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2:42:59

제노바 모란디 교량 붕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노바 모란디 교량 붕괴 사고
Crollo del Viadotto Polcevera
Ponte Morandi collapse
발생일 2018년 8월 14일
유형 교량 붕괴
발생 위치 이탈리아 리구리아 주 제노바 아우토스트라다 10호선(A10/E25·E80) 모란디 다리
사망자 43명
실종자 5명(추정)
부상자 16명(9명 중상)
1. 개요2. 모란디 교3. 사고 경위4. 희생자5. 사고 여파6. 사고 원인
6.1. 건축가에 의한 부실공사와 부실관리6.2. 마피아에 의한 부실공사
7. 사고 이후8. 유사 사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 <nopad>
당시 사고현장 근처의 CCTV 영상
<nopad>
히스토리 채널 다큐멘터리
<nopad> 파일:Genova_Morandi_Bridge_Collapse_CCTV.gif
사고현장과 가장 가까운 CCTV, 교량이 무너지는 모습과 떨어지는 승용차, 트럭들이 선명하게 보인다.[1]

2018년 8월 14일(현지시각) 이탈리아 제노바에 위치한 제노바 아우토스트라다 A10(E80)의 모란디교(Ponte Morandi)의 200m 구간이 붕괴된 사고. 이 사고로 인해 35대가 넘는 차량이 아래로 추락하여 40명 이상이 사망했으며 그야말로 이탈리아판 성수대교 붕괴 사고라고 봐도 무방하다. #

2. 모란디 교

파일:모란디 교량.jpg

1958년 이탈리아 경제는 부흥하기 시작했으나 도로는 아직 평탄하지 않아 곳곳에 이동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 제노바 지역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에 꽤 큰 다리가 필요했다. 모란디교는 1962년에 이탈리아의 전설로 불리는 건축가 리카르도 모란디(Riccardo Morandi)가 다리를 디자인한 이탈리아의 첫 사장교이며 1963년부터 1967년까지 건설해 1.1km 길이로 완공했다. 밑에 아파트와 공장, 재활용 센터 등 건물들이 많았기 때문에 다리를 높이 지을 필요가 있어서 땅에서 45m 떨어진 높이에 지었다. 잘 보면 맨 끝 케이블만 색이 좀 다른데 이는 후술할 보수공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3. 사고 경위

2018년 8월 14일 오전 11시 36분 이탈리아의 A10 고속도로 상에 있는 모란디 다리가 무너졌다. 한쪽 케이블이 무너지면서 기둥이 다리를 지탱하지 못하게 됐고 결국 다리가 무너져내렸다. 모란디 다리에서 무너진 부분의 길이는 200m 정도였는데 이 위에 있던 차량 35대가 한꺼번에 추락하였다. 사고 당일은 휴일인 성모 승천 대축일을 하루 앞두고 휴가, 여행을 떠난 가족 여행객들이 많았고 비가 와서 차를 타고 이동한 사람들이 많아 고속도로도 평소보다 차들이 몰렸다. 붕괴된 구간이 길거나 크고 무거운 잔해더미가 많아 구조 및 수습이 어려워 사망자 수를 정확히 집계하기 힘들었다. 소방관들은 구조견까지 동원해 며칠에 걸쳐 부상자들을 구조하고 시신을 수습했다. 희생자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해 실종 신고를 한 가족들의 유전자와 시신에서 나온 DNA를 대조하면서 비교해 신원을 파악했다.

정확한 사상자 수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대규모 구조대와 소방차가 출동해 사고 현장에서 구조작업을 진행했다. 현장 사진과 영상 속에서는 무너진 콘크리트 잔햇더미 아래 깔려 찌그러진 차들도 보인다. 이탈리아 ANSA 통신은 사건 당일 오후 2시 현재 사망자 11명이 확인됐고 5명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출처 기적처럼 생존한 사람들의 소식이 하나둘씩 알려졌다. # 추락하다 20m 높이 잔해에 낀 차량…기적의 생존 현장

현지시간 18일 오전 잔햇더미에 파묻힌 승용차[2]안에서 일가족 3명의 시신을 수습하면서 참사의 사망자총 41명으로 늘었다. 제노바 교량참사 현장서 일가족 시신 수습…"사망자 41명으로" 밑의 건물에 있었던 사람들 중에도 희생자가 나왔다.

이 사고로 43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은 목숨을 앗아간 다리 붕괴 사고로 남았다.

4. 희생자

생존자는 나탈리야 옐리나(44세 여성, Nataliya Yelina)와 그녀의 약혼자 에우제니우 바빈(44세 남성, Eugeniu Babin), 다비데 카펠로(34세 남성, Davide Capello)[3], 리타 잔크리스토파로(41세 여성, Rita Giancristofaro)와 그녀의 남자친구 페데리코 체르네(34세 남성, Federico Cerne), 잔루카 아르디니(29세 남성, Gianluca Ardini), 마리나 괄리아타(Marina Guagliata)와 그녀의 딸 카밀라(Camilla)[4] 등 16명이다.

