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23:35:03

다이슨 급수

해석학
Mathmat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colbgcolor=#07DFD7> 함수 합성 · 항등원 · 역원 · 멱함수( 비례·반비례 ) · 초등함수( 대수함수 · 초월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 · 다변수 ( 동차 · 숨은 함수( 다가 함수 )) · 그래프 · 대칭 · 증감표 · 극값 · 연속 · 매끄러움 · 계단형 · 미끄럼틀형 · 볼록/오목 · 닮은꼴 함수 · 병리적 함수 · 해석적 연속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정리 · 토픽 좌표계 ·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립시츠 규칙
극한 부정형 · 어림( 유효숫자 ) · 근방 · 수열의 극한 · 엡실론-델타 논법 · 수렴 ( 균등수렴 ) · 발산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스털링 근사
정리 · 토픽 로피탈의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수열
급수
규칙과 대응 · 단조 수렴 정리 · 멱급수 · 테일러 급수 ( 일람 )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 · 망원급수 ( 부분분수분해 ) ·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파울하버의 공식 · 리만 재배열 정리
정리 · 토픽 바젤 문제 · 라마누잔합 · 0.999…=1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도함수 일람 · 차분 · 유율법 · 변화량 · 변분법 · 도함수 ( 편도함수 )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역함수 정리 · 임계점 ( 변곡점 · 안장점 ) · 미분형식 · 미분방정식 ( 풀이 ) · [math(boldsymbolnabla)] · 라그랑주 승수법
정리 · 토픽 평균값 정리 ( 롤의 정리 ) · 스토크스 정리 ( 발산 정리 ) · 라플라스 변환 · 푸리에 해석 ( 푸리에 변환 ) · 아다마르 변환
적분 역도함수 일람 · 부분적분 ( 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 치환적분 · 정적분 ( 예제 ) · 이상적분 · 중적분 ( 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 · 르베그 적분 · 스틸체스 적분 · 코시 주요값
정리 · 토픽 미적분의 기본정리 · 2학년의 꿈 · 리시 방법

해석
측도론 ( 측도 · 르베그 측도 ) · 유계( 콤팩트성 ) ·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정리 · 토픽
복소
해석
복소평면 · 편각 · 코시-리만 방정식
정리 · 토픽 오일러 공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여타 하위 학문 수치해석학 ( FEM ) · 미분기하학 · 해석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 ( 소수 정리 ) · 확률론 ( 중심극한정리 )
기타 뉴턴-랩슨 방법 · 디랙 델타 함수 · 리만 가설미해결 · 카오스 이론미해결 · merry=x-mas
응용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 경제수학) · 공업수학 }}}}}}}}}

1. 개요2. 소개3. 정의
3.1. 시간 의존 섭동 이론3.2. 다이슨 급수의 전개
4. 성질
4.1. 선형성4.2. 시간 순서 연산자의 역할4.3. 수렴성
5. 예시
5.1. 1차 섭동5.2. 2차 섭동
6. 응용
6.1. 다체 문제
7. 한계와 문제점
7.1. 비섭동적 효과
8. 관련 문서

1. 개요

Dyson Series

다이슨 급수는 양자역학과 양자장론에서 시간의존 섭동이론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무한 급수이다. 이 급수는 입자 상호작용의 묘사들[1]을 섭동적으로 전개할때 등장하며, 섭동 전개된 합은 파인만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수 있다.

2. 소개

양자장론은 입자의 역학적 특징들과 상대론적 특징을 두루 기술하기 위해 장의 형식이 추상화되었고, 장의 상호작용을 자세하게 보기 위해 섭동을 자주 사용되는 측면이 부각되었다. 특히 상호작용의 상대론적인 묘사로부터 얻어지는 해밀토니언 연산자의 섭동 자체는 양자 전기역학를 증명하는 중요한 형식으로 슈윙거와 도모나가에 의해 이미 이용이 되었다.

다이슨 급수는 파인만 경로적분에서의 해밀토니언 연산자의 적분연속체적 특성을 슈윙거 섭동에 대입한 것으로, 섭동적으로 표현가능한 상호작용을 기술하기 적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현상론적으로는 산란과 제동방사(bremsstrahlung)의 형식적 기반은 산란행렬으로, 이것을 표현하기 위한다.

3. 정의

3.1. 시간 의존 섭동 이론

양자계에서 시간 의존 해밀토니언 [math(H(t) = H_0 + V(t))]이 주어졌을 때, 다이슨 급수는 시간 발전 연산자 [math(U(t, t_0))]를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math(U(t, t_0) = \mathcal{T} \exp \left(-\frac{i}{\hbar} \int_{t_0}^t H(t') dt' \right))]

여기서:

3.2. 다이슨 급수의 전개

시간 순서 연산자를 확장하여 다이슨 급수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math(U(t, t_0) = 1 - \frac{i}{\hbar} \int_{t_0}^t V(t_1) dt_1 + \left(\frac{-i}{\hbar}\right)^2 \int_{t_0}^t dt_1 \int_{t_0}^{t_1} dt_2 V(t_1) V(t_2) + \cdots)]

이는 무한 급수 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항은 섭동 차수를 나타낸다.

4. 성질

4.1. 선형성

다이슨 급수는 선형성을 가진다. 즉, 초기 상태의 선형 결합은 시리즈 항의 선형 결합으로 변환된다:
[math(U(t, t_0)(a|\psi_1\rangle + b|\psi_2\rangle) = aU(t, t_0)|\psi_1\rangle + bU(t, t_0)|\psi_2\rangle)]

4.2. 시간 순서 연산자의 역할

시간 순서 연산자는 급수의 각 항이 시간 순서대로 정렬되도록 보장한다. 이는 섭동 이론에서 상호작용의 순서를 정확히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4.3. 수렴성

다이슨 급수의 수렴성은 섭동 항 [math(V(t))]의 크기와 계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고차 항은 작아지지만, 고전적인 조화진동에서 운동량 성분은 복소적인 섭동항을 발산시키는 원인이 된다.

5. 예시

5.1. 1차 섭동

1차 섭동항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ath(U^{(1)}(t, t_0) = -\frac{i}{\hbar} \int_{t_0}^t V(t_1) dt_1)]

이는 섭동이 작은 경우에 주된 기여를 한다.

5.2. 2차 섭동

2차 섭동항은 다음과 같다:
[math(U^{(2)}(t, t_0) = \left(\frac{-i}{\hbar}\right)^2 \int_{t_0}^t dt_1 \int_{t_0}^{t_1} dt_2 V(t_1)V(t_2)]

이는 두 번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결과를 나타낸다.

6. 응용

6.1. 다체 문제

다체 시스템에서 상호작용 입자들의 동역학을 분석하기 위해 복잡한 상호작용을 다항식 형태로 정리하는 데 사용된다.

7. 한계와 문제점

7.1. 비섭동적 효과

다이슨 급수는 섭동 이론에 기반하므로, 비섭동적 효과를 설명할 수 없다. 이는 강한 상호작용이나 비선형 현상을 분석하는 데 제약이 된다.

8. 관련 문서







[1] 양자역학은 슈뢰딩거, 하이젠베르크. 양자장론에서는 디랙 묘사와 경로적분이다. 물론, 경로적분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서로의 묘사를 이끌어낼수있다.