오 채널에 대한 내용은 KBS 제3방송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1990년에 폐국한 텔레비전 채널에 대한 내용은 KBS 3TV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KBS 제3라디오/편성표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
숫자와 단위 사이 공백을 추가하고 역사 문단 추측성 서술을 삭제하는 것에 대한
이 문서에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토론 중인 내용을 일방적으로 편집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송출 채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라디오
방송
중파
초단파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파일:U-KBS MUSIC 로고.svg )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지역 FM)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EBS FM 로고.svg · 파일:KFN 로고.png
단파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텔레비전
방송
지상파
DMB
파일:KBS 1TV 로고.svg (파일:U-KBS STAR 로고.svg ) · 파일:KBS 2TV 로고.svg (파일:U-KBS HEART 로고.svg ) ·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기타 파일:KBS 월드 로고.svg · 파일:KBS KOREA.png
인터넷 보도 파일:KBS NEWS D 로고.svg
폐국 제3중파방송 · 라디오서울 · 파일:KBS 3TV 로고.svg · 교육 FM
† 위탁 송신, EBS 1, 2TV는 비수도권 한정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라디오 방송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rowcolor=#fff> 구분 수도권 비수도권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파일:KBS CoolFM 로고.svg 파일:U-KBS MUSIC 로고.svg
(DMB 라디오)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MBC 라디오 로고 2020.png 파일:춘천MBC 로고.svg · 파일:원주MBC 로고.svg · 파일:MBC강원영동 로고.svg · 파일:대전MBC 로고.svg · 파일:MBC충북 로고.svg · 파일:전주MBC 로고.svg · 파일:광주MBC 로고.svg · 파일:목포MBC 로고.svg · 파일:여수MBC 로고.svg · 파일:대구MBC 로고.svg · 파일:안동MBC 로고.svg · 파일:포항MBC 로고.svg · 파일:부산MBC 로고.svg · 파일:울산MBC 로고.svg · 파일:MBC경남 로고.svg · 파일:제주MBC 로고.svg
파일:MBC FM4U 로고 2020.png
파일:올댓뮤직.jpg
(수도권 DMB 라디오)
-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svg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파일:KNN 러브FM.png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파일:KNN 파워FM.pn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CJB JOYFM 로고.png · 파일:G1방송 로고.svg · 파일:JIBS 로고.svg
파일:SBS V-Radio.png
(수도권 DMB 라디오)
-
파일:EBS 로고.svg 파일:E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EBS FM 로고.svg
파일:YTN 로고.svg 파일:YTN 라디오.png -
<colbgcolor=#fff,#404040>
교통
파일:TBS FM 로고.svg
(수도권)
-
파일:TBN.png
(본부)
파일:TBN 광주 로고.png · 파일:TBN 부산 로고.png · 파일:TBN 대전 로고.png · 파일:TBN 대구 로고.png · 파일:TBN 강원 로고.png · 파일:TBN 경인 로고.png · 파일:TBN 전북 로고.png · 파일:TBN 울산 로고.png · 파일:TBN 경남 로고.png · 파일:TBN 경북 로고.png · 파일:TBN 제주 로고.png · 파일:TBN 충북 로고.png
파일:국방홍보원 MI.svg 파일:KFN 로고.png
파일:국악방송 로고.svg 파일:국악방송FM 로고.svg 파일:FM국악방송 화이트.svg 파일:서울·경기국악방송 로고.svg 파일:수도권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남원국악방송 로고.svg 파일:남원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남도국악방송 로고.svg 파일:목포, 진도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경주국악방송 로고.svg 파일:경주,포항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전주국악방송 로고.svg 파일:전주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부산국악방송 로고.svg 파일:부산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강릉국악방송 로고.svg 파일:강릉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대구국악방송 로고.svg 파일:대구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광주국악방송 로고.svg 파일:광주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제주국악방송 로고.svg 파일:제주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서귀포국악방송 로고.svg 파일:서귀포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대전국악방송 로고.svg 파일:대전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충주 국악방송.svg 파일:충주 국악방송 화이트.svg · 파일:영동 국악방송.svg 파일:영동 국악방송 화이트.svg
외국어 파일:TBS eFM 로고.svg
(수도권)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 (제주) · 파일:부산영어방송 로고.svg (부산) · 파일:GFN 로고.png (광주)
개신교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표준FM 파일:대구CBS 로고.svg · 파일:파일:부산CBS 로고.svg · 파일:광주 CBS.svg · 파일:전북 CBS 로고.svg · 파일:충북CBS.svg · 파일:강원 CBS.svg · 파일:대전 CBS 로고.svg · 파일:포항CBS 로고.svg · 파일:전남 CBS 로고.png · 파일:경남CBS 로고.svg · 파일:제주CBS 로고.png · 파일:파일:강원영동 CBS 로고.svg · 파일:울산CBS 로고.svg
음악FM 파일:파일:부산CBS 로고.svg · 파일:대구CBS 로고.svg · 파일:광주 CBS.svg
파일:극동방송 로고.svg 파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대전극동방송 로고.svg 파일:대전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창원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창원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목포극동방송 로고.svg 파일:목포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영동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영동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포항극동방송 로고.svg 파일:포항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울산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울산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부산극동방송 로고.svg 파일:부산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대구극동방송 로고.svg 파일:대구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광주극동방송 로고.svg 파일:광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전남동부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전남동부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전북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전북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천주교 파일:cpbc FM 로고.svg 파일:광주cpbc.png · 파일:대구cpbc.png · 파일:부산cpbc.png · 파일:대전cpbc.png
불교 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파일:부산BBS.png · 파일:광주BBS.png · 파일:대구BBS.png · 파일:청주BBS.png · 파일:춘천BBS.png · 파일:울산BBS.png · 파일:제주BBS.png
원불교 파일:원음방송 BI.svg 파일:전북원음방송 로고.png · 파일:부산원음방송 로고.png · 파일:광주원음방송 로고.png · 파일:대구원음방송 로고.png
주한미군 파일:AFN The Eagle.jpg
용산( Camp Morse) · 동두천( Camp Casey) · 의정부( Camp Red Cloud) · 평택( Osan Air Base)
파일:AFN Thunder AM.png
용산( Camp Morse) · 평택 ( Camp Humphreys)
부산( Pier 8) · 창원( Chinhae Naval Base) · 대구( Camp Walker) · 칠곡( Camp Carroll) · 포항( Camp Mujuk) · 광주( Kwangju Air Base) · 군산( Kunsan Air Base)
독립 파일:OBS 라디오 로고.png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
공동체 파일:관악FM.png
파일:마포FM.png
파일:성남FM.png
서대문공동체라디오
단원FM
SoneFM
파일:금강FM.gif · 파일:SCN 성서공동체FM.png · 파일:영주FM.png · 파일:광주FM.png · 옥천FM · 파일:세종FM CI.png · 성주FM · GBS고려방송 · 파일:남해FM.png · 한밭FM · 태백FM · 영월FM · 상주FM · 파일:연제FM 로고.png · 전주FM
인터넷 EBS 반디 외국어 전문 · CBS JOY4U · CTS라디오 · 파일:BTN라디오울림로고.jpg
관련 틀과 문서
틀:대한민국의 대북방송 공동체 라디오 라디오 주파수/대한민국
방송 프로그램 문서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40><tablebordercolor=#fff,#ef3268>파일:KBS 3Radio 로고.svg 파일:KBS 3Radio 로고 화이트.svg KBS 3Radio
KBS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
KBS 제3중파방송
(KBS 제3표준FM방송)
}}}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전문채널
<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개국
2000년 1월 1일 ([age(2000-01-01)]주년)
(KBS 제3라디오)
2010년 4월 20일 ([age(2010-04-20)]주년)
(KBS 제3라디오 표준FM)
호출
부호
HLKC (전국)[1]
HLKC-SFM (수도권)[2]
구분 지상파 라디오
유형 공영방송
장르 사회적 약자 전문 채널
분야 뉴스, 드라마, 인사이트, 음악
청취 타겟 장애인, 다문화가정, 노인 등
사회취약계층
주파수
1134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수도권)]|675㎑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전주)]|936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창원)]|576 ㎑ '''
전남 동부(순천)
'''
104.9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수도권)]
무궁화 6호 12523V '''
동북아향
'''|3 '''
가상
'''
방송시간 오전 6시 ~ 다음날 오전 3시(21시간)
방송망 한국방송공사
방송
품질
지상파
'''
1채널 모노럴 사운드
'''
인터넷/
위성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2ch MPEG-4 AAC)](192kbps, 48kHz)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 Audio Layer-2)]
언어 한국어
가청취
권역
주간
수도권, 전북, 남해안권 일원
경북, 전남서부, 충청, 강원 일부
야간
대한민국 전역
서울, 인천, 경기도 일부
인터넷/
위성
세계 전역[3]
운영주체 한국방송공사 제작1본부 라디오센터
방송책임
편성
김병진 (라디오센터장)
소유 한국방송공사
사이트 파일:KBS 파비콘.svg