뉴스를 통해 희생자들의 신원이 공개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사망자는 남성 32명, 여성 11명이다.

* 로베르토 로비아노(44세 남성, Roberto Robbiano), 에르실리아 피치니노(41세 여성, Ersilia Piccinino ), 사무엘 로비아노(9세 남성, Samuel Robbiano) - 일가족. 사르데냐로 휴양을 가던 길이었다. 아들 사무엘 로비아노는 가장 먼저 발견된 사망자였다.

* 알레산드로 로보티(50세 남성, Alessandro Robotti), 조반나 보타로(43세 여성, Giovanna Bottaro) - 남편 로보티는 약국의 관리자였으며 천문학 애호가 그룹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아내 보타로는 마지막에 발견된 희생자 중 한명이었다.

5. 사고 여파

A10 구간의 핵심 부분인 모란디 다리가 붕괴되어 제노바 시내도로에 심각한 교통정체가 일어났다. 도시 서쪽 프랑스 니스에서 남동쪽 리보르노 방면이나 북쪽 밀라노[5]를 오가는 분기점 직전에 위치한 교량이 붕괴하는 바람에 해당 경로로 이동하려면 제노바 시내도로를 필수로 경유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리보르노에서 도시 북쪽 밀라노 방면을 오가는 경로에는 지장이 없어 최악의 상황은 면하였다.

그런데 붕괴한 지점이 철도 노선을 횡단하는 지점이기도 했던지라 떨어진 잔해로 인해 밀라노, 로마, 리보르노를 오가는 철도교통 운행마저 중단되었고 다리 인근에 아파트가 밀집해 있어서 주민 600여명이 대피해 한동안 이재민으로 지내야 했다.

6. 사고 원인

6.1. 건축가에 의한 부실공사와 부실관리

특이사항으로 이러한 다리는 보통 기둥에 케이블이 여러개 달려서 케이블 여러개가 다리를 잡아주는 구조다 일례로 금문교에 쓰인 케이블 길이는 지구를 3바퀴 돌고도 남는 양이다. 하지만 모란디는 기둥 하나당 4개씩, 굵은 줄 안에 케이블 여러개만 달아 놓는 식으로 디자인했는데 이러면 깔끔해 보일진 몰라도, 케이블 하나만 끊어져도 다른 케이블이 버티지 못해 무너진다는 단점이 있다.[6] 리카르도 모란디가 베네수엘라에 만들었던 제너럴 라파엘 우다네타 브릿지도 다리 하나당 4개의 대형 케이블만 달았다가 1964년 4월에 다리가 무너지면서 7명이 사망한 사례가 있었다. # 그럼에도 리카르도 모란디는 자신의 다리 디자인에 결함이 없다고 생각해 디자인을 밀어붙였으며 당시로선 신기술이었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를 사용해 다리를 지탱하는 케이블을 세웠다. 다만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는 아직까지 다리에 쓰인 적은 없는 공법이었다.

모란디교는 사고 시점에는 완공된 지 50년이나 지나 매우 노후화되었으며 근처에 바다가 있어서 소금기가 가득한 공기가 계속해서 불어와 다리가 조금씩 부식됐고 다리 바로 밑의 공장에서 나오는 매연 속 화학물질도 조금씩 다리를 부식시켰는데 이미 1979년부터 금이 조금씩 가기 시작했다. 금이 간 다리에 녹을 제거하고 소금기를 막는 에폭시를 칠한 후 콘크리트를 다시 발랐지만 더 큰 문제는 콘크리트가 아닌 내부 케이블이었다. 케이블은 이미 70%가 녹이 슬어 있었다. 단순히 콘크리트를 덧 바르는 것 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았고 다리를 아예 철거했다가 다시 지어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1989년 리카르도 모란디가 사망한 후 한동안 콘크리트를 덧대는 일이 없었다.

그러다가 1992년에 11번 기둥 콘크리트가 아예 다 떨어져나가 내부 케이블이 보이는 지경에 이르면서 아예 케이블을 덧대고 다시 콘크리트를 덧발라 보수공사를 했다. 이 때문에 다리 사진을 자세히 보면 11번 기둥은 케이블들로 아예 둘러 쌓인 걸 볼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11번 기둥 외에 다른 기둥에도 있었는데 이를 무시하고 다른 다리는 사고 당일인 2018년 8월 14일까지도 단 한번의 보수공사도 없었다.