1. 개요2. 역사3. 특징
3.1. 광고가 없는 방송
4. 주파수
4.1. AM
4.1.1. 폐지 주파수
4.2. FM
5. 프로그램
5.1. 아침(오전 6시 ~ 오전 9시)
5.1.1. 대한민국 인기가요(06:00-07:00)5.1.2. KBS 오디오북-최고의 클립(평일 07:00-07:20)5.1.3. 라디오 극장(평일 07:20-07:40)5.1.4.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주말 07:20-07:40)5.1.5. 와이파이 한국인(07:40-07:54)5.1.6. 5분 여행기, 구석구석 코리아(07:54-07:59)5.1.7. 3R 채널스파트(07:59-08:00)5.1.8. 아름다운 우리가곡(08:00-08:05)5.1.9. 건강 365(평일 08:05-08:55, 주말 08:05-09:00)5.1.10. 바른말 고운말(평일 08:55-08:57)5.1.11. 장애인식개선캠페인(평일 08:57-08:58)5.1.12. 3R 채널스파트2(평일 08:58-09:00)
5.2. 낮(오전 9시 ~ 오후 5시)
5.2.1. 함께하는 세상 만들기(09:00-10:00)5.2.2. 우리는 한가족(평일 10:00-11:00)5.2.3. 세상보기(주말 10:00-11:00)5.2.4. 소설극장(11:40-12:00)5.2.5. 3R 12시뉴스(12:00-12:05)5.2.6. 노래선물(평일 12:05, 주말 12:00-13:00)5.2.7. 내일은 푸른하늘(13:00-14:00)5.2.8. 3R 14시뉴스(14:00-14:05)5.2.9. 출발! 멋진 인생(평일 14:05, 주말 14:00-15:00)5.2.10. 공감 코리아, 우리는 한국인(월~토요일 15:00-16:00)5.2.11. 명사들의 책읽기(일요일 15:00-16:00)
5.3. 저녁(오후 5시 ~ 오후 9시)5.4. 밤(오후 9시 ~ 밤 12시)
5.4.1. KBS 뉴스 9(평일 21:00-21:30, 주말 21:00-21:20)5.4.2. 임수민의 지금 이 사람(평일 21:30-21:58)5.4.3. 스포츠 스포츠(주말 21:20-21:58)5.4.4. KBS 58분 날씨(21:58-22:00)
5.5. 심야(밤 12시 ~ 새벽 3시)5.6. 종영 프로그램