6.2. 마피아에 의한 부실공사

건설 당시부터 마피아가 개입해 저질 시멘트를 쓰면서 처음부터 예견된 인재였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이를 감시해야 할 공사 감독관도 무용지물이었고 이 교량뿐만 아니라 마피아가 건축에 개입한 수많은 건물들의 부실의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1960년 이후 은드랑게타가 건설 붐에 편승해 건축 공공 사업에 깊숙히 관여하면서 저질 자재로 건축하고 차익을 챙겨 왔기 때문에 비단 이 사건뿐만 아니라 곳곳에서 한심하고도 위험천만한 작태가 만연하였다. # 부실공사로 의심되는 사고가 줄을 잇고 있었다고 한다. 놀라운 건 이탈리아에서 교량 붕괴 사고가 이 사고가 처음도 아니고 12번째, 시칠리아에서만 무려 4번째 붕괴 사고라고 한다.

부실공사로 건축물이 일찍 노후화되기 시작하면 건설사는 이미 한탕 하고 사라진 뒤...가 아니라 필연적으로 나올 보수공사에 건설사가 또다시 입찰하는 식으로 계속해서 돈을 뽑아먹을 속셈이라는 말이 이탈리아 네티즌들로부터 나왔다. 다리가 무너져 버린 것도 본래(?)대로라면 정부가 보수공사를 진행했어야 하는데 이탈리아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 보니 그 보수공사마저 차일피일 미뤄지다 사단이 났다고 한다.

7. 사고 이후

이 사고로 패션 브랜드 회사 베네통은 큰 비난을 받았는데 모란디 다리를 유지, 보수하는 업체의 최대 주주였기 때문이었다. # 그런데 유지보수 문제 이전에 처음부터 마피아, 은드랑게타가 개입하여 부실공사로 지어졌다는 외신보도가 나왔다.

희생자 합동 장례식에 오성운동의 루이지 디마이오 노동산업부 장관과 살비니 장관이 도착했을 때 환호성이 울려퍼진 반면 민주당 인사들이 왔을 때는 욕설과 고성이 나왔다. #

더 샤드로 유명한 건축 디자이너 렌초 피아노 복구안을 내놓았다.

2019년 2월에 모란디 다리의 철거가 시작되었다. 상판을 분해해서 지상으로 내리는 작업으로 시작했으며 2019년 말까지 모두 철거되며 새로운 다리는 2020년에 건설 예정으로 전해졌다. #

2019년 6월 28일 오전 9시 37분(현지시간) 경 교량의 남은 부분을 폭파시켜 철거했다. #

2019년 8월 2일 이탈리아·스위스 합동 조사단이 '교량이 (붕괴 전) 수분과 황화·염화물 같은 성분 탓에 장기간 전반적인 부식 상태에 있었지만 사고 전까지 무려 25년간이나 이를 시정하기 위한 의미 있는 유지 보수 작업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내용으로 보고서를 내놓았다. #

새로운 모란디 다리는 2020년 4월에 마지막 상판이 올려졌으며 도로 포장 및 마무리 공사를 진행해 2020년 8월에 새로운 모습으로 재개통했는데 기존의 사장교와는 달리 거더교 형태로 재건했다. #