[clearfix]

1. 개요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사회적 약자(주로 장애인, 노인, 다문화 가정) 전문 라디오 방송. 호출부호는 HLKC(AM) / HLKC-SFM(FM), 주파수는 수도권 1134 ㎑[4], 104.9 ㎒[5], 출력은 각각 500 ㎾와 2 ㎾이다. 위성 주파수는 수직파 12523[6]이다.

1970년대 KBS에서 방송한 대북방송인 제3방송, 1980년 12월 1일부터 1981년 9월 7일까지 송출한 동양라디오의 후신인 제3방송과는 이름만 똑같다.

2. 역사

3. 특징

장애인 관련 프로그램을 많이 편성한다. 장애인 소식을 종합하여 다루는 프로그램은 내일은 푸른하늘[15], 함께하는 세상 만들기가 있다.[16]

EBS FM처럼 지역방송 자체 편성이 없다.

소설극장, 지금은 종영한 연속낭독 KBS 제1라디오 SCA 방송(특수 방송)에서 송출을 시작한 프로그램이다.

2024년 5월 20일, 수시개편을 하였다. 경제로 통일로, 통일사용설명서 3라디오 본방송(재방송)을 중단함과 동시에 오늘의 신문을 종영하고 우리는 한가족, KBS 오디오북-최고의 클립, 라디오 극장, 세상보기,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를 편성하였다. 여기까지만 보면 흔한 개편같아 보이지만 이번 개편으로 본방송 시간이 줄어들고 재방송 시간이 늘어났다.

3.1. 광고가 없는 방송

광고(상업광고)를 송출하지 않는다.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송인 만큼 수신료와 발전기금 등 공적 자금으로 방송하여 공익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익광고, 자체 프로그램 광고, 재난재해 예방캠페인, 3라디오 채널 홍보 광고는 송출한다. KBS 제1라디오, KBS 1FM, KBS 한민족방송, KBS 월드 라디오도 광고가 없다.

4. 주파수

4.1. AM

※ 호출부호 괄호는 예전에 쓰였다가 2002년 고시 개정으로 더 이상 쓰지 않음을 뜻한다.
지역(총)국 호출부호 주파수
(㎑)
출력
(㎾)
송신소 송신소 주소 가청권역
본사 HLKC[A] 1134[18] 500 화 성[19]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두곡리 113 수도권 일원, 충청 대부분 지역,
강원 영서, 북한(개성, 황해남북도)[20]
순천 (HLKZ)[21] 576 10[22] 순 천[중][24]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대안리 974-2 전남 남해안, 경남 서남해안
전주 (HLAS) 675 10 대 야[중][26]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380-4 전북 서부, 전남 서해안,
충남(보령∙서천∙부여)
창원 (HLKD) 936 10 가 포[중][28]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동 산96 경남 동남해안, 부산

4.1.1. 폐지 주파수

지역(총)국 호출부호 주파수
(㎑)
출력
(㎾)
송신소 당시 송신소 소재지 당시 가청권역
본사 HLKC[A] 639[30] 50 개 봉[31][32]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2동 195-2 수도권 일원, 충청 대부분 지역
북한(개성, 황해남북도)
강릉[33] (HLCS) 1008 D50 양 양[중][35]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 17-1 강원 영동, 북한(강원도, 함경남도)
광주 (HLAA) 1224 20 비 아[36]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1148 광주, 전남 중서부, 전북 남부

4.2. FM

지역(총)국 호출부호 주파수
(㎒)
출력
(㎾)
송신소 송신소 주소 가청권역
본사[37] HLKC-SFM 104.9 2[38] 관악산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5 서울 일원, 인천[39]∙경기[40] 일부[41]

5. 프로그램

다시듣기 언급이 없으면 2019년 9월 1일부터 다시듣기를 제공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다.

5.1. 아침(오전 6시 ~ 오전 9시)

5.1.1. 대한민국 인기가요(06:00-07:00)

한민족방송 프로그램 수중계. 자정부터 재방송한다.

2021년 8월 2일부터 다시듣기를 제공하지 않는다.

5.1.2. KBS 오디오북-최고의 클립(평일 07:00-07:20)

11시 정각, 20시 정각부터 재방송하고 15시 40분부터 한민족방송, 다음날 4시에 1라디오로도 방송한다.

홈페이지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한다.

5.1.3. 라디오 극장(평일 07:20-07:40)

한민족방송 프로그램. 평일 11시 20분부터 재방송한다.

홈페이지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한다.

5.1.4.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주말 07:20-07:40)

한민족방송 프로그램. 주말 11시 20분부터 재방송한다.

홈페이지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한다.

5.1.5. 와이파이 한국인(07:40-07:54)

1라디오에서 방송했던 와이파이 드라마 시리즈.

2021년 2월 1일부터 2022년 7월 29일까지는 와이파이 삼국지를, 2022년 7월 30일부터 2023년 7월 8일까지는 와이파이 초한지"를 방송하다 2023년 7월 10일부터 와이파이 한국인을 방송한다.

홈페이지에서 다시듣기를 제공하지 않고 스포티파이 팟캐스트를 통해 다시듣기를 제공한다.

5.1.6. 5분 여행기, 구석구석 코리아(07:54-07:59)

한민족방송 프로그램.

2021년 8월 2일부터 다시듣기를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당일 방송 대본을 게시하고 있다.

5.1.7. 3R 채널스파트(07:59-08:00)

채널 ID 스폿. 공감 코리아, 우리는 한국인 홍보 스폿이었던 적도 있었다.

5.1.8. 아름다운 우리가곡(08:00-08:05)

김태규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5분 가곡 프로그램이다. 16시부터 재방송한다.

홈페이지가 따로 없는 프로그램이다.

5.1.9. 건강 365(평일 08:05-08:55, 주말 08:05-09:00)

건강 관련 프로그램. 1라디오에서 새벽 5시 전후로 방송하는 프로그램이다. 오후 4시(주말은 정각, 평일은 5분)부터 재방송한다.

홈페이지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한다.

5.1.10. 바른말 고운말(평일 08:55-08:57)

한국어 교정 프로그램. 문서 참조. 홈페이지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한다.