다리 관리는 이탈리아 정부가 맡는다. # 2020년 8월 3일부로 재개통하였다. #

8. 유사 사례

9. 둘러보기

역대 이탈리아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24년 9월 5일
21 2024년 9월 람페두사 난민선 침몰 사고
2023년 10월 3일
22 베네치아 버스 추락사고
2023년 7월 12일
46 2023 람페두사 난민선 침몰 사고
2023년 2월 26일
94 칼라브리아 난민선 침몰 사고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19년 10월 6일
250 2019 람페두사 섬 난민선 침몰 사고
2018년 8월 14일
43 제노바 모란디 교량 붕괴 사고
2016년 7월 12일
23 안드리아-코라토 열차 충돌사고
2015년 4월 18일
525 2015 시실리 난민선 침몰사고
2014년 6월 30일
45 2014 시실리 난민선 침몰 사고
2013년 10월 11일
34 2013년 10월 람페두사 섬 난민선 침몰 사고
2013년 10월 3일
359+ 2013년 10월 람페두사 섬 난민선 침몰 사고
2013년 7월 28일
40 몬테포르테 이피노 버스 추락 사고
2012년 1월 13일
33 코스타 콩코르디아 호 좌초사고
2011년 4월 6일
150 2011년 지중해 난민선 침몰 사고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09년 6월 29일
32 비아레조 열차 탈선 사고
2001년 10월 8일
118 밀라노 리나테 공항 지상 충돌 사고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99년 11월 11일
67 포자 아파트 붕괴 사고
1999년 3월 24일
39 몽블랑 터널 화재
1998년 12월 16일
27 비아 디 비그나 빌딩 붕괴 사고
1998년 2월 3일
20 카발레세 케이블카 추락 사고
1997년 3월 28일
83 오트란토 알바니아 난민선 침몰 사고
1996년 12월 16일
283 F174 침몰 사고
1995년 12월 13일
49 바나트 에어 166편 추락 사고
1994년 7월 14일
27 로마 요양원 붕괴 사고
1991년 4월 10일
140 모비 프린스 참사
1990년 11월 14일
46 알리탈리아 404편 추락 사고
1990년 4월 10일
30 제노바 알레산드리아 버스 추락 사고
[ 198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89년 9월 3일
150 113 쿠바나 항공 9046편 추락 사고
1989년 2월 8일
144 137 인디팬던트 에어 1851편 추락 사고
1988년 10월 17일
33 우간다 항공 775편 추락 사고
1987년 10월 15일
37 아에로 트랜스포티 이탈리아니 항공 460편 추락 사고
1985년 7월 19일
268 스타바 댐 붕괴사고
1985년 5월 29일
39 32 헤이젤 참사
1985년 2월 7일
21 1985년 아파트 붕괴 사고
1983년 12월 15일
35 네르비 고속도로 버스 추락 사고
1983년 2월 13일
64 스타튜토 극장 화재
1982년 4월 25일
35 팔라조 델 비그놀라 화재
1980년 8월 2일
85 볼로냐 폭탄 테러
1980년 11월 21일
28 쿠링가 열차 충돌 사고
1980년 6월 27일
81 이타비아 항공 870편 추락 사건
[ 197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79년 9월 14일
31 아에로 트랜스포티 이탈리아니 12편 추락 사고
1978년 12월 23일
108 알리타리아 4128편 추락 사고
1978년 4월 15일
48 무라제 디 바도 열차 탈선 사고
1977년 3월 3일
44 세라산 이탈리아 공군기 추락 사고
1976년 5월 2일
44 카발레세 케이블카 추락사고
1974년 1월 1일
38 이타비아 항공 897편 추락사고
1973년 12월 17일
34 1973년 로마 공항 습격·납치 사건
1972년 10월 30일
27 아에로 트랜스포티 이탈리아니 항공 327편 추락 사고
1972년 5월 5일
115 알리탈리아 항공 112편 추락 사고
1971년 11월 9일
52 영국 공군 허큘리스 추락사고
1971년 8월 28일
25 헬레아나호 화재
1970년 4월 9일
20 발러호 침몰 사고

[ 196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64년 11월 23일
50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이륙 사고
1964년 3월 28일
45 알리탈리아 항공 045편 추락 사고
1963년 10월 9일
1900 + 바이온트댐 붕괴 사고
1962년 5월 31일
61 보게라 열차 충돌 사고
1961년 12월 23일
71 피우마렐라 열차 탈선 사고
[ 195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59년 9월 16일
58 비아 카노사7 빌딩 붕괴사고
1959년 6월 26일
68 트랜스 월드 항공 891편 추락 사고
1958년 10월 22일
31 브리티시 유러피언 에어웨이즈 항공 142편 지상충돌 사고
1956년 12월 22일
21 기너 산 C-47-DL 추락 사고
1956년 11월 24일
34 LAI 항공 451편 추락 사고
1956년 8월 8일
262 136 마르시넬 광산 사고
1956년 7월 25일
51 안드레아 도리아호 침몰사고
1955년 3월 22일
24 모르가노 광산 참사
1955년 2월 13일
29 사베나 항공 503편 추락 사고
1954년 4월 8일
21 남아프리카 항공 201편 공중분해 사고
1954년 1월 10일
35 영국해외항공 781편 공중분해 사고
1952년 2월 17일
31 헌팅 에어 트랜스포트 빅커스 614 추락 사고
[ 194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49년 6월 23일
33 KLM 록히드 L-749 추락 사고
1949년 5월 4일
31 수페르가의 비극
1947년 11월 28일
20 알프스 미 공군 C-47B 추락 사고
1947년 11월 18일
21 산타마리아 딜 몬테 브리스톨 170 추락 사고
1947년 7월 16일
48 알벵가 참사
}}} ||





[1] GIF파일이 아니라 CCTV영상 자체에 끊김이 있다. [2] 모델은 현대 i20. [3] 소방관이자 전직 축구선수로, 타고있던 폭스바겐 티구안 차량과 함께 30m 아래로 추락했으나 부상 하나 입지 않고 살아남았다 #. [4] 주아글리아타 모녀는 다리 아래 위치한 폐기물 관리 건물 안에 있었다. [5] 밀라노 쪽은 A26를 이용하는 대안경로가 있어 큰 문제는 없었다. [6] 실버 브리지가 비슷한 이유로 무너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