5.1.11. 장애인식개선캠페인(평일 08:57-08:58)

1라디오에서도 송출한다.

5.1.12. 3R 채널스파트2(평일 08:58-09:00)

채널 홍보 스팟. BGM[42]에 맞춰 내레이터가 3라디오 및 3라디오 주요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있다.

5.2. 낮(오전 9시 ~ 오후 5시)

5.2.1. 함께하는 세상 만들기(09:00-10:00)

김기만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프로그램. 22시부터 재방송한다.

홈페이지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한다.

5.2.2. 우리는 한가족(평일 10:00-11:00)

장수연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평일 시각장애인 전문 프로그램. 18시와 23시부터 재방송한다.

2024년 5월 오늘의 신문 폐지 이전에는 18시가 본방송이었다.

5.2.3. 세상보기(주말 10:00-11:00)

시각장애인 방송인 심준구가 진행하는 주말 시각장애인 전문 프로그램. 18시와 23시부터 재방송한다.

본방송은 18시부터 시작했으나, 2024년 5월 이후 본방송이 10시로 앞당겨졌다.

5.2.4. 소설극장(11:40-12:00)

소설 낭독 드라마 프로그램. 20시 20분에 재방송하고 다음날 4시 20분에 1라디오로도 방송한다.

홈페이지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한다. 단 저작권 문제로 1개월만 제공한다.

5.2.5. 3R 12시뉴스(12:00-12:05)

연도 날짜 시간
2003년 6월 2일 12:00~12:10
2018년 10월 1일 12:00~12:05

낮 뉴스 프로그램. 평일 12시에 5분 동안 방송한다.

2003년 6월 2일 10분 분량으로 신설, 2018년 10월 1일부터 5분 동안 방송한다.

5.2.6. 노래선물(평일 12:05, 주말 12:00-13:00)

가수 강원래가 진행하는 음악 프로그램.

5.2.7. 내일은 푸른하늘(13:00-14:00)

장웅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프로그램. 1라디오에서 방송을 시작해, 2000년 1월 1일 3라디오 개국과 함께 3라디오로 채널을 옮겼다. 19시부터 재방송한다.

2019년 4월 15일부터 방송 내용을 게시하지 않으며 2024년 4월 1일부터 다시듣기를 제공하지 않는다.

5.2.8. 3R 14시뉴스(14:00-14:05)

오후 뉴스 프로그램. 평일 14시에 5분 동안 방송한다.

5.2.9. 출발! 멋진 인생(평일 14:05, 주말 14:00-15:00)

이지연이 진행하는 중장년(시니어) 대상 프로그램.

2024년 4월 1일부터 다시듣기를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방송 내용을 게시하고 있다.

5.2.10. 공감 코리아, 우리는 한국인(월~토요일 15:00-16:00)

김태규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다문화가정 대상 프로그램. 새벽 2시부터 재방송한다.

1라디오 관악산 송신소 계획정파일에는 해당 채널에서만 새벽 1시에 재방송한다.

2019년 9월 이후 다시듣기를 제공하지 않고, 이후 방송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하지 않게 되었다.

5.2.11. 명사들의 책읽기(일요일 15:00-16:00)

독서 프로그램. 다음날 2시에 재방송한다. 윤지영 아나운서가 진행한다.

2019년 10월 13일 방영분까지만 다시듣기를 제공한다.

5.3. 저녁(오후 5시 ~ 오후 9시)

5.3.1. 문화 공감(17:00-17:55)

1라디오에서 방송하다 2018년 5월 28일부터 한민족방송으로 주 채널을 옮긴 프로그램. 3라디오에서는 매일 오후 5시부터 방송한다.

5.3.2. 영화관, 도서관(17:55-17:58)

이은선 기자와 정여울 작가가 진행하는 영화와 책을 소재로 하는 프로그램. '강유원의 책과 세계' 후속으로 2019년 1라디오에 신규 편성하였으며, 3라디오 편성은 2019년 3월 4일부터 시작했다.
첫 방송 때부터 배우연구소 백은하 소장이 문학 서적을 소개하는 정여울 작가의 카운터 파트너로서 영화를 소개했으며, 2022년 1월부터 이다혜 씨네21 기자가 카운터 파트너 자리를 인계받아 진행하고 뒤이어 2023년 5월부터 2024년 3월까지 평론가 강유정이 진행하다가 이은선 기자가 2024년 4월부터 카운터 파트너 자리를 인계받아 진행한다.

홈페이지에서 다시 듣기를 제공한다.

5.4. 밤(오후 9시 ~ 밤 12시)

21시부터 22시까지[43] 1라디오를 수중계한다.

5.4.1. KBS 뉴스 9(평일 21:00-21:30, 주말 21:00-21:20)

KBS 1TV 프로그램.

5.4.2. 임수민의 지금 이 사람(평일 21:30-21:58)

5.4.3. 스포츠 스포츠(주말 21:20-21:58)

5.4.4. KBS 58분 날씨(21:58-22:0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제1라디오/프로그램 문서
2.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심야(밤 12시 ~ 새벽 3시)

5.5.1. 세월따라 노래따라(01:00-02:00)

한민족방송에서 방영 중인 최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3라디오와 1라디오에서도 방송한다.

2021년 8월 2일부터 다시듣기를 제공하지 않는다. 선곡표는 게재되고 있다.

5.5.2. 정파 방송(03:00-05:54)

KBS 제3라디오는 매일 3시부터 5시 54분까지는 방송을 하지 않는다. 이 시간에 주파수를 맞춰보면 아무 소리도 나지 않다가 정시에 맞춘 시보음만 송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44]
지금까지 여러분께서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방송해드리는 KBS 한국방송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을 들으셨습니다.
KBS 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은 수도권 FM 104.9 ㎒, AM 1134 ㎑, 전주 675 ㎑, 창원 936 ㎑, 순천 576 ㎑로
매일 오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3시까지 하루 21시간 방송해드리고 있습니다.
KBS 한국방송은 2024년 방송지표를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로 정했습니다.[45]
KBS는 공정과 혁신으로 국민 곁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가겠습니다.
KBS 한국방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규정을 준수합니다.
라디오 방송 편성책임자는 라디오센터장 김○○[24A] 입니다.
다음 방송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애국가(전체)[47]
방송종료멘트.[2024] 이후 방송을 마친다.[49]

5.5.3. 개시방송/여기는 제3라디오(05:54-06:00)

KBS 제3라디오 라디오 방송 고지(告知).
(정파)
KBS 사가(1절)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기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방송해드리는 KBS 한국방송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입니다.
KBS 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은 수도권 FM 104.9 ㎒, AM 1134 ㎑, 전주 675 ㎑, 창원 936 ㎑, 순천 576 ㎑로
매일 오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3시까지 하루 21시간 방송해드리고 있습니다.
KBS 한국방송은 2024년 방송지표를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로 정했습니다.[50]
KBS는 공정과 혁신으로 국민 곁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가겠습니다.
KBS 한국방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규정을 준수합니다.
라디오 방송 편성책임자는 라디오센터장 김○○[24A] 입니다.
애국가(전체)
좋은방송 밝은내일 KBS가 6시를 알려드립니다. KBS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입니다. HLKC
방송시작멘트[2024]

5.6. 종영 프로그램

타 채널 프로그램의 재방송 종료는 별도 문단에 기재하지 않았다.

5.6.1. 연속낭독

5.6.2. 라디오 여행기

5.6.3. 사랑의 책방

5.6.4. KBS 3R 10시 뉴스

아침 뉴스 프로그램. 평일 10시에 5분 동안 방송했다.

2024년 5월 20일 수시개편으로 종영하였다. 마지막 방송은 5월 17일.

5.6.5. 오늘의신문

신문 낭독 프로그램.

2024년 5월 20일 수시개편으로 종영하였다. 마지막 방송은 5월 17일.


[1] 과거 동양라디오 호출부호였으며, 원래는 각 중계소별로 별도의 호출부호를 부여받아 이어오고 있었으나, 2002년 고시 개정과 함께 호출부호를 본사 HLKC로 통일했다. [2] 현재는 수도권으로 한정하여 있으나 중파 호출부호 선례로 보아 이 부호를 전국 호출부호로 지정할 가능성이 높다. [3] 위성방송은 한반도 근처에서 멀어질수록 더 큰 위성안테나를 필요로 한다. 인터넷은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으면 청취가 곤란하다. [4] 중파방송 기준 [5] 초단파(VHF-Mid, 표준FM) 방송 기준 [6] KBS 제1라디오, KBS 제2라디오, KBS 1FM은 물론 KBS 1TV, KBS 2TV와도 공용한다. [7] 2000년 8월부터 제2라디오 송신 시설과 주파수 1008 ㎑을 3라디오용으로 사용했고, 강릉시, 속초시, 양양군이 목표 가청권이었다. AM 중계소는 양양군 손양면에 있었다. [8] KBS대구방송총국만은 3라디오로 전환하지 않고 2024년 현재까지 해피FM을 AM과 표준FM으로 병행 송출하고 있으며, 이는 비수도권 중에서는 유일하다. 대구와 달리 강릉, 광주, 순천, 군산, 창원은 AM을 전부 3라디오로 전환하면서 해피FM을 표준FM으로만 송출한다. 이 중 강릉, 순천, 군산은 지역국 기능 조정을 거치면서 각 권역별 총국(강원권-춘천/전남권-광주/전북권-전주) 중계소로 격하했고, 이후 강릉과 광주 채널은 표준FM 전환조차 수행하지 않은 채 폐지했다. [9] 당시 충주시에서도 수신한 기록이 있는 것을 볼 때, 출력은 적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시험방송 종료 이후 해당 주파수는 KBS 2FM(쿨FM) 성남 중계소 주파수로 사용되고 있다. [10] 4월 이전까지는 639 ㎑와 1134 ㎑ 병행 송출이 이루어졌었다. 2010년 2월 경기도 광명시에서 두 주파수 병행 송출을 확인했다. 아마 거치 기간을 두면서 1134 ㎑로 청취자들을 유도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전에는 KBS 한민족 제1방송과 KBS 제1라디오 김포 송신소가 사용했다. [11] (여느 전파 송신시설이 안 그러겠냐마는) 중파 송신소는 님비시설이다. 1라디오를 송출하는 시흥시 신현역 인근 소래송신소도 지역사회에서 이전을 계속 요구하고 있다. [12] 시험방송 때 사용했던 97.7 MHz는 대북방송인 자유FM 화악산 송신소가 사용하고 있어서 현재의 주파수로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13] 시험방송 주파수인 97.7 ㎒는 KBS 쿨FM 성남 중계소에 할당되었다. [14] 한쪽 귀만 들리는 청각장애인도 있다. [15] 2000년 1월 1일 개국과 동시에 1라디오에서 넘어온 프로그램이다. [16] 이 외 다른 프로그램은 시각장애인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A] 동양방송 라디오→ KBS 제3방송이 썼던 호출부호였다. [18] 수도권 AM 주파수 경우 일본 도쿄 분카 방송과 주파수가 동일하여 국내에서는 정파 시간(오전 3~5시) 외에 분카 방송을 깨끗이 청취하기 어렵다.(일요일에는 분카 방송도 정파를 하므로 청취는 포기하는 게 좋을 정도.) 심지어는 KBS 3라디오 출력이 분카 방송(100㎾)보다 5배나 강한 탓에 서일본 일대를 비롯한 일본 국내에서도 혼신이 일어나는 지역이 많을 정도이다. 다만 2020년 9월 15일부터 12월 16일까지는 송신 설비 교체 작업(정확히는 송신기와 안테나 간 feed 케이블 교체 공사)으로 휴지한 적이 있었으며, 당시에는 KBS 3라디오 방송 시간에도 분카 방송 선명한 청취가 가능했다. 그리고 생각보다 한국에서 분카 방송 수신 감도도 꽤 강한 편이라 아마추어 무선용 라디오나 DX를 할 수 있을 정도 좋은 라디오, 그리고 중파 루프 안테나가 있으면 방향에 따라 분카 방송을 깨끗하게 수신하는 경우도 있다.(주로 한반도 남부 지역)

과거에는 KBS 제1라디오(김포송신소)와 KBS 한민족 제1방송(3R와 동일)이 사용했던 주파수였다.
[19] 안테나는 높이 120 m 사각 지선식 철탑으로 구성하였다. [20] 야간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청취 가능. [21] 우연 일치인지 이 호출부호는 대한민국 최초 텔레비전 방송국인 HLKZ-TV(1956년 개국, 1961년 폐국)와 같다. 차이점이라면 HLKZ-TV는 TV방송임을 말하는 -TV가 붙어있는 것 뿐. 현재는 채널 이관과 함께 사실상 중계소로 격하하면서 본사 호출부호를 그대로 사용, 송신한다. [22] Asiawaves MWLIST에서는 1kW로 내려서 송출하는 것으로 나와있다. [중] 중계소 [24] 안테나는 높이 120 m 사각 지선식 철탑으로 구성하였다. [중] [26] 안테나는 높이 132 m 사각 지선식 철탑으로 구성하였다. [중] [28] 안테나는 높이 102 m 사각 지선식 철탑으로 구성하였다. [A] [30] 과거에는 TBC 동양라디오와 그 후신인 KBS 제3방송이 사용했던 주파수였다. 구 제3방송 폐지 이후로는 제2방송(현 제2라디오) 송출에 사용하였는데 역사는 별개지만 어쨌든 우연히 제3라디오로 돌아온 셈. [31] 안테나는 사각 자립식 철탑 구조였으며 높이는 120 m였다. 예비 안테나도 존재했으며 마찬가지로 사각 자립식 철탑에 높이는 80 m였다. 주 안테나는 2011년 12월에, 예비 안테나는 2012년 말에 철거한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부지에는 개봉유수지생태공원과 구로평생학습관 1관이 들어서 있다. 2001년 이전까지는 주/예비 안테나 모두 지선식 철탑이었다. 2006년 중파 디지털 라디오( DRM) 시험 송출이 이루어진 적이 있다. # [32] 송신소 바로 옆에 SBS 러브FM이 1993년 7월 이전까지 사용했던 송신탑이 존재했다. 이후 어떤 용도로 활용되었는지는 불명이며 2011년 12월에 개봉송신소 주 안테나와 같이 철거한 것으로 추정한다. [33] 원래 속초방송국 2라디오 주파수와 호출부호였으나 2라디오 표준FM을 개국하면서 3라디오로 전환하였고, 이후 KBS강릉방송국에 흡수하였다. 양양중계소 폐지 후, HLCS 호출부호 대역은 대구원음방송에 넘어갔다. [중] [35] 송신소가 아닌 중계소였으며 중계소 정문 명판에도 양양중계소로 표기했다. 2017년 말에 철거한 것으로 추정한다. 높이 90 m 지선식 철탑 2기로 구성한 지향성 안테나였다. 예비 안테나도 존재했으며 높이 36 m 삼각 지선식 철탑 거치식 역L형 안테나였다. 2002년 태풍 루사 여파로 중계소에 침수 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다. 자동 다운로드(PDF) [36] 2017년 말에 철거한 것으로 추정하며 현재 부지에는 수완 대라수 어썸테라스 타운하우스 단지가 들어서 있다. 안테나는 높이 120 m 사각 지선식 철탑으로 구성하였다. [37] 오직 수도권에서만 송출한다. [38] cpbc FM, EBS FM과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출력을 10 ㎾도, 5 ㎾도 아닌 2 ㎾로 허가했다. [39] 강화, 옹진 제외 [40] 수원, 성남, 의정부, 안양, 부천, 광명, 안산, 시흥, 군포, 의왕, 과천, 용인, 고양, 파주, 김포, 구리, 하남, 남양주, 광주 [41] EBS FM 백운산 송신소와 주파수가 동일하여 여주, 이천, 양평, 안성 동부(일죽면, 죽산면) 지역에서는 청취가 곤란하다. [42] 2022년 기준 유희열 소품집 1번 트랙 '공원에서' [43] 1TV에서 추념식 등 특집 편성이 있을 시에는 수중계 시간이 앞당겨질 수 있다. [44] 방송 시작 10분 전에는 시험방송 차원에서 테스트 톤을 송출하고 있다. 중간 시보음은 평소에 쓰는 4초 시보음을 사용하고 있다. [45] 예외로 2021년에는 그동안 즐겨 썼던 어구인 '~로 정했습니다.'가 안나왔고 방송지표임에도 '방송지표를' 이라는 언급을 따로 하지 않았다. [24A] 2024년 상반기 기준 김병진(PD). [47] 2라디오와 달리 끝까지 나가지 않고 4절 후렴구 말미에 페이드 아웃. [2024] 2024년, 남현종 아나운서가 녹음 [49] AM 1134kHz, FM 104.9㎒ 기준으로 방송 종료 이후 새벽 03:05~05:35까지 연주소 송신을 끊으며 방송 시작 10분 전까지 새벽 4시, 아침 5시 시보 빼곤 아무 소리도 안나온다. [50] 예외적으로 2021년에는 그동안 즐겨썼던 어구인 '~로 정했습니다.'가 안 나왔고 방송지표임에도 '방송지표를' 이라는 언급을 따로 하지 않았다. [24A] 2024년 상반기 기준 김병진(PD).